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각형, 다면체의 밀도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다각형, 다면체의 밀도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작성일 2019.07.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별 다각형의 밀도는 다각형의 경계가 중심을 둘러싸는 횟수이다; 이것은 중심점 주변의 경계에 대한 감김수이다.

별 정다각형 {p/q}에 대해서, 밀도는 q이다.

이것은 중심에서 무한으로 뻗어나가는 반직선에 교차하는 변의 최소 개수로 시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하학에서, 다포체의 밀도는 다포체, 특히 고른 다포체정다포체의 중심을 둘러싸는 수를 나타낸다. 이것은 중심에서 무한으로 뻗어나가는 반직선에 교차하는 Facet이나 면의 최소 개수를 세서 시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포체의 어떤 facet도 연속인 내부 영역을 지나지 않는 경우에, 밀도는 상수이다. 자기교차하지 않는 (acoptic) 다포체에 대해서, 밀도는 1이다.

겹치는 면을 가지는 테셀레이션은 유사하게 밀도를 주어진 점을 덮는 면의 수로 정의할 수 있다.[1]


아서 케일리는 밀도를 오일러의 다면체 공식 (V − E + F = 2)을 별 정다면체에 적용되도록 수정할 때 사용했다. 이 때, dv꼭짓점 도형의 밀도이고, df는 면의 밀도이고 D는 다면체 전체의 밀도이다:

dv V − E + df F = 2D[2]

예를 들어, 큰 이십면체 {3, 5/2}는 삼각형 면(df = 1) 20개가 있고, 모서리 30개와 오각성 꼭짓점 도형(dv = 2) 12개가 있으므로, 다음을 얻을 수 있다:

2·12 − 30 + 1·20 = 14 = 2D.

이것은 큰 이십면체의 밀도가 7이라는것을 암시한다. 수정되지 않은 오일러의 다면체 공식은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5/2, 5}와 그 쌍대인 큰 십이면체 {5, 5/2}에서는 V − E + F = −6로 적용되지 않는다.

별 정다면체는 두 쌍대쌍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형태는 그 쌍대와 같은 밀도를 가진다: 한 쌍(작은 별모양 십이면체—큰 십이면체)은 밀도가 3이고, 다른 쌍(큰 별모양 십이면체–큰 이십면체)은 밀도가 7이다.

헤스는 더 나아가서 일부가 다른 것 뒤쪽으로 접힐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면을 가지는 별 다면체의 공식으로 일반화했다. 밀도에 대한 결과값은 연관된 구면 다면체가 구를 덮는 횟수에 대응한다.

이것은 콕서터와 그외가 주요한 고른 다면체의 밀도를 결정하게 한다.[3]

일부 면이 중심을 통과하는 반다면체에 대해서는 밀도를 정의할 수 없다. 비가향 다면체 역시 잘 정의된 밀도는 없다.





질문1

"별 정다각형 {p/q}에 대해서, 밀도는 q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밀도의 뜻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그냥 단순히 외우지 않고 개념을 알고 싶어요.


질문2

"한 쌍(작은 별모양 십이면체—큰 십이면체)은 밀도가 3이고, 다른 쌍(큰 별모양 십이면체–큰 이십면체)은 밀도가 7이다"

이건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다면체에서의 밀도를 알려 주세요.  dv V − E + df F = 2D를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질문3

볼록 정다면체의 밀도는 얼마인가요?


그리고 위 내용은  위키백과에서 복사한 것인데  설명이 이해가 안 되 올리는 것이니 위키백과 말고  공부할 수 있는 관련 책이나 사이트 알고 계시면 같이 알려주세요.  위키백과에 나온 설명 말고 쉽게 알려 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1

"별 정다각형 {p/q}에 대해서, 밀도는 q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밀도의 뜻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그냥 단순히 외우지 않고 개념을 알고 싶어요.

별 다각형의 밀도는 다각형의 경계가 중심을 둘러싸는 횟수이다; 이것은 중심점 주변의 경계에 대한 감김수이다.

별 정다각형 {p/q}에 대해서, 밀도는 q이다.

이것은 중심에서 무한으로 뻗어나가는 반직선에 교차하는 변의 최소 개수로 시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질문2

"한 쌍(작은 별모양 십이면체—큰 십이면체)은 밀도가 3이고, 다른 쌍(큰 별모양 십이면체–큰 이십면체)은 밀도가 7이다"

이건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다면체에서의 밀도를 알려 주세요. dv V − E + df F = 2D를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아서 케일리밀도를 오일러의 다면체 공식 (VE + F = 2)을 별 정다면체에 적용되도록 수정할 때 사용했다. 이 때, dv꼭짓점 도형의 밀도이고, df는 면의 밀도이고 D는 다면체 전체의 밀도이다:

dv VE + df F = 2D[2]

예를 들어, 큰 이십면체 {3, 5/2}는 삼각형 면(df = 1) 20개가 있고, 모서리 30개와 오각성 꼭짓점 도형(dv = 2) 12개가 있으므로,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질문3

볼록 정다면체의 밀도는 얼마인가요?

