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수용 마음통일

불교수용 마음통일

작성일 2024.04.14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불교를 수용했을 때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통일할 수 있었던 이유가 뭔지 궁금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윤회를 가르쳤기 때문임.

- 너희들이 못 사는 이유는 전생의 업보에 의한 것이지 결코 왕인 내가 통치를 잘못해서 그런 것이 아니다.

- 너희들이 왕인 나에게 충성하면 다음 세상에 좋은 다시 태어날 수 있다.

[불교는 반사회적, 반국가적 하등종교]

고려 시대까지 불교를 믿었던 한반도와 동남아시아 불교국가들 모조리 후진국이며 거지같이 삽니다.

석가모니, 보살, 부처, 귀신에게 절을 하며 빌면 소원성취되고 복을 바가지로 받는다는데 왜 거지같이 살까요?

"너희들이 살생하지 않고 착하게 살면 다음 세상에 좋은 곳에 태어나 잘 살 수 있다" "너희들이 지금 힘들게 사는 것은 모두 네 잘못이다. 네가 전생에 지은 악업으로 이 세상에서 어렵고 힘들게 사는 것이니, 왕에게 충성하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그 선업으로 다음 세상에 좋은 곳에 태어나 잘 살 수 있다" "네가 왕인 나에게 반기를 들면 넌 불타는 지옥에 떨어져 영원히 고통을 받고 산다" 등등 모두 "네 잘못"으로 돌려 국민들이 통치자에게 항거하지 못하도록 또 스스로 포기하는 삶을 살도록 유도했기 때문이 아닐까요?

뭔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있으면 이것을 고치기 위해 따지고, 고쳐나가야 사회가 발전하여 비로소 국민들이 좋은 환경에서 잘 살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조선시대에 와서 국민들의 학문 연구를 권장하고, 불교를 억압했기 때문에 국민들이 똑똑해져 오늘날과 같은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이 아니겠습니까?

따라서 불교라는 종교는 사회나 국가가 잘 살아야 나도 잘 살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복만 바라고, 자신의 고통과 번뇌에 맞싸워 이기려고 하지 않고 회피하며, 자신만의 해탈만을 중시하기 때문에, 이 사회, 국가에의 기여와, 공동체의 발전엔 무관심할 수밖엔 없는 종교이기 때문에 사회 공동체의 발전과 인류의 정신건강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이기적 종교이며, 하등종교라고 단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불교는 반사회적, 반국가적 하등종교|작성자 ZARAMOK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역사를 보면

동교의 기치하에

사람들이 모여듭니다

몽고가 침략할때

종교적 상징을 없애죠

그러면 사람들은 멘붕이 오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 감추고 싶은 진실은

카톨릭 신자인데, 아무것도 모르면서,

자기 마음대로 씨부리는 자이므로, 신경끄시면 됩니다.

삼신각 삼선각 삼성각 칠성각 성모각​(한민족 고유의 종교인, “선교(仙敎)의 불교 수용)~

우리 민족을, 하느님 민족이라 하여, 한민족이라 부르는, 민족 고유의 하느님 신앙인, 하느님(칠성님)께 기도하던 선교(仙敎)가, 불교전래 이전부터 자연적 발생하여, 존재하고 있었다. 그런 하나님을 숭상하는 민족을, 하느님의 한자식 표현인 "한"민족이라 특정하였다. 사찰의 삼신각에 모신, 그 하나님이 북극성의 칠성궁에 상주하여 계시다고 하여 칠성님이라고도 하였다(선교). (중국의 도교와 한국의 증산교는 옥황상제, 불교는 제석천왕. 한민족은 하느님)

"한민족"이라는 말은, 하나님 민족이라는 말의 준말입니다. 즉, 하나님의 한자식 표현이, 한(韓)이고, (조선족이라 부르지 않고)"하느님민족'이라는 의미로, 부르는 민족 고유 이름입니다. 중국의 한나라(漢)와는 완전히 다른 의미의 "한"입니다. 하느님을 믿는, 우리 민족적 특성을, 한민족이라 특정하였습니다. 그래서 한민족, 구한말=고종이 선포한 대한(韓)제국. 현재는, 위대한 하느님의 나라, 즉, 대한(韓)민국입니다.

"하느님", "하나님"은, "한민족"이 믿는 민족신의 고유한 명사로서, 북극성의 칠성궁에 계시다하여, 일명 칠성님이라 부르는 데, 불교에서는 "칠성부처님"이라 부르며, 부처님 모습을 하고 있다. 영화 "명량"에서는 이순신장군이 전투에서의 승리를 기원하며, 대장선에 "칠성기"를 달고 출전하는 모습이 있다.

