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중에서 만기보유보다는 향후 금리인하시 시세차익

국고채 중에서 만기보유보다는 향후 금리인하시 시세차익

작성일 2024.05.0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만기              표면금리     현재가
33년 6월         3.25           9.866
35년 9월         2.625          9,100
36년 9월         1.50           7.950
37년 9월         2.25           8.629
39년 9월         1.125          7,343
42년 9월         3.25           9,650
42년 12월        3.00           9.382

위 국고채 중에서  만기보유보다는 향후 금리인하시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현재 매입을 고려 할때,
가장 적합한것은  어느 국고채인지요? 

기준금리가 2% 될때 몇% 정도 차익이 발생하는지도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모든분들의 꿈이 빛나도록 응원하는

해외선물 EZ SQUARE 김용규 본부장 입니다.

주식, 증권 이 분야 전문가

★ 급상승랭킹 1위 ★

성심성의 다해서 답변 드립니다.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국고채를 매입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금리 변동성**: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이 상승하고,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합니다. 금리 변동성이 클수록 채권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므로, 금리 변동성을 고려하여 매입 시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2.**만기**: 만기가 길수록 채권 가격의 변동성이 커집니다. 금리가 하락할 때는 만기가 긴 채권이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지만, 금리가 상승할 때는 만기가 짧은 채권이 더 안전합니다.

3.**표면금리**: 표면금리가 낮을수록 채권 가격이 상승합니다.

4.**신용등급**: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채권의 안정성이 높습니다.

위의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금리인하시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현재 매입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국고채는 다음과 같습니다.

- **36년 9월**: 만기가 짧고, 표면금리가 낮아 금리 하락 시 채권 가격이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준금리가 2%가 될 때, 36년 9월 국고채의 수익률은 다음과 같이 예상됩니다.

- **수익률**: 현재가 7,950원, 표면금리 1.5%, 만기 36년 9월, 기준금리 2% 가정

- **수익률 계산식**: (기준금리 - 표면금리) x (1 + 만기수익률)^(만기-현재년도)

- **수익률**: (2% - 1.5%) x (1 + 0.05)^(36-현재년도)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

추가로 궁금하신 내용들은

→ "제 프로필 클릭후 개인문의" 를 통해 문의주실 경우, 더욱 올바르고 투명하게 해소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성공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33년 만기 국고채 (표면금리 3.25%): 현재가는 9.866입니다. 이 채권은 만기가 먼 장기 채권이므로 금리인하 시에 가격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5년 만기 국고채 (표면금리 2.625%): 현재가는 9,100입니다. 이 채권은 33년 만기보다는 조금 짧은 만기이지만, 여전히 장기 채권에 해당합니다. 금리인하 시에도 가격 상승이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준금리가 2%로 인하되면, 이 두 국고채의 차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33년 만기 국고채: 표면금리 3.25%에서 2%로 인하되면, 차익은 약 1.25% 정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5년 만기 국고채: 표면금리 2.625%에서 2%로 인하되면, 차익은 약 0.625% 정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기준금리가 2%가 되면, 위 국고채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33년 6월 국고채입니다. 33년 6월 국고채의 표면금리는 3.25%이고, 현재가는 9.866입니다. 기준금리가 2%가 되면, 33년 6월 국고채의 표면금리가 2%보다 높기 때문에 33년 6월 국고채의 가격이 오를 것입니다. 33년 6월 국고채의 가격이 오르면, 매입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 매도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33년 6월 국고채의 표면금리가 3.25%이고, 현재가는 9.866입니다. 기준금리가 2%가 되면, 33년 6월 국고채의 표면금리가 2%보다 높기 때문에 33년 6월 국고채의 가격이 오를 것입니다. 33년 6월 국고채의 가격이 오르면, 매입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 매도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표면금리가 매수금리보다 낮은게...

장기 채권(국고채)을 만기보유보다는 향후 금리인하시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매입할려고 할때, 표면금리가 매수금리보다 낮은게 유리한가요 아니면 표면금리가 매수금리보다...

채권 투자 시세차익만기보유전략

... 따라서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상승합니다. 채권 투자에는 시세차익만기보유전략이 있습니다. 시세차익은 채권...

장기 국채 채권 매매차익 관련 질문...

... 30년물의 국고채라고 가정했을 때 발행 쿠폰 금리 3.5%짜리 국채와 1.5%짜리 국채 중에 향후 금리인하되었을 때 채권 가격의 매매차익이 왜 1.5% 짜리가 더 큰 건지 이해가...

채권(국고채, 종합채권 등) 질문드립니다.

... 채권 중에 일반 장외채권이라고 되어있는 국고채권들의 경우는 만기시에 정해진... => 액티브는 해당 ETF 운용사가 직접 채권의 매수, 매도를 통해 발생한 차익(시세차익)...

보증금 인하요구시 은행대출 금리유지질...

... 주변시세대로 보증금인하할시 계약서를 다시작성하나요? 현재 버팀목전세대출로 낮은금리를 이용중인데... 버팀목도 만기가 임대차계약에 의거해서 설정되어 있으셨을...

채권투자에 대해서 알아보는 중인데요.

... 상태로 만기가 되면 저는 손해만 보는건지요? 4. 향후금리가 떨어진다고... 연 금리 25%로 20년 만기 채권이 발행이 되었다면 그 채권을 보유한 사람은 20년 동안 1년에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