예를 들어, 큰 이십면체 {3, 5/2}는 삼각형 면(df = 1) 20개가 있고, 모서리 30개와 오각성 꼭짓점 도형(dv = 2) 12개가 있으므로, 다음을 얻을 수 있다:

2·12 − 30 + 1·20 = 14 = 2D.

이것은 큰 이십면체의 밀도가 7이라는것을 암시한다. 수정되지 않은 오일러의 다면체 공식은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5/2, 5}와 그 쌍대인 큰 십이면체 {5, 5/2}에서는 VE + F = −6로 적용되지 않는다.

별 정다면체는 두 쌍대쌍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형태는 그 쌍대와 같은 밀도를 가진다: 한 쌍(작은 별모양 십이면체—큰 십이면체)은 밀도가 3이고, 다른 쌍(큰 별모양 십이면체–큰 이십면체)은 밀도가 7이다.

헤스는 더 나아가서 일부가 다른 것 뒤쪽으로 접힐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면을 가지는 별 다면체의 공식으로 일반화했다. 밀도에 대한 결과값은 연관된 구면 다면체가 구를 덮는 횟수에 대응한다.

이것은 콕서터와 그외가 주요한 고른 다면체의 밀도를 결정하게 한다.[3]

일부 면이 중심을 통과하는 반다면체에 대해서는 밀도를 정의할 수 없다. 비가향 다면체 역시 잘 정의된 밀도는 없다.

한자로 한 번에 잡는 중학 핵심개념 109

오형민 저 | 글담출판 | 2015.07.25

별점9.4 | 네티즌리뷰 22건

목차 도형 - 두 선이 만나면 교각, 세 선에서는 동위각 - 다각형을 넘어 활모양 호와 활 시위 현까지 - 면이 많은 다면체부터... 지리 - 지도 여행은 붉은 길 적도와 가로세로 위도, 경도로 - 날씨 기후와 땅 모양 지형은 인구 밀도를 높이지 - 타잔 동네 열대우림과...

고등수학에 대해서

2013년도 고등수학 목차를 세부까지 알고싶어요. 예를 들어... 도수분포다각형 ․도수분포표에서의 평균 ․상대도수의... 위치관계 ․다면체, 회전체의 성질 ․입체도형의...

선박설계에서 사용되는 SIKOB...

SIKOB 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1. SIKOB이란? 2. 선박설계에서... 여러 다각형을 skinning하여 만든 면 등)를 이용해... 있는 다면체(polyhedron)로 이루어진 선형이다. 2. EzCOMPART의...

축구 공 구조 에대해서요 내공 200~~!!!!...

... 그러므로 육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만으로는 볼록다면체를 만들 수 없습니다.... 왕관에 섞었을 은이나 구리 등 물질은 금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같은 질량의 금보다...

수학용어에 대해서

... 같은 다각형을 말한다. 정다면체(regular polyhedron): 다면체중에서 면이 모두... 수평축에 계급구간을, 수직 축에 도수나 도수밀도(상대도수밀도)를 표시한...

아르키메데스에 대한것을 알려주세요!!

... 그런데 인테넷에 아르키메데스에 대해서 검색해보니까... [14] 다면체가 갖는 부력에 대한 정리는... [36][37] 수학[편집] 원에 외접하는 다각형과 내접하는 다각형의 둘레를...

수학선행학습

수학선행학습에 대해서 자유로운 의견좀 말해주세요... 등의 다각형과 원이다. 이러한 도형에는 각각이 가지고 있... 도형으로 다면체가 있 고, 꽃병, 도자기, 전신주 등과 같이...

아르키메데스의 업적

... [4] 아르키메데스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의 출생지와... [14] 다면체가 갖는 부력에 대한 정리는 아르키메데스의... [36][37] 수학[편집] 원에 외접하는 다각형과 내접하는...

중고등 수학 정리 사이트

... 그리고 최근 수능 동향에 대해서 정리된 곳도 알려주심... 등의 다각형과 원이다. 이러한 도형에는 각각이 가지고... 도형으로 다면체가 있 고, 꽃병, 도자기, 전신주 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