고구려문화재를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고구려문화재를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작성일 2009.03.15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고구려 문화재를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재의 특징좀  5줄이상(너무 자세하게 말구^^)

알려 주세요~

급해요~~~~~~

*

 

 참고로 `내공냠냠``심리테스트`같은거 올리시면 바로 신고 할꺼에요~

 

(내공  3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삼국 문화의 특징

1.고구려 문화의 특징

-씩씩하고 굳센 기상이 있음수렵도

-고분벽화가 많이 남아있음
무용도

 

2.백제문화의 특징

-뛰어난 건축기술을 가짐

-온화하고 섬세함

-일본고대문화에 큰 영향을 줌

 

3.신라문화재의 특징

-고구려의 용맹함과 백제의 우아함이 섞여있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구려문화재-  

중원고구려비

종 목 국보 제205호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충북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입석부락 280-11

시 대 고구려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로,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된다. 1979년 입석마을 입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오랜 세월이 흐르기도 했지만 비의 중요성을 몰랐던 동네 주민들이 우물가의 빨래판으로 사용하기도 하여 발견된 당시 비문이 심하게 훼손되어 있었다.

 

석비는 돌기둥 모양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4면에 모두 글을 새겼는데, 그 형태가 만주에 있는 광개토대왕비와 비슷하다. 비문은 심하게 닳아 앞면과 왼쪽 측면 일부만 읽을 수 있는 상태로, 내용 중 처음에 ‘고려대왕’이라는 글자가 보이는데 여기에서 고려는 고구려를 뜻한다. ‘전부대사자’·‘제위’·‘사자’ 등 고구려 관직 이름과 광개토대왕 비문에서와 같이 ‘고모루성’등의 글자가 보이고, ‘모인삼백’·‘신라토내’ 등 고구려가 신라를 불렀던 말들이 쓰여 있어 고구려비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고구려 영토의 경계를 표시하는 비로,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하고 한반도의 중부지역까지 장악하여 그 영토가 충주지역에까지 확장되었음을 말해준다. 또한 역사적으로 고구려와 신라, 백제 3국의 관계를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구려비라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충추 장미산성

종 목 사적 제400호

지 정 일 1997.11.11

소 재 지 충북 충주시 가금면 장천리 산77-1외

시 대 고구려

 

충주시 가금면에 있는 장미산의 능선을 따라 둘러 쌓은 둘레 약 2.9㎞의 삼국시대 산성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14권에 보면 ‘하천 서쪽 28리에 옛 석성이 있다’라는 기록과 『대동지지』에 ‘장미산의 옛 성의 터가 남아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1992년 조사결과 성 안에서 발견된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들을 통해 백제·고구려·신라가 차례로 이 성을 점령, 경영하였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북쪽에 있는 절인 봉학사 지역 일부를 빼고는 성벽이 원래 모습대로 남아 있다. 성벽은 돌을 대강 다듬어 직사각형으로 쌓았는데, 서쪽과 서남쪽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북쪽 정상부분의 성벽을 따라 있는 좁고 긴 군사용 참호는 주변 성벽의 재료를 이용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

 

남쪽의 대림산성과 강 건너편 탄금대의 토성, 충주산성과 서로를 보호하며 도왔을 것으로 보인다.

 

파주의 오두산성(사적 제351호)과 지형조건이 비슷해 성을 쌓은 시대나 배경 등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유적이다.

 

 

포천반월성지

종 목 사적 제403호

지 정 일 1998.02.20

소 재 지 경기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5-1외

시 대 고구려

 

 포천시 군내면에 있는 산성이 있는 자리로 길이는 1,08포천시 군내면에 있는 산성이 있는 자리로 길이는 1,080m이다. 산성은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가 쌓았다고 전해지나, 조사결과 고구려 때 쌓은 성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여러 책에 고성(古城), 산성, 반월산성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대동지지』를 통하여 광해군 10년(1618)에 고쳐 쌓고, 인조 1년(1623)부터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연려실기술』, 『포천군읍지』, 『견성지』에서도 돌로 쌓았다는 기록과 함께 여러 가지 당시 성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현재 성의 옛 자취를 엿볼 수 있는 시설물로는 남쪽과 북쪽의 문터, 성벽 바깥쪽에 사각형 모양으로 덧붙여 만든 치성 4개소, 건물터 6곳, 배수시설이었던 수구터, 장수의 지휘대였던 장대터, 적의 동정을 살피기 위해 세웠던 망대터 등이 있다.

