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 노동법 관련 질문드립니다.

근로기준법 노동법 관련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23.12.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근로계약서는 주 5일 15시간 이내로 작성했구요  파트타이머가 대체근무 또는 연장근무로
   계약서 명시된 시간보다 초과해서 주에 15시간을 넘게 일했을경우에 초과수당은 당연히 주는데
  여기에 주휴수당을 지급해야하는지?

2.  주 15시간 이내의 직원 3명 A,B,C 가 있는데 A,B 는 1시간안에 1~5까지의 일을 마무리하고 퇴근합니다.
   C직원은 본인의 업무미숙, 느린성격으로 1시간동안 1~3까지의 일밖에 못하고 꼭 10-20분을 더 일하고
   퇴근합니다 1주일해보니 주15시간 을 초과하는데 담달에 초과근무수당, 주휴수당을 지급해야하는지?
   (계약서상 퇴근시간보다 본인이 일을 천천히 여유롭게 해서 자꾸 10-20분씩 늦게 갑니다)

3. 월화수목금 주5일 근무시간 2시간55분 으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 주에15시간 이내로 근무하는걸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는데 급여는 일3시간으로 정산해서 주고있습니다. 추후 문제될 여지 있을까요?
   (노동법위반이라든지 이런거)

4. 근로계약서상 점주를 보호할만한 문구 넣을거 뭐있는지 궁금합니다
  (지각,결근 몇회시 계약을 해지한다, 재산상 피해를끼칠경우 근로계약해지, 근무태만 시 등등등..)

5. 직원중 한명이 4대보험은 물론 산재/고용 보험도 안들고 현금으로 급여를 가져가는데요
  제가 아직 간이사업자인데 일반사업자로 전환되면 인건비명목으로 월에 현금 60만원씩 줬을경우
  세금 폭탄맞나요??
 
6. 5번 직원이 4대보험,2대보험 어느것도 들지않는것에 본인이 먼저 얘기해서 그렇게 하고있는데요
  동의한다는 내용으로 계약서를 따로 작성하면 나중에 신고해서 뒤통수 맞는일 방지할수있나요?

6. 직원들 모두 3.3% 프리랜서로 계약된 상태인데요 산재보험 만되어있고 3개월이상 근무하면
   주15시간 미만이여도 4대보험 가입해야되나요? 직원본인이 싫어해도 무조건 가입하는건지 ??

7. 근로계약서는 일한 당일날 첫날부터 써야하는지? 아니면 법적으로 최대 몇일의 기간동안 일 시켜보고 
   작성해도되는지 궁금해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근로기준법 노동법 #근로기준법 노동법 차이 #노동법 근로기준법 취업규칙 #노동법 근로기준법 시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로시컴- 상담 공인노무사 박상빈 입니다.

1. 근로계약서는 주 5일 15시간 이내로 작성했구요 파트타이머가 대체근무 또는 연장근무로

계약서 명시된 시간보다 초과해서 주에 15시간을 넘게 일했을경우에 초과수당은 당연히 주는데

여기에 주휴수당을 지급해야하는지?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주휴수당은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2. 주 15시간 이내의 직원 3명 A,B,C 가 있는데 A,B 는 1시간안에 1~5까지의 일을 마무리하고 퇴근합니다.

C직원은 본인의 업무미숙, 느린성격으로 1시간동안 1~3까지의 일밖에 못하고 꼭 10-20분을 더 일하고

퇴근합니다 1주일해보니 주15시간 을 초과하는데 담달에 초과근무수당, 주휴수당을 지급해야하는지?

(계약서상 퇴근시간보다 본인이 일을 천천히 여유롭게 해서 자꾸 10-20분씩 늦게 갑니다)

>> 계약서 상 근로시간보다 느리게 일해서 발생하는 근로시간은 연장근로시간으로,

연장근로가 생겼다고 해서 주휴수당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3. 월화수목금 주5일 근무시간 2시간55분 으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 주에15시간 이내로 근무하는걸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는데 급여는 일3시간으로 정산해서 주고있습니다. 추후 문제될 여지 있을까요?

