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고구려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작성일 2008.03.24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고구려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을 좀 요약해서 올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구려 문화의 특징

*씩씩하고 굳센 기상이 있다.
*고분 벽화가 많이 남아있다.

 

백제 문화의 특징

*뛰어난 건축 기술을 갖고 있다.
*온화함과 섬세함이 잘 나타나 있다.
*일본 고대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신라 문화의 특징

*고구려의 용맹함과 백제의 우아함이 섞여 있다.

 

 

(고구려의 유적)

 

1. 중원고구려비

 

 

국보 제205호

있는곳 : 충북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입석부락 280-11

2. 충주장미산성

 

 

사적 제400호

있는곳 : 충주시 가금면 장천리 산77-1외

 

 

지식 검색에서 찾아 제가 최대한 간추리고 바꿈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쌍영총 벽화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고분의 하나인 쌍영총의 벽화 '말탄 무사'이다.
통로에 2개의 커다란 8각 기둥이 세워져 있어 '쌍영총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평안 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있다. '말탄 무사'는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장군총

중국 지린 성(길림성) 지안 현 퉁거우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인 돌무지무덤(적성총)이다.
광개토 대왕이나 장수왕의 능으로 추정하고 있다.

○광개토 대왕비

장수왕 2년(414)에 19대 임금인 광개토 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광개토 대왕의 정복 활동이 적혀 있으며, '호태왕비'라고도 한다.
중국 지린 성 지안 현 퉁거우에 있다 아마 장군총과 같이 세워진것으로 추정 되고 있다.

○무용총 벽화

5세기 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고분의 하나인 무용총의 벽화이다.
사슴과 호랑이를 사냥하는 고구려인의 씩씩한 기상이 엿보이는 '수렵도' 로, 중국 지린 성 지안 현 여산 남쪽 기슭에 있다.

○강서 대묘 벽화

평안 남도 대안시 삼묘리
(옛 이름은 강서군 강서면 삼묘리)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의 하나인 강서 대묘의 벽화인 '현무도'이다.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선도】장천 1호분 벽화. 자포(紫袍)에 백색 목도리를 두르고 백포(白布)의 건(巾)을 쓴 사자(死者)의 수호신인 신선이 흰 학을 타고 햇빛에 물든 하늘을 비상(飛翔)하고 있다. 가학신선도(駕鶴神仙圖)·학탄신(鶴誕辰)이라고도 부른다. 5∼6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벽화로, 신비감이 감도는 조용한 분위기에 고구려인의 기풍이 엿보인다.

○월신도
왕족의 묘로 추정되는 지안 4호분의 널방[玄室]에 그려진 신선도. 선녀신(仙女神)인 월신이 달을 이고 나는 용을 타고 비상하는 형상인데 달 속에는 두꺼비가 있다. 생동감 넘치는 구도에 수려한 색채, 선조가 유동하고 변화가 있는, 6세기경의 원숙미를 보여주는 벽화이다.

○일신도
역시 지안 4호분의 신선도의 하나. 월신도와 대칭을 이루는 해의 신선이며 남신이다. 청룡을 타고 있는 듯한, 반인반수(半人半獸)로 보이는 형상의 남신이 삼족오(三足烏:不死烏)가 들어 있는 해를 이고 구름에 싸여 비상하는 내용이다. 생동감 있는 구도는 고구려인의 기상을 강조하고 있고,선조 또한 유동성이 넘치며, 색채 역시 화려하여 중국의 둔황[敦煌]벽화보다 더 수려하다.

○청룡도
지안 4호분 벽화. 긴 꼬리가 둘인 청룡이 가로질렀고 용머리위쪽에 날개깃을 단 신선이 연꽃을 타고 있다. 거침없이 유창한 선과 화려한 색채가어우러진 그림이다. 나는 용과 변화를 이룬 연화무늬들이 조화를 이루어 강한 생동감을 주고 있으며, 널방 내 벽화면의 전(全) 공간을 대담하게 구성하고 있다. 다채로운색조와 자유분방한 창조력이 비범하며, 조형기법이 고구려벽화의 극치를 이루고 있는데, 벽화의 양식화한 연속문양 또한 특이하다.

○농신도
지안 5호분의 벽화.머리는 소, 몸은 사람 모습을 한 반인반수의 농신이 나무 숲 공간을 날고 있는 형상의 그림이다. 손발의 율동적인 표현과 옷·옷고름의 동적(動的)인 선의 움직임 등 매우 추상적이면서도 생동감이 넘치며, 발에는 신을 신고 있어 특이한 인상을 준다. 고구려벽화예술의 정상을 이루는 그림으로, 이 벽화에 잇대어 복희(伏羲)·여와(女綾) 등의 형상도 보인다.

