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생산물 구할 때 생산함수 편미분하는 방식에서 어떤게 잘못된 건지 알...

한계생산물 구할 때 생산함수 편미분하는 방식에서 어떤게 잘못된 건지 알...

작성일 2020.06.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맨큐 거시경제학 문제 풀다가 한계생산물 계산 관련해서 이해가 안되는 것이 있습니다.
기존 생산함수가 F(K ,L) = (K^0.3)(L^0.7)이었는데 노동력이 10프로 증가해서 생산함수가 F(K, 1.1L) = (K^0.3)(1.1L)^0.7이 된 상황입니다. 문제가 바뀐 생산함수에서 MPL을 구하라는 거였는데요.

저는 바뀐 생산함수를 L에 대해서 편미분 하기 전에 1.1L에 지수 0.7이 곱해져 있는 걸 1.1과 L에 먼저 분배하고 나서 편미분을 했거든요? 수식으로 쓰자면 F(K, 1.1L) = (1.1)^0.7(K^0.3)(L)^0.7 이렇게 먼저 1.1L에 지수 0.7을 각각 풀어주고 나서 편미분을 했습니다. 그렇게 먼저 지수를 분배하고나서 편미분을 하니까 MPL이 (1.1)^0.7(0.7)K^0.3 L^(-0.3) 이렇게 나왔습니다.

그런데 답지는 1.1L에 있는 지수를 분배하지 않고 (K^0.3)(1.1L)^0.7 이렇게 묶여있는 상태에서 바로 편미분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답지는 MPL = (0.7)K^0.3 (1.1L)^(-0.3)이 나와서 제가 지수를 먼저 분배하고 푼거랑 답이 다르게 나왔습니다.

생산함수를 편미분 할 때 지수를 상수와 문자에 먼저 분배하고나서 지수가 분배된 상수와 문자를 각각 분리하고 편미분을 하는 방식이 수학적으로 잘못된 방식인 건가요? 어디서 오류가 생긴 건지 알려주세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가 정확한 문맥이나 상황은 잘 모르겠으나,

답지의 경우 L 로 편미분한 것이 아니라, 1.1L 로 편미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즉, 노동의 한계생산이란, 노동력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생산량이 얼마만큼 증가하는지를 측정하는 개념이라서,

일반적으로 생산량(F(L,K))을 노동(L)로 미분하게 되는데,

이제 생산량이 10% 로 증가했기 때문에, 한계생산은 생산량(F(L,K))을 노동(1.1L)으로 미분한 것으로 정의된다라는 의미 같네요.

만약 단순히 L 로 편미분하는 경우라면, 질문자분의 계산과 동일하게 도출되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즉, 연쇄법칙(chain rule 이 적용되어)

금융상식 용어

...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외국에 상품을 팔고... 평준보험료 방식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한계를 비추어 볼 한국자산관리공사는 내부에 축적된 노하우를...

십일조를 설명해 주세요

... 징수하였음을 수 있습니다. 큰 차이가 없었던... 자의적이고 잘못된 번역입니다. '온전한 십일조'는... 어떤 사람은 월급을 타서 십일조를 하고 나머지 돈으로 정기적금을...

엔트로피 - 제레미 리프킨

... 한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부의 양이 한정되었던 사실이라고 로크도 시인한다. 만약 원시 사회에서 어떤... 사람들은 대부분 공해는 생산물에 대한 부산물이라고...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어떻게...

... 셋째, 이전의 계열별 출제 방식 대신 시험 영역과... 이외에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 이산수학 등의 3과목 중... ARS 모금액이 많아야 방송사 체면이 서는 잘못된 관행...

공부를 잘 하는 방법 없나요?

... 이라는게 한계가 있다는 거죠... 수능은 고등학교... 모든 문제의 패턴이 똑 같다는 걸 수 있다. 수능도 이와... 넣는 좋겠지. 함수에서도 만약 모르겠다 싶으면 그냥...

제 수학공부 잘못된점 지적부탁드립니다

... , 부족한 부문을 어떤 방법으로 보완해 나갈 것인가를... 영역의 개념과 문제 접근 방식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기울기와 한 점을 , 일차함수이 식을 구할 수 있다....

병자호란 이후 피해 복구과정 좀 자세히...

... 임진왜란 , 일본군에 의해 생산량에 큰 손실을 보았던... 잘못된 평가는 후세 사람들에게 거짓 역사를 가르친다.... 흥보전에 보면, 놀부가 박을 탔더니 어떤 노인이 나왔다....

5학년 2학기 요점좀요 (2011년 이요)...

... (6) 말하고자 하는 대상을 어떤 사물에 빗대어서... 것을 수 있습니다. (2) 2연 :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발을... 능력의 한계에 도전하는 경기'라고 표현한 까닭 ·마라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