 

동수묘

황해도 안악군 용순면 유순리에 있는 고구려시대 벽화고분. 북한 국보 제28호. 안악 제3호분이라고도 하며, 북한의 지정 명칭은 ‘하무덤’이다. 높이 7m, 남북 길이 33m, 동서 길이 약 30m에 이르는 방대원형의 토분으로, 1949년에 발굴 조사하였다. 널방 안에 진나라 때 사경체로 쓴 묵서가 있어 이 고분이 357년(고국원왕 27)에 조성된 한국 최고의 벽화고분임이 밝혀졌다.

 

 

 

 

 

 

 

 

 

 

 

 

 

 장군총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석릉. 3세기 초부터 427년까지 고구려가 도읍한 지안현 퉁거우평야에는 광개토왕릉비와 고구려 최대형급의 무덤인 태왕릉, 사신총 등 석릉과 토분 1만 기가 있으나 외형이 거의 완존한 석릉은 이것뿐이다.

 

 

 

 

 

 

 

 

 

 

 

 

 광개토대왕비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 비신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비석이다. 제1면 11행, 제2면 10행, 제3면 14행, 제4면 9행이고, 각 행이 41자(제1면만 39자)로 총 1,802자인 이 비문은 상고사, 특히 삼국의 정세와 일본과의 관계를 알려 주는 금석문이다.

 


 

고구려문화재의특징

고구려는 정치와 군사적으로 강국이었으며, 제국적인 성격을 띄웠으나, 동시에 정신이 자유롭고 문화가 매우 발달한 문화 국가였다. 고조선과 부여를 계승하였으므로 초기부터 문화가 발달했으며 5세기에 이르러 영토가 확대되면서 질적으로 더욱 성숙해졌고, 보다 다양성을 띄게 되었다.

고구려 문화는 중국의 문화와 다른 점이 많다. 문화의 주체가 되는 종족이 전혀 다르다. 또한 중국문화는 유교적 전통이 강하고,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이동성(mobility)이 약하다. 문화를 수혈받는 지역이 서역의 일부와 남쪽이었다. 반면에 고구려는 서역 및 북방 초원, 그리고 대삼림 지대의 문화를 수용했으므로 경제 형태도 다양하고, 문화도 각양각색이며, 이동성이 강한 특성이 있다. 때문에 중국 문화를 자극하고, 영향을 주었으며, 전체적으로는 동아시아 문화에 활력과 개방성을 불어 넣어주었다.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에는 만주 지역의 비중있는 문화적 공간이 사라짐으로써 동아시아 문화는 중국 문화의 강한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정체성을 띄우게 되었다.

고구려는 독특한 지리 문화적 특성과 유목 민족이 누리는 자유로운 정신성을 바탕으로, 문화적으로는 개방적이었고, 보편성을 지닌 세계적인 인식을 가졌다. 그러한 반면에 자기 집단과 문화에 대한 자아 의식이 강하여 종족 정체성에 충실하였다. 때문에 정치 군사적으로 제국이었음에도 다른 민족들을 힘으로 억압하지 않았다. 고구려인들의 정체성과 포용력있는 문화 생태, 자유를 끝없이 희구하는 정신성은 상상력이 풍부하고 자유스러운 고분 벽화나 웅대하고 성스러운 광개토대왕비문 등의 유물과 유적을 통해서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아름다운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고구려 문화의 특징이라 하면 패기가 있고 용감하고 씩씩하며 용맹하고 더불어 고구려의 기상이 돋보인다.

 

손아파 답변답변확정좀 부탁드립니다. 궁금한점은 쪽지 보내주시구요...그리구 참고로 요약하면서 요령것 쓰셔야합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구려 문화재의 특징

힘이 넘치고, 씩씩하다.

고분벽화가 많다.

패기가 넘친다.

 

문화재

광개토대왕릉비

무용도

안학궁터

장군총

평양성터

각저총

을밀대

수렵도

사신도

중원고구려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구려 :    - 광개토 대왕릉비 , 까닭 : 이 비석을 통해서 고구려가 만주를 지배하는 강한 나라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광개토 대왕의 업적과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수렵도, 까닭 : 말을 타고 달리며 활을 쏘는 모습을 통해 고구려 사람들의 씩씩한 기상을 알 수 있기때문이다.