○용승신·기린승신도
용을탄 신선과 기린을 탄 신선이 비상하는 형상을 나란히 그린 그림. 벽화의 윗면에는 해를 상징하는 원이 그려져 있고, 아래에는 달을 상징하는 원이 그려져 있는데, 용을 탄신선은 왕이 쓰는 면류관과 같은 것을 쓰고 있어 이 무덤도 역시 왕족의 무덤임을 추정하게 한다. 그림은 수려한 색상과 함께 세밀한 기법을 보이고 있으며, 구도의 박진감은 고구려벽화의 특징을 이루는데, 유려한 선의 꼬리와 날카로운 발톱이 대조를 이루면서 비상하는 청룡의 생동감 넘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평양은 그 기나긴 역사와 더불어 명소 ,고적이 많기로도 이름이 높다.학술과 종교의 도시이고, 특히 한국 그리스도교의 중심지이다.

○평양 6문
대동문은 조선시대 태종(太宗) 때 창건하여 선조(宣祖) 때 개축한 것이며 결구(結構)의 웅대함과 기교의 정묘함은 조선시대 전기의 예술품으로써 높이 평가된다.

보통문(普通門)은 대륙의 영빈문(迎賓門)인 대동문과 같이 특히 웅장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현존하는건축물은 고려시대 성종(成宗) 때 건조된 것으로 전한다. 대동문과 보통문 중간에 단군과 기자를 제사지내는 숭령전(崇靈殿)과 숭인전(崇仁殿)이 있다.

칠성문(七星門)이 서 있다. 상부는 누각을 이루고 있으나 대동문 ·보통문에 비하면 규모가 훨씬 작다. 칠성문에서 경사가 느린 넓은 언덕길을 약 1 km쯤 올라가면 언덕 위에 유명한 을밀대(乙密臺)와 60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한 고풍스러운 사허정(四虛亭)이 서 있다. 을밀대에 올라서면 모란봉(牧丹峰)이 가까이에 있고 굽어보면 현무문(玄武門) ·영명사(永明寺) ·부벽루(浮碧樓) 등이 푸른 수림 사이로 바라보이며, 맑게 흐르는대동강에는 능라도(綾羅島) ·반월도(半月島)가 떠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유물, 유적
○안악 3호분 주인상 벽화

한사군 세력을 몰아내고 고구려의 영토를 넓힌 15대 임금 미천왕으로 추정되는 벽화이다. 황해도 안악군에 있다.

○쌍영총 벽화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고분의 하나인 쌍영총의 벽화 '말탄 무사'이다.
통로에 2개의 커다란 8각 기둥이 세워져 있어 '쌍영총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평안 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있다. '말탄 무사'는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장군총

중국 지린 성(길림성) 지안 현 퉁거우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인 돌무지무덤(적성총)이다.
광개토 대왕이나 장수왕의 능으로 추정하고 있다.

○광개토 대왕비

장수왕 2년(414)에 19대 임금인 광개토 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광개토 대왕의 정복 활동이 적혀 있으며, '호태왕비'라고도 한다.
중국 지린 성 지안 현 퉁거우에 있다 아마 장군총과 같이 세워진것으로 추정 되고 있다.

○무용총 벽화

5세기 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고분의 하나인 무용총의 벽화이다.
사슴과 호랑이를 사냥하는 고구려인의 씩씩한 기상이 엿보이는 '수렵도' 로, 중국 지린 성 지안 현 여산 남쪽 기슭에 있다.

○강서 대묘 벽화

평안 남도 대안시 삼묘리
(옛 이름은 강서군 강서면 삼묘리)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의 하나인 강서 대묘의 벽화인 '현무도'이다.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선도】장천 1호분 벽화. 자포(紫袍)에 백색 목도리를 두르고 백포(白布)의 건(巾)을 쓴 사자(死者)의 수호신인 신선이 흰 학을 타고 햇빛에 물든 하늘을 비상(飛翔)하고 있다. 가학신선도(駕鶴神仙圖)·학탄신(鶴誕辰)이라고도 부른다. 5∼6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벽화로, 신비감이 감도는 조용한 분위기에 고구려인의 기풍이 엿보인다.

○월신도
왕족의 묘로 추정되는 지안 4호분의 널방[玄室]에 그려진 신선도. 선녀신(仙女神)인 월신이 달을 이고 나는 용을 타고 비상하는 형상인데 달 속에는 두꺼비가 있다. 생동감 넘치는 구도에 수려한 색채, 선조가 유동하고 변화가 있는, 6세기경의 원숙미를 보여주는 벽화이다.

