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대전] 1943년 키르스크 전투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 부탁합니다.

[2차대전] 1943년 키르스크 전투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 부탁합니다.

작성일 2009.10.2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2차대전중 양진영에서 2000대가 넘는 전차가 서로 맞붙은 [키르스크 전투]에 대해서 찾을수가 없네요.

어느 협곡에서 우연히 조우하여 2000대가 넘는 전차가 난타전을 벌였다는데,

이것에 대해서 상세히 알려주세요.


#2차대전 1943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키르스크 전투가 아니라 쿠르스크 전투입니다.

 

협곡에서 우연히 마주친게 아니라 양 진영간의 철저한 준비속에서 벌어진 전투이죠. 상세한 답변은 위키피디아를 보시면 됩니다. 복사해서 갖고 올 수도 있지만 위키에서 활동하기에 그러기는 좀 그렇네요.

 

여기 링크를 걸겠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C%BF%A0%EB%A5%B4%EC%8A%A4%ED%81%AC_%EC%A0%84%ED%88%AC

 

그외 유명한 2차 세계대전을 소개하는 블로그인 페리스코프님이 적으신 실제 쿠르스크 전투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내용과는 많이 다른 내용이 들어 있으니 참고해서 읽으시면 좋습니다.

 

쿠르스크 전투에 속하는 프로호롭카 전차전의 진실

http://blog.periskop.info/2?category=1 

http://blog.periskop.info/47?category=1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 남부집단군의 공세작전의 분석과 비판

http://blog.periskop.info/52?category=1

http://blog.periskop.info/54?category=1

http://blog.periskop.info/55?category=1

 

이것만 보더라도 쿠르스크 전투에 대해서 상당히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페리스코프님의 블로그의 글은 출처를 꼭 밝혀야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943년 7월 5일, 쿠르스크 전투

 

쿠르스크 전투(Battle of Kursk)

성채 작전(독일어: Unternehmen Zitadelle)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동부 전선에서 일어난 가장 주목할 만한 전투 중 하나이다. 이 전투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갑전이었으며 하루 동안 벌어진 공중전으로 가장 치열했던 전투 중 하나로도 꼽히고 있다. 독일군은 오랫동안 이 전투를 준비하여 선제공격을 가했지만, 소련군은 프로호로프카 전투에서 독일군을 저지하는 데 성공, 곧 반격을 개시하여 오룔(오렐이라고도 한다), 벨고로트, 하르코프를 재탈환하였다. 이 전투는 소련군이 독일군에게 여름에 승리한 전투로는 최초였으며 이 전투에서 독일군 전력은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어 회복에 시일이 걸렸으며, 이후로 독일군은 두번 다시 공세로 전환하지 못하고, 소련의 파상공세에 동부 전선 전체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지휘관

독일

에리히 폰 만슈타인
귄터 폰 클루게,
발터 모델

소련

게오르기 주코프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니콜라이 바투틴
파벨 로트미스트로프

병력
병력 80여만
전차 2,700여대
항공기 2,000여대
병력 130여만
전차 3,600여대
항공기 2,400여대
피해 상황
사상자 및 포로 50만 명
전차 500여대
항공기 200여대
사상자 및 포로 607,737명
전차 1,500여대
항공기 1,000여대

 

 

독일군과 소련군의 전력 비교

독일군은 2개의 집단군으로 나눠 공격을 준비.

 

※남부집단군 = 2개군(제4기갑군과 캠프작전단)

  • 병력 : 보병 5개사단, 기갑 8개사단, 기계화보병 1개사단(병사 28만, 화포 2,500문, 전차-자주포 1,500대)

※중부집단군 = 제9군

  • 병력 : 보병 8개사단, 기갑 6개사단, 기계화보병 1개사단(병사 27만, 화포 3,500문, 전차-자주포 1,200대)

총합계 = 병사 90만, 화포-박격포 1만문, 전차-자주포 2,700대


소련군도 마찬가지로 2개 방면군으로 나눠 방어.

※보로네츠 방면군(적의 주공격이 예상되는 베르고로드지구)

  • 제6친위군, 제7친위군을 제1선, 제1전차군(제6, 제31전차군단, 제3기계화군단)을 제2선
  • 제69군을 코로챠 정면. 방면군예비, 제35친위저격군단, 제2, 제5친위전차군단

방면군 정면 114km 지대을 제6, 제7친위군이 담당. 남은 130km 정면을 제38, 제40군이 담당. 제2항공군이 작전을 지원한다.

※중앙방면군(포느이리방면을 중심으로 주 공격이 예상됨) 그 정면 95km에 집중적으로 배치한다.

  • 제1선을 제48,제13,제70군. 그 후방 제2선에 제2전차군(제3, 제16전차군단) 연장 200km의 정면에 해당하는 전선에 제65,제60군이 담당. 방면군예비,1개기병군단,2개전차군단(제9,제19). 제16항공군이 작전지원을 한다.