하느님 하나님의 명칭 ~

성경에서 말하는 창조주 “야훼”는, 지구에서, 땅과 바다 그리고 식물을 창조한 후, 태양과 별, 달을 창조했다는, 천동설을 주장하는 유대민족 신입니다. 이런, “야훼” 또는 “여호와”의 “이름”을, 한민족 하나님과 착각을 유도하기 위해, 십계명 3조를 위반하며, 번역할 수 없는 그 이름, 고유명사를, 유일신이라며, 숫자 "하나님"으로 번역하여, 한민족 하나님으로 착각하게 끔, 속임수를 쓰며, “사칭”하고 있는 “가짜” 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에서 말하는 "하나"님은, 십계명3조를 위반하며, 유일신이라며 번역한, 숫자 "하나님"을 의미하며, 천동설을 말하는 가짜 창조주이며,가짜 하나님 입니다. 카톨릭에서도, 처음에는 "천주님"이라 하였다가, 개신교를 본받아, 하나님의 표준말이라며, 하느님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성당과 교회는, 십계명3조를 위반하면서, 왜? 이렇게 이름을 번역하고 있을 까요? 속임수를 쓰며, 한민족의 착각을 유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불교의 전래 ~

①고구려~​소수림왕 2년(372년) 오호십육국의 하나인, 전진의 승려 “순도”가 최초로 불교를 전파하였고, 그 2년뒤 승려 “아도”가 진나라부터, 고구려에 왔다. 374년 아도는, “이블란사”와 성문사(초문사)를 창건하였지만, 현존 하지는 않는다. 현존하며, 고구려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은 “아도”가 381년에 창건한, 강화도 “전등사”이다 ②백제~침류왕 원년(384년) 진나라에서 온, 서역의 승려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 384년 인도승려 마라난타는 영광 “불갑사”와 나주 “불회사”를 창건하여, 백제에서, 가장 오래되고, 현존하는 사찰이 되었다.

③신라~눌지왕(411~457)시절, 육로를 통하여, 고구려 승려인 “묵호자”와, 고구려에서 온, 동진의 승려 “아도”가 불교를 전파하였지만, 공인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아도”가, 눌지왕시절에 창건한, 구미 “도리사”는, 신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현존하는 사찰이 되었다. 현재, “도리사”에는 아도화상이 수행했다는, 좌선대가 있다. 그후, 신라는, 이차돈의 순교로, 순교 이듬해인, 527년(법흥왕14년)에 국교로 공인하였다.

④ 가야 ~고려시대에 쓴 일연스님의 삼국유사에 의하면, 김해(금관)가야의 “김수로왕”(42년.3.16 ~ 199년.3.23. 향년 157세로 사망함)때, 인도에서 배를 타고 건너온 후, 김해 가야의 왕후가 된, “허왕후”와 그 오빠인 “장유화상”에 의해, 이미 해로를 통하여, 불교가 전래 되었다 한다(장유화상은, 김해시 “장유”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그러므로, 가야불교는 육로의 삼국보다 훨씬 빠른 시기에, 불교가 전해졌다. 그 시절에 지은, 밀양 “만어사”김수로왕 당시에 창건했다고 한다. 또, 밀양 “부은사”는 가야 2대왕인 “거등왕”이 아버지 수로왕의 은혜를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하동 “칠불사”는, 김수로왕의 7왕자가, 외삼촌인 “장유화상”을 따라 스님이 되어, 2년만인, 103년8월 보름날, 모두 성불하였다는 것을 기념하여, “칠불사”라는 이름으로, 세운 사찰이라고 한다(영험한 문수보살기도처 참조). 하동 “칠불사”에는, 통일신라시대 때 건축한, 불을 한번 때면 100일간, 그 온기가 지속된다는 "아자방"의 “신라식 온돌”이 유명하다(경남지방유형문화재 144호). 그러므로, 밀양 만어사, 밀양 부은사, 하동 칠불사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찰이다. 그후, 김해(금관)가야는 532년에 멸망하였고, 나머지 여러 가야국들도 555~562년 사이에 멸망하여, 백제 또는 신라에 흡수되었다.

* 불교에서, 민족전통 종교인, "선교'를 수용~

불교는, 기존 종교인, "선교'를 수용하여, "하나님", "나반존자", "산왕대신" 3분을, 사찰의 "삼신각"에 모시게 되었다. 민족종교, 선교를 수용하면서, "하나님"(칠성님)을, "칠성부처님"이라 호칭하며, 부처님 모습으로 모시게 되었다. 불교가 전래되자, "단군신화"에는, 단군을 "제석환인"이라 표기하였다. 즉, 하나님 아들인, 한웅과 단군 “왕검”은, “하나님”이고, “하나님”은, 불교에서 “제석천왕”이므로, “단군신화”에는, 민족의 하나님인, 단군 “왕검”을 묘사할 때,. “제석환인”(제석하나님) 이라 표기하게 되었다.

* 사찰의 삼신각(선교)~

가운데 - 칠성님(하느님, 칠성하느님, 칠성부처님), 좌측에 -신령님(나반존자, 독성님), 우측에-산신님(산왕대신님)을 모심. 삼신각에 계시는, (일곱분, 칠여래의 증명을 거친) 주불인, 한민족 “칠성님”(하느님)을, 불교에서는, “치성광여래”(북극성)라 한다.