○일신도
역시 지안 4호분의 신선도의 하나. 월신도와 대칭을 이루는 해의 신선이며 남신이다. 청룡을 타고 있는 듯한, 반인반수(半人半獸)로 보이는 형상의 남신이 삼족오(三足烏:不死烏)가 들어 있는 해를 이고 구름에 싸여 비상하는 내용이다. 생동감 있는 구도는 고구려인의 기상을 강조하고 있고,선조 또한 유동성이 넘치며, 색채 역시 화려하여 중국의 둔황[敦煌]벽화보다 더 수려하다.

○청룡도
지안 4호분 벽화. 긴 꼬리가 둘인 청룡이 가로질렀고 용머리위쪽에 날개깃을 단 신선이 연꽃을 타고 있다. 거침없이 유창한 선과 화려한 색채가어우러진 그림이다. 나는 용과 변화를 이룬 연화무늬들이 조화를 이루어 강한 생동감을 주고 있으며, 널방 내 벽화면의 전(全) 공간을 대담하게 구성하고 있다. 다채로운색조와 자유분방한 창조력이 비범하며, 조형기법이 고구려벽화의 극치를 이루고 있는데, 벽화의 양식화한 연속문양 또한 특이하다.

○농신도
지안 5호분의 벽화.머리는 소, 몸은 사람 모습을 한 반인반수의 농신이 나무 숲 공간을 날고 있는 형상의 그림이다. 손발의 율동적인 표현과 옷·옷고름의 동적(動的)인 선의 움직임 등 매우 추상적이면서도 생동감이 넘치며, 발에는 신을 신고 있어 특이한 인상을 준다. 고구려벽화예술의 정상을 이루는 그림으로, 이 벽화에 잇대어 복희(伏羲)·여와(女綾) 등의 형상도 보인다.

○용승신·기린승신도
용을탄 신선과 기린을 탄 신선이 비상하는 형상을 나란히 그린 그림. 벽화의 윗면에는 해를 상징하는 원이 그려져 있고, 아래에는 달을 상징하는 원이 그려져 있는데, 용을 탄신선은 왕이 쓰는 면류관과 같은 것을 쓰고 있어 이 무덤도 역시 왕족의 무덤임을 추정하게 한다. 그림은 수려한 색상과 함께 세밀한 기법을 보이고 있으며, 구도의 박진감은 고구려벽화의 특징을 이루는데, 유려한 선의 꼬리와 날카로운 발톱이 대조를 이루면서 비상하는 청룡의 생동감 넘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평양은 그 기나긴 역사와 더불어 명소 ,고적이 많기로도 이름이 높다.학술과 종교의 도시이고, 특히 한국 그리스도교의 중심지이다.

○평양 6문
대동문은 조선시대 태종(太宗) 때 창건하여 선조(宣祖) 때 개축한 것이며 결구(結構)의 웅대함과 기교의 정묘함은 조선시대 전기의 예술품으로써 높이 평가된다.

보통문(普通門)은 대륙의 영빈문(迎賓門)인 대동문과 같이 특히 웅장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현존하는건축물은 고려시대 성종(成宗) 때 건조된 것으로 전한다. 대동문과 보통문 중간에 단군과 기자를 제사지내는 숭령전(崇靈殿)과 숭인전(崇仁殿)이 있다.

칠성문(七星門)이 서 있다. 상부는 누각을 이루고 있으나 대동문 ·보통문에 비하면 규모가 훨씬 작다. 칠성문에서 경사가 느린 넓은 언덕길을 약 1 km쯤 올라가면 언덕 위에 유명한 을밀대(乙密臺)와 60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한 고풍스러운 사허정(四虛亭)이 서 있다. 을밀대에 올라서면 모란봉(牧丹峰)이 가까이에 있고 굽어보면 현무문(玄武門) ·영명사(永明寺) ·부벽루(浮碧樓) 등이 푸른 수림 사이로 바라보이며, 맑게 흐르는대동강에는 능라도(綾羅島) ·반월도(半月島)가 떠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목 국보 제205호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충북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입석부락 280-11

시 대 고구려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로,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된다. 1979년 입석마을 입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오랜 세월이 흐르기도 했지만 비의 중요성을 몰랐던 동네 주민들이 우물가의 빨래판으로 사용하기도 하여 발견된 당시 비문이 심하게 훼손되어 있었다.