(노동법위반이라든지 이런거)

>> 주휴수당 지급을 면탈할 목적의 근로계약으로 보고 1주 15시간 이상 근로자로 간주하게 될 수 있습니다.

4. 근로계약서상 점주를 보호할만한 문구 넣을거 뭐있는지 궁금합니다

(지각,결근 몇회시 계약을 해지한다, 재산상 피해를끼칠경우 근로계약해지, 근무태만 시 등등등..)

>> 근로계약서 상 계약의 해지에 관해 정해 놓은 조항에 따라 근로자를 해고하더라도

해당 해고가 정당한 이유가 있는지 여부는 개별적으로 판단합니다.

가급적 근로자 퇴사 시 사직서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5. 직원중 한명이 4대보험은 물론 산재/고용 보험도 안들고 현금으로 급여를 가져가는데요

제가 아직 간이사업자인데 일반사업자로 전환되면 인건비명목으로 월에 현금 60만원씩 줬을경우

세금 폭탄맞나요??

>> 부가세 및 소득세 관련 문의는 세무사에게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6. 5번 직원이 4대보험,2대보험 어느것도 들지않는것에 본인이 먼저 얘기해서 그렇게 하고있는데요

동의한다는 내용으로 계약서를 따로 작성하면 나중에 신고해서 뒤통수 맞는일 방지할수있나요?

>> 산재보험 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직원에게 산재가 발생해 산재 처리를 하게 될 경우, 해당 근로자에 대한 산재보상급여 중 절반을 사업주가 지불해야 합니다. (그동안 안 냈던 보험료 및 과태료도 한꺼번에 부과됩니다.)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에서 직원이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을 하게 될 경우 그동안 내지 않았던 보험료 및 과태료가 한꺼번에 부과될 것입니다.

6. 직원들 모두 3.3% 프리랜서로 계약된 상태인데요 산재보험 만되어있고 3개월이상 근무하면

주15시간 미만이여도 4대보험 가입해야되나요? 직원본인이 싫어해도 무조건 가입하는건지 ??

>> 월 60시간 미만 근무하는 근로자는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가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직원 본인이 싫어해도 사회보험은 의무사항입니다.

7. 근로계약서는 일한 당일날 첫날부터 써야하는지? 아니면 법적으로 최대 몇일의 기간동안 일 시켜보고

작성해도되는지 궁금해요.

>>근로계약서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작성해 교부해야 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란, 채용을 결정하고 근로조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하였고 근로자가 동의했을 때를 말합니다.

가급적 입사 당일 바로 쓰시기바랍니다.

근로기준법(노동법)과 관련한 문의

... 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하여 이렇게 문의를 드립니다.... 퇴사와 관련한 어떠한 내용의 전달도 받지 못하였습니다.) 1. 이럴 경우 근로기준법에 명시되어 있는 30일 이전에...

노동법근로기준법 위배여부...

... 하는것도 노동법이나 근로기준법 및 하도급법에... 귀하의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근로기준법... 괴롭힘과 관련하여 피해를 입은 근로자 또는 피해를 입었다고...

노동법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노동법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회사입사를 21년 11월 1일 입사했고 올해 23년 11월 30일 퇴사예정 입니다 그럼 연차가 총 몇개인지 궁금 합니다 그리고 제가 같이...

청소년 근로기준법, 노동법

... 처벌 관련 법안있으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청소년근로보호센터입니다. 청소년 근로기준법, 노동법을 지키지 않을시에 사용자(고용한 사람)의 처벌에 관하여 질문...

근로기준법, 노동법 관련 질문드립니다

근로기준인지 노동법인지 잘 모르겠네요 제가 일주일정도 알바를 한 상태입니다 매일 7~8시간정도 일했습니다 그런데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고, 다음주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