“칠성님”(치성광여래/하느님)은, 무병장수와 자손번창을 상징하므로, 불교에서는, “약사불”처럼, 좌우에, 일광보살과 월광보살 그리고, “칠여래”가 증명하고, 호위를 하고 있는, 후불 탱화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삼신각 또는 칠성각에 모셔진, 칠여래가 증명하는, 하나님, 즉, “치성광여래”는, 무병장수와 자손번창을 상징하며, 아픈 곳을 만져주는, 약사여래 역할도 겸하고 있다. (북극성 하나님의 거처는, 칠성궁이므로, 칠성님이라 부른다. 후불탱화로, 치성광여래(북극성, 하나님)+칠여래+약사역활의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의 “십존불”을 그리기도 한다)

사찰의 삼신각(삼성각)의 절하는 순서는, ①제일처음, 가운데(사찰에 따라, 제일 우측에 모시기도 함)에 계신 칠성님(하나님, 하느님, 칠성하나님, 칠성부처님)께 ② 두번째로, 신령님(독성님, 나반존자님) ③ 세번째로, 산신님(산왕대신님,산신령님)의 순서로 각각 삼배를 올립니다/

기도는, 각 삼배 올린 후, 본인이 원하는, 칠성님(하나님), 독성님, 산신님앞에서, (해당 기도문이 비치되어 있으면, 읽은 후), 발원→ [①정근(염불, 명호를 적정시간 반복), ②108배(7배, 21배, 108배 또는 그 이상)]의 ①, ②중에서 선택 실시→ 발원→ 삼배.

[출처] 불교사찰과 불교기도문, 부처와 보살의 모습|작성자 한민족정신을 되찾자

불교사찰과 불교기도문, 부처와 보살의 모습 ~블로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andsing/221955604245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불교를 수용했을 때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통일할 수 있었던 이유가 뭔지 궁금해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중국을 통해 들어온 불교는

부처,보살을 신으로 모시는 샤머니즘에 오염된 기복종교

또한 왕이 곧 부처라는 왕즉불사상으로

백성들에게 부처를 신으로 믿게함으로서

부처와 같은 동급의 왕에게 복종시키는 제정일치의 사회를 만든 것

불교수용 마음통일

불교수용했을 때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통일할 수 있었던 이유가 뭔지 궁금해요 위 감추고 싶은 진실은 카톨릭 신자인데, 아무것도 모르면서, 자기 마음대로 씨부리는...

불교수용사상??

... 하동 “칠불사”에는, 통일신라시대 때 건축한, 불을... * 불교에서, 민족전통 종교인, "선교'를 수용~ 불교는... 석가의 업과 번뇌를 가지는 마음의 본체에 대한 설명~이것을...

삼국의 불교 수용

... 마음을 안정시키고 단결시키며, 또 통제하기 위해 불교를 선택했다.) -연도: 소수림왕 2년 (서기372년) 백제 -수용... 삼국통일을 위한 사상적 통일과 안정을 위해) -전한사람...

삼국의 불교 수용:답해주세요!!

... 마음을 안정시키고 단결시키며, 또 통제하기 위해 불교를 선택했다.) -연도: 소수림왕 2년 (서기372년) 백제 -수용... 삼국통일을 위한 사상적 통일과 안정을 위해) -전한사람...

삼국의 불교 수용

... 마음을 안정시키고 단결시키며, 또 통제하기 위해 불교를 선택했다.) -연도: 소수림왕 2년 (서기372년) 백제 -수용... 삼국통일을 위한 사상적 통일과 안정을 위해) -전한사람...

삼국의 불교 수용한 왕,전한사람 은...

... 마음을 안정시키고 단결시키며, 또 통제하기 위해 불교를 선택했다.) -연도: 소수림왕 2년 (서기372년) 백제 -수용... 삼국통일을 위한 사상적 통일과 안정을 위해) -전한사람...

불교 수용

... 마음을 안정시키고 단결시키며, 또 통제하기 위해 불교를 선택했다.) -연도: 소수림왕 2년 (서기372년) 백제 -수용... 삼국통일을 위한 사상적 통일과 안정을 위해) -전한사람...

삼국시대에 불교수용한 이유

... 법흥왕이 불교수용했잖아여? 1. 그 세 왕이 불교수용하게 된 각자의 이유(국익을... 추가질문이신 중국도, 한반도의 삼국도 불교를 받아들인 이유는 오직 통일마음입...

한국사 삼국불교수용

... 불심 = 마음 = 모든 동식물의 멸종을 원하는 것 불자들은 아인슈타인의... 종교를 불교통일), 스키타이계 샤캬족의 쿠샨제국(민속신앙, 마기신앙, 조로아스터교의...

삼국시대때 불교수용하면 좋은 점

... 마음을 안정시키고 단결시키며, 또 통제하기 위해 불교를 선택했다.) -연도: 소수림왕 2년 (서기372년) 백제 -수용... 삼국통일을 위한 사상적 통일과 안정을 위해) -전한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