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때 불교를 수용하면 좋은 점

삼국시대때 불교를 수용하면 좋은 점

작성일 2011.03.24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삼국시대 때 불교를 수용하면 좋은 점이 뭔가요?

번호 순으로 많이 적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예)왕권을 강화 시키려고 이유:....... 이런 식으로 요.

이상한 답변 무조건 신고 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백제 침류왕 384년
신라 법흥왕 527년

 

불교를  받아 들인 건  평민과 손을 잡고 귀족세력을 억누려는 정치적 목적.

불교가 왕권강화에 도움을 주었음.

법흥왕과 소수림왕의 공통점이 중앙 집권  체제를 정비하면서  율령반포.

 

귀족의 천신사상

- 귀족이 된 건 하늘로 부터 부여 받았으니 평민들은 귀족 될 꿈도 꾸지말고 귀족의 명령에 복종하라.

불교 -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만민평등 사상.

 

 

고구려
-수용한왕: 소수림왕
-전한사람: 중국 북조 전진의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 전파시킴. (당시 고구려는 고국원왕이 백제와의 전투에서 전사하고, 잇따라 패하고 있었으므로 백성들의 동요가 일어나고 점차 통제가 어려워지고 있었다. 이미 민중에서는 불교가 들어와 있었고, 사람들은 왕실의 불교 공인을 요구하고 있었다. 소수림왕은 백성들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단결시키며, 또 통제하기 위해 불교를 선택했다.)
-연도: 소수림왕 2년 (서기372년)

백제
-수용한왕: 침류왕
-전한사람: 중국 남조 동진의 승려 마라난타가 전래.
-연도: 서기 384년

신라
-수용한왕: 법흥왕 (연맹국가 탈피+중앙집권과 삼국통일을 위한 사상적 통일과 안정을 위해)
-전한사람: 눌지왕 시대, 아도화상 (공인한 왕은 법흥왕)
-연도: 서기 527년

 

받아드린 이유

1. 고대 문화 발전에 공헌

불교의 전래와 함께 사상을 비롯한 음악, 미술, 건축, 공예, 의학 등 선진 문화도 폭넓게 수용되었다. 또한 불교는 새로운 문화 창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 철학적 인식의 토대구축

인간 사회의 갈등이나 모순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해소허여 하였다

 

3. 중앙 집권화에 기여- 왕권 강화

중앙 집권 체제 확립과 지방 세력의 통합에 힘쓰던 이 시기에 불교는 새로운 국가 정신의 확립에 기여하고 강화된 왕권을 이념적으로 뒷받침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신라의 여러 왕들이 불교식 이름을 가졌으며 원광은 젊은이들에게 세속 오계를 가르쳤다

 

            수용한 왕            전한 사람               연도
            고구려        소수림 왕  중국의 왕이 보낸 사신,승려               372년
             백제             침류왕  중국 남도 승려 아라난타               384년
              신라              법흥왕            아도 화상               572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백성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백성의 마음을 모으면 나라에 대한 애국심 같은게 좋아지지 않을까요?

2.왕권을 강화 시키려고:옛날에는 귀족들의 힘이 커서 귀족들이 반란은 일으키면 끝장이었습니다. 왕권을 강화 시키면 귀족들의 힘이 자연스레 줄어들기 미련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는 5학년이고 역사를좋아함.)

1.귀족들의 힘은 센데 그것을 방지하려고

2.왕권강화를 하기위해서

3.제도재정비를하려고

4.백성들이 왕의 말을 잘 듣게하려고

 

삼국시대때 불교를 수용하면 좋은 점

삼국시대 때 불교를 수용하면 좋은 점이 뭔가요? 번호 순으로 많이 적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예)왕권을 강화 시키려고 이유:....... 이런 식으로 요. 이상한 답변 무조건...

삼국시대불교수용

귀족세력이 불교수용에 대해서 반대와 타협에 관해서 반대는 무불의 대립 타협은... 왕이 나는 미륵불이고 전생에 좋은 일을 많이 해서 지금 왕이 되었으므로 강한 권력을 가진...

삼국이 불교를 수용한 이유

... 대승불교입니다, 그러나 삼국시대불교의 양상을 살펴... 신라의 왕호 변천의 역사와 함께 불교수용의 역사를... 존재했던 등으로 볼 유교가 미치는 영향 또한 컸다고...

삼국시대 불교반영으로 인한...

삼국시대 불교반영으로 인해 과학 음악 문화 예술쪽에... 될겁니다 삼국시대에 이르러 불료의 문학을 수용하면서... 이상으로 좋은 방도가 없음을 명백하게 함. - <금강삼매경론...

삼국시대때불교문화제

삼국시대때불교문화제를알려고합니다 ㅜ0ㅜ... 법흥왕이 수용햇습니다ㅜ 그런데 중요한건 불교문화재 ㅜ... 좋은 답변 이었으면 좋겠습니다.. 하 하 하 하 하 언제나 웃고...

신라시대때 귀족들은 왜불교수용을...

... 삼국시대 왕들이 왜 불교를 수용했는지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불교가... 뒷받침할 좋은 사상적 배경으로 써먹을 수 있습니다 지금 왕인 이유는 전생에 그럴 만한...

삼국시대불교를 국가에서 장려한...

... 삼국시대불교를 국가에서 장려한 까닭좀... 때의 불교 종단이 11개에서 7개로 통폐합되었던 것이 세종 ... 야당격이었던 불교를 수용하는 측면 셋째, 정변에 따른 민심의...

삼국시대 불교의미좀ㅠ.ㅜ

... 불교를 수용할때 전성기가 찾아오는 것입니다. 보면 왕권 왕의힘 백성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것은 불교에는 옜날에 않좋은 짓을 많이하면 거지가 되고 착한일을 많이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