 

석비는 돌기둥 모양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4면에 모두 글을 새겼는데, 그 형태가 만주에 있는 광개토대왕비와 비슷하다. 비문은 심하게 닳아 앞면과 왼쪽 측면 일부만 읽을 수 있는 상태로, 내용 중 처음에 ‘고려대왕’이라는 글자가 보이는데 여기에서 고려는 고구려를 뜻한다. ‘전부대사자’·‘제위’·‘사자’ 등 고구려 관직 이름과 광개토대왕 비문에서와 같이 ‘고모루성’등의 글자가 보이고, ‘모인삼백’·‘신라토내’ 등 고구려가 신라를 불렀던 말들이 쓰여 있어 고구려비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고구려 영토의 경계를 표시하는 비로,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하고 한반도의 중부지역까지 장악하여 그 영토가 충주지역에까지 확장되었음을 말해준다. 또한 역사적으로 고구려와 신라, 백제 3국의 관계를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구려비라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2.충주장미산성

 

 

종 목 사적 제400호

지 정 일 1997.11.11

소 재 지 충북 충주시 가금면 장천리 산77-1외

시 대 고구려

 

충주시 가금면에 있는 장미산의 능선을 따라 둘러 쌓은 둘레 약 2.9㎞의 삼국시대 산성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14권에 보면 ‘하천 서쪽 28리에 옛 석성이 있다’라는 기록과 『대동지지』에 ‘장미산의 옛 성의 터가 남아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1992년 조사결과 성 안에서 발견된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들을 통해 백제·고구려·신라가 차례로 이 성을 점령, 경영하였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북쪽에 있는 절인 봉학사 지역 일부를 빼고는 성벽이 원래 모습대로 남아 있다. 성벽은 돌을 대강 다듬어 직사각형으로 쌓았는데, 서쪽과 서남쪽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북쪽 정상부분의 성벽을 따라 있는 좁고 긴 군사용 참호는 주변 성벽의 재료를 이용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

 

남쪽의 대림산성과 강 건너편 탄금대의 토성, 충주산성과 서로를 보호하며 도왔을 것으로 보인다.

 

파주의 오두산성(사적 제351호)과 지형조건이 비슷해 성을 쌓은 시대나 배경 등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유적이다.

 

3.포천반월성지

 

 

종 목 사적 제403호

지 정 일 1998.02.20

소 재 지 경기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5-1외

시 대 고구려

 

 포천시 군내면에 있는 산성이 있는 자리로 길이는 1,08포천시 군내면에 있는 산성이 있는 자리로 길이는 1,080m이다. 산성은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가 쌓았다고 전해지나, 조사결과 고구려 때 쌓은 성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여러 책에 고성(古城), 산성, 반월산성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대동지지』를 통하여 광해군 10년(1618)에 고쳐 쌓고, 인조 1년(1623)부터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연려실기술』, 『포천군읍지』, 『견성지』에서도 돌로 쌓았다는 기록과 함께 여러 가지 당시 성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현재 성의 옛 자취를 엿볼 수 있는 시설물로는 남쪽과 북쪽의 문터, 성벽 바깥쪽에 사각형 모양으로 덧붙여 만든 치성 4개소, 건물터 6곳, 배수시설이었던 수구터, 장수의 지휘대였던 장대터, 적의 동정을 살피기 위해 세웠던 망대터 등이 있다.

 

4.동수묘

 

황해도 안악군 용순면 유순리에 있는 고구려시대 벽화고분. 북한 국보 제28호. 안악 제3호분이라고도 하며, 북한의 지정 명칭은 ‘하무덤’이다. 높이 7m, 남북 길이 33m, 동서 길이 약 30m에 이르는 방대원형의 토분으로, 1949년에 발굴 조사하였다. 널방 안에 진나라 때 사경체로 쓴 묵서가 있어 이 고분이 357년(고국원왕 27)에 조성된 한국 최고의 벽화고분임이 밝혀졌다.

 

 

 

 

 

 

 

 

 

 

 

 

5.장군총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석릉. 3세기 초부터 427년까지 고구려가 도읍한 지안현 퉁거우평야에는 광개토왕릉비와 고구려 최대형급의 무덤인 태왕릉, 사신총 등 석릉과 토분 1만 기가 있으나 외형이 거의 완존한 석릉은 이것뿐이다.

 

 

 

 

 

 

 

 

 

 

 

6.광개토대왕비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 비신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비석이다. 제1면 11행, 제2면 10행, 제3면 14행, 제4면 9행이고, 각 행이 41자(제1면만 39자)로 총 1,802자인 이 비문은 상고사, 특히 삼국의 정세와 일본과의 관계를 알려 주는 금석문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ㅋㅋㅋㅋ

고구려의 문화※

고구려인들은 검소하고 <무>를 숭상하여 말타기ㆍ활쏘기에 능하였다.
궁궐ㆍ관청ㆍ절 등과 귀족의 집들은ㆍ기와를 덮고 일반 민가는 초가였으며 온돌을 사용.