백제 : - 미륵사지 석탑 , 까닭 : 탑의 크기가 크고, 특히 돌을 이용하여 나무로 한옥집을 짓듯이 만들어 탑이 매우 아름답다. 이 탑을 통해 백제인들의 뛰어난 건축 솜씨를 알 수 있기때문이다.

- 백제 금동 대향로 : 향로에 용, 산의모습, 여러 짐승 등 다양한 조각이 아름답게 나타나 백제인들의 뛰어난 공예 솜씨를 알 수 있다.


신라 : - 석굴암 , 까닭 : 석굴암 불상과 벽면에 있는 조각들의 솜씨와  굴을 만든 지혜가 뛰어나다.

- 성덕 대왕 신종, 까닭 : 오랜 옛날에 만든 종이지만 그 모양과 종소리가 매우 아름다우며, 오늘날에도 이런 소리가 나는 종을 만들 수 없다고 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script> showFlash('count_button.swf', 'kinUp_612_2888101_2', 111, 58, 0, 0, 'n', true, true, true); </script> <object id=kinUp_612_2888101_2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height=58 width=111 align=middle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object src="count_button.swf" wmode="transparent" flashvars=count=0&maxCount=0&mode=n&swfID=kinUp_612_2888101_2&isMax=true&isClick=true&isLogin=true quality="high" width="111" height="58" name="kinUp_612_2888101_2" id="kinUp_612_2888101_2"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always"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object>
**고구려의 건국신화
. 《삼국사기》에 의하면 동부여왕(東扶餘王) 해부루(解夫婁)가 죽고 금와(金蛙)가 즉위하였는데, 이때 금와왕은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를 만났다. 유화는 말하기를 천제의 아들 해모수(解慕漱)가 자기를 유인하여 사통(私通)하고는 돌아오지 않아 부모에게 쫓겨나 우발수에 살고 있다 하므로, 금와왕은 유화를 데려다 궁중에 유폐시켰다.

어느날 유화는 햇빛을 받고 임신하여 알 하나를 낳았다. 그 알에서 남아(男兒)가 나와 성장하니 이가 곧 주몽이다. 주몽이 7세 때 이미 활을 잘 쏘는 등 영특하고 총명하자 금와왕의 장자 대소(帶素) 등 일곱 왕자 및 여러 신하들이 시기하여 죽이려 하였다. 이에 유화부인의 뜻을 따라 화를 피하여 졸본부여(卒本扶餘)로 남하, BC 37년 나라를 세워 국호를 고구려라 칭하고, 성(姓)을 고(高)라 하였다

**백제의 건국이야기
백제를 세운 온조는 고구려 시조인 주몽의 둘째 아들이다. 고구려, 신라와는 달리 알에서 깨어났다는 설화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백제의 시조 온조의 이야기는 대충 이러하다. 주몽은 졸본 부여에 와서 둘째 공주와 결혼하여 아들 둘을 낳았는데 첫째 아들은 비류이고 둘째 아들은 온조였다.
한편 주몽이 북부여에서 나올 때 두고 온 예씨 부인도 아들을 낳았는데 유리였다. 유리 태자가 졸본 부여에 와서 왕위를 이어받자 비류는 이 곳에 남아 있는 것이 불편할 것이라 생각하고 온조와 함께 오간, 마려 등 10여명의 부하들과 남쪽으로 내려가 그들을 따르는 백성들과 함께 한산에 이르러 사방을 둘러보니 들이 넓고 기름져서 농사를 짓고 살기에 좋아 보였다.
그러나 비류는 그 곳 땅이 못마땅하여 아우 온조와 나누어 미추홀(지금의 인천 부근)로 떠났고 온조는 하남 위례성(지금의 경기도 광주 부근)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십제'라고 하였다. 이때가 기원전 18년이었다.
한편 비류가 정착한 미추홀은 토지가 습하고 물맛이 짜서 살기에 적당하지 않아 비류를 따르던 백성들을 모아 다시 위례로 돌아왔다. 그 후 나라 이름을 '백제'라고 고쳤다.