남자들은 모자를 썼는데, 특히 관료들의 모자는 <소골>이라 하여 깃을 꽂고 금은으로 장식.
여자들은 머리에 수건을 쓰고 주름잡힌 치마를 입었고 저고리는 무릎까지 내려왔다.

상류층에서는 바둑ㆍ투호ㆍ축국 등 중국식 놀이를 하였고..
평민들은 춤ㆍ노래ㆍ씨름ㆍ석진을 즐김.

장례식은 성대히 치러졌으며 여러 가지 부장물을 관속에 넣는 <후장의 풍족>이 있었다.

또 10월에는 <동맹>이라 하여 고대사회에 널리 유행하던 추기 부족공동체의 대제전인 국중대회를 열었다.

한편, 고구려에서는 율령이 반포된 이후로는 율령을 중심으로 법이 집행되었으나..
그 이전에는 관습법에 의존.
고구려의 율령은 국가에 대한 충성이 강조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법은 매우 엄격.

결혼은 부모나 친척들이 상대방의 부모나 친척들과 약속하는 일종의 중매가 주류를 이룸.
결혼풍습으로 <서옥제>가 있었는데 서옥은 신부의 집 근처에 지은 사위가 거처할 집을 뜻함.
신랑은 결혼과 동시에 자신의 집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낳은 아이가 장성할 때까지..
서옥에서 사는 것이다.
초기에는 결혼할 당시 신랑은 신부의 집에 혼납금 등을 지불해야 했음.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혼납금의 풍속은 사라지고 결혼의 대가로..
경제적 이득을 얻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겼다고 함.
한편 가족 내에서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취하는 형사취수제는 동천왕대를 기점으로 사라짐.

고구려의 장례로는 후장풍습이 있는데..
결혼하면서 장례에 쓸 옷을 준비했고 장례는 매우 후하게 지냈는데 무덤은 돌을 이용하여 쌓음.
사람이 죽으면 3년간 집안에 관을 놓아 두었다가 길일을 택하여 묻음..
그리고 무덤 앞에는 소나무와 잣나무를 많이 심음.
고구려인들은 죽은 조상이 자신들을 돌봐줄 것이라고 믿었고 죽어서도 현실세계가 계속된다고 믿음.
이러한 생각은 후장풍습으로 이어졌고 후대에는 고분벽화를 만들게 한 요인이 됨.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고구려 문화재를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재특징좀...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연려실기술』... 자유롭고 문화가 매우 발달한 문화 국가였다. 고조선과 부여를...

통해 알 수 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안녕하세요???/ 고구려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을 좀 요약해서 올려주세요. 목 국보 제205호 지 정 일 1981.03.18 소 재 지 충북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내공...

... 고구려의 문화재를 통해 알수있는 고구려 문화의 특징 을 알아오는 건데요.. 분량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연려실기술』, 『포천군읍지』, 『견성지』에서도 돌로...

고구려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 고구려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백제의 문화의 특징좀여...갈켜주세염..ㅋㅋ 내공냠냠, 허접답변, 건성으로 하면 신고 합니다.ㅋㅋ 열공하셈 내공 많이 검니다ㅎㅎ 저도...

문화유산을 통해 알수있는 문화의 특징

... (오늘까지해주셔야되요) 고구려의 문화 유산을 통해 알 수 있는 문화의 특징고구려의 문화유산 수렵도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활로 동물을 잡는 그림이겠지요? 그럼...

신라 문화의 특징문화재알 수 있는...

... 2 문화재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은? 2.고구려 문화의 특징 1 고구려의... -황해를 통해 중국의 발달된 문물을 먼저 받아들일 있었다. 근초고왕 -백제를 가장 강한...

통해 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 알려...

가야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 좀 알려 주세요!! 오늘 까지요~~ 내공... 그거를 백제에도 팔고 일본 고구려등 수출을 하기도 했답니다, 여기서 알게되는...

고구려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쉽게]

고구려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잇는 점좀 갈켜주세요 ; 아주... 고구려인들은 무예를 숭상할뿐만 아니라 매우 문화적인... 그리고 무용총에는 고구려인들의 무용이 그려져 있는데...

통해 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을 써...

가야의 문화재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야 문화의 특징을 써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최대한... 이는 전성기의 고구려에 비교할 수는 없지만 백제나 신라에 비하면 손색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