**신라의건국이야기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이야기 입니다.

서라벌은 기름지고 풍요로운 땅이었다. 이 곳에는 여섯 마을이 촌장을 중심으로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이 여섯 마을을 '진한의 6부'라고 하였다.
어느 날 여섯 마을의 촌장을 뽑는 회의를 하던 중 양산 촌의 「나정」이라는 우물 가 숲 속에서 찬란한 빛이 내리 뻗더니 그 곳에서 흰 말 한 필이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양산 촌의 촌장 '소벌공'이 가까이 가보니 말은 울음소리를 내며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그 자리에는 큰 알이 한 개 놓여져 있었다.
알에 손을 대자 껍질이 깨지며 아주 잘 생긴 사내아이가 나왔다. 여섯 촌장들은 아기를 꺼내어 깨끗이 씻었는데 몸에서는 광채가 났다. 아기는 고허 촌의 촌장 '소벌도리'에 의해 길러졌고 박처럼 큰 알에서 나왔다 하여 성은 "박", 이름은 나라를 밝게 비추어 준다고 하여 "불구내"라고 하였다. 그후 한참 뒤 빛난다의 뜻을 지닌 "혁"과 세상에 있다는 뜻의 "거세"로 바꾸어 이름을 "혁거세"라 하였다.
바로 이 날 사량리 알영이라는 우물가에서는 계룡 한 마리가 나타나 오른편 겨드랑이 갈비뼈 밑으로 여자아이를 낳았다. 얼굴은 유달리 고왔으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았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한 할머니가 월성 북쪽 냇가에 가서 목욕을 시켰더니 그 부리가 빠져 너무나 아름다운 여자아이가 되었다. 아이 이름을 우물의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고 하였다.
혁거세는 후에 알영과 결혼하여 신라를 다스리게 되었다. 6부 촌장들은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 하고 임금을 '거서간'(왕 또는 귀인이라는 뜻)이라 불렀다. 이때가 혁거세 나이 13세, 기원전 57년이었다.

신고

의견 1

<script> showFlash('count_button.swf', 'kinUp_612_2888101_2', 111, 58, 0, 41, 'n', false, true, true); </script> <object id=kinUp_612_2888101_2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height=58 width=111 align=middle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object src="count_button.swf" wmode="transparent" flashvars=count=0&maxCount=41&mode=n&swfID=kinUp_612_2888101_2&isMax=false&isClick=true&isLogin=true quality="high" width="111" height="58" name="kinUp_612_2888101_2" id="kinUp_612_2888101_2"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always"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object>
**고구려의 건국신화
. 《삼국사기》에 의하면 동부여왕(東扶餘王) 해부루(解夫婁)가 죽고 금와(金蛙)가 즉위하였는데, 이때 금와왕은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를 만났다. 유화는 말하기를 천제의 아들 해모수(解慕漱)가 자기를 유인하여 사통(私通)하고는 돌아오지 않아 부모에게 쫓겨나 우발수에 살고 있다 하므로, 금와왕은 유화를 데려다 궁중에 유폐시켰다.

어느날 유화는 햇빛을 받고 임신하여 알 하나를 낳았다. 그 알에서 남아(男兒)가 나와 성장하니 이가 곧 주몽이다. 주몽이 7세 때 이미 활을 잘 쏘는 등 영특하고 총명하자 금와왕의 장자 대소(帶素) 등 일곱 왕자 및 여러 신하들이 시기하여 죽이려 하였다. 이에 유화부인의 뜻을 따라 화를 피하여 졸본부여(卒本扶餘)로 남하, BC 37년 나라를 세워 국호를 고구려라 칭하고, 성(姓)을 고(高)라 하였다

**백제의 건국이야기
백제를 세운 온조는 고구려 시조인 주몽의 둘째 아들이다. 고구려, 신라와는 달리 알에서 깨어났다는 설화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백제의 시조 온조의 이야기는 대충 이러하다. 주몽은 졸본 부여에 와서 둘째 공주와 결혼하여 아들 둘을 낳았는데 첫째 아들은 비류이고 둘째 아들은 온조였다.
한편 주몽이 북부여에서 나올 때 두고 온 예씨 부인도 아들을 낳았는데 유리였다. 유리 태자가 졸본 부여에 와서 왕위를 이어받자 비류는 이 곳에 남아 있는 것이 불편할 것이라 생각하고 온조와 함께 오간, 마려 등 10여명의 부하들과 남쪽으로 내려가 그들을 따르는 백성들과 함께 한산에 이르러 사방을 둘러보니 들이 넓고 기름져서 농사를 짓고 살기에 좋아 보였다.
그러나 비류는 그 곳 땅이 못마땅하여 아우 온조와 나누어 미추홀(지금의 인천 부근)로 떠났고 온조는 하남 위례성(지금의 경기도 광주 부근)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십제'라고 하였다. 이때가 기원전 18년이었다.
한편 비류가 정착한 미추홀은 토지가 습하고 물맛이 짜서 살기에 적당하지 않아 비류를 따르던 백성들을 모아 다시 위례로 돌아왔다. 그 후 나라 이름을 '백제'라고 고쳤다.


**신라의건국이야기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이야기 입니다.

서라벌은 기름지고 풍요로운 땅이었다. 이 곳에는 여섯 마을이 촌장을 중심으로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이 여섯 마을을 '진한의 6부'라고 하였다.
어느 날 여섯 마을의 촌장을 뽑는 회의를 하던 중 양산 촌의 「나정」이라는 우물 가 숲 속에서 찬란한 빛이 내리 뻗더니 그 곳에서 흰 말 한 필이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양산 촌의 촌장 '소벌공'이 가까이 가보니 말은 울음소리를 내며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그 자리에는 큰 알이 한 개 놓여져 있었다.
알에 손을 대자 껍질이 깨지며 아주 잘 생긴 사내아이가 나왔다. 여섯 촌장들은 아기를 꺼내어 깨끗이 씻었는데 몸에서는 광채가 났다. 아기는 고허 촌의 촌장 '소벌도리'에 의해 길러졌고 박처럼 큰 알에서 나왔다 하여 성은 "박", 이름은 나라를 밝게 비추어 준다고 하여 "불구내"라고 하였다. 그후 한참 뒤 빛난다의 뜻을 지닌 "혁"과 세상에 있다는 뜻의 "거세"로 바꾸어 이름을 "혁거세"라 하였다.
바로 이 날 사량리 알영이라는 우물가에서는 계룡 한 마리가 나타나 오른편 겨드랑이 갈비뼈 밑으로 여자아이를 낳았다. 얼굴은 유달리 고왔으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았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한 할머니가 월성 북쪽 냇가에 가서 목욕을 시켰더니 그 부리가 빠져 너무나 아름다운 여자아이가 되었다. 아이 이름을 우물의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고 하였다.
혁거세는 후에 알영과 결혼하여 신라를 다스리게 되었다. 6부 촌장들은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 하고 임금을 '거서간'(왕 또는 귀인이라는 뜻)이라 불렀다. 이때가 혁거세 나이 13세, 기원전 57년이었다.

신고

의견 1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고구려 문화재를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재특징좀...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연려실기술』... 자유롭고 문화가 매우 발달한 문화 국가였다. 고조선과 부여를...

통해 알 수 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안녕하세요???/ 고구려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을 좀 요약해서 올려주세요. 목 국보 제205호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충북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내공...

... 고구려문화재를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을 알아오는 건데요.. 분량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연려실기술』, 『포천군읍지』, 『견성지』에서도 돌로...

고구려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 고구려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백제의 문화의 특징좀여...갈켜주세염..ㅋㅋ 내공냠냠, 허접답변, 건성으로 하면 신고 합니다.ㅋㅋ 열공하셈 내공 많이 검니다ㅎㅎ 저도...

문화유산을 통해 알수있는 문화의 특징

... (오늘까지해주셔야되요) 고구려문화 유산을 통해 알 수 있는 문화의 특징고구려문화유산 수렵도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활로 동물을 잡는 그림이겠지요? 그럼...

신라 문화의 특징문화재알 수 있는...

... 2 문화재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은? 2.고구려 문화의 특징 1 고구려의... -황해를 통해 중국의 발달된 문물을 먼저 받아들일 있었다. 근초고왕 -백제를 가장 강한...

고구려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쉽게]

고구려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잇는 점좀 갈켜주세요 ; 아주... 고구려인들은 무예를 숭상할뿐만 아니라 매우 문화적인... 그리고 무용총에는 고구려인들의 무용이 그려져 있는데...

통해 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 알려...

가야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 좀 알려 주세요!! 오늘 까지요~~ 내공... 그거를 백제에도 팔고 일본 고구려등 수출을 하기도 했답니다, 여기서 알게되는...

통해 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을 써...

가야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을 써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최대한... 이는 전성기의 고구려에 비교할 수는 없지만 백제나 신라에 비하면 손색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