※총예비(스탭방면군) 전선후방 리브느이,스타-루이-오스콜의 선에 집결

  • 제5친위군, 제27, 제47, 제53군, 제1기계화군단, 제4친위전차군단, 제10전차군단, 3개친위기병군단. 제5항공군이 작전지원

병력-인원 57만, 화포 7,400문, 전차-자주포 1,500대(이 방면군의 전력은 통상의 예비개념이 아닌 총공격으로 전환시 제1선에 진출하여 공격의 주역을 담당할 전력으로 쓰이는것이 특색이다.)

총합계 = 병사 133만, 화포 2만문, 전차-자주포 3,600대, 항공기 3130기

 

 

 

 

 

중앙 러시아 세임강 상류에 위치한 古都 쿠르스크, 11세기에 원래 모스크바를 방어하는 국경 요새로 건설되었던 이 도시는 13세기 중반 타타르인 들에게 점령된 이후 러시아의 역사에서 사라진 도시였습니다.  그러나 1943년 7월, 쿠르스크는 인류 역사상 가장 뜨거운 용광로로 변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의 거대한 흐름이 뒤바뀌고 있던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실패로 수세에 몰린 독일군은 전략적인 결단을 내려야 했습니다. 애초에는 밀물같이 밀려오는 소련군의 거대한 흐름을 저지할 방어선을 후방에 구축하는 사이에 전선에서는 제한적인 공격으로 소련군의 전면 공세를 예방하겠다는 구상이었습니다.  그 후보지로 선택된 곳이 쿠르스크.

 

당시 동부전선의 상황을 보면 유일하게 이 지역만 소련군이 독일군 진영 안쪽으로 불쑥 들어와 있는 상태였는데, 독일군 총사령부는 35개 사단 53만의 병력을 동원, 이 돌출부의 남쪽과 북쪽에서 공세를 개시하여 돌출부를 잘라내고 전진하여 전방의 아군과 합류한다는 작전계획을 세웁니다. 돌출부 북쪽에서 모델 원수의 제 9군이, 남쪽에서 호트 대장의 제 4군과 캠프 대장의 캠프 전투단이 협동해 단시일 내에 이를 제거하고자 했습니다만 당초 의도와 달리 목표를 너무 거대하게 잡으면서 작전은 독일군의 바람과 다르게 진행 되었습니다.

 

독일어로 “치타델레(Zitadelle, 성채)” 작전으로 이름 붙어진 이 공격은 당초 5월초 개시될 예정이었지만 병력과 장비 부족을 호소하는 전선 지휘관들의 요청으로 두 달이나 연기 되었습니다. 그리고 작전 개시일에 맞춰 독일군은 56만의 병력과 2700여대의 전차를 겨우 긁어모았지만, 소련군 역시 127만명의 병력과 3600여 대의 전차로 방어선을 굳히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7월 5일 새벽 쿠르스크 전투-치타델레 작전의 막이 오릅니다. 공격 첫날 독일군은 대부분 예정된 목표지점을 점령하지 못하고 곳곳에서 엄청나게 매설된 지뢰와 대전차포로 촘촘히 짜여진 소련군의 방어망에 막혀 고전 합니다. 북부에서의 공격은 일주일 동안 10km를 전진하고 고착되었고, 강력한 기갑군단들을 앞세운 남쪽에서는 소련군의 방어선을 돌파했으나 소련군이 대규모 기갑부대를 투입하면서 대격전이 벌어졌습니다.


 

7월12일 쿠르스크 남부 프로호롭카에서 독일 제4기갑군 소속 전차 1천대와 소련 제5근위전차군 소속 전차 1천대가 중세의 기병들처럼 맞붙었습니다. 좁은 곳에 워낙 많은 전차들이 몰려 부대끼며 싸우는 바람에 포탄이 아예 전차를 뚫고 나가버리거나, 부딪혀 휘어진 포신으로 쏘다 전차 자신이 폭발했다는 기록까지 있을 정도니 당시 전투의 치열함을 알 수 있습니다.

프로호롭카에서 독일군은 전술적인 승리를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공세를 지속시킬 탄력을 잃어버렸습니다. 설상가상 병력과 장비에서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던 소련군이 전면적인 역공에 돌입해 독일군을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결국 다른 전선의 붕괴 위험 때문에 치타델레 작전은 취소됐고 독일군은 7월24일 공격을 개시했던 출발선으로 되돌아와야 했습니다.

 

쿠르스크 전투는 2차대전을 통틀어 가장 큰 규모였을 뿐 아니라, 독일군이 본격적으로 패퇴하기 시작한 전투입니다. 동부전선뿐만 아니라 2차 대전의 전세를 실질적으로 바꾼 전투라고 할 수 있죠. 전투에서 수세에 몰릴수록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욕심에 사로잡히기 쉽지만 그럴 때일수록 현실을 냉철하고 객관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 물러서야 할 때 물러서는 것을 결단하는 것도 지휘관의 중요한 덕목임을 쿠르스크 전투는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쿠르스크 전투 상황도

 

 

전차에 올라타고 웃어 보이는 독일 친위대원들

 


소련군의 T 34 전차, 쿠르스크 전투는 인류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전차전이었습니다

 

포연을 뚫고 전진하는 소련군 전차와 보병들.

 

초췌하고 지친 모습의 독일군 병사들

[2차대전] 1943년 키르스크 전투에...

2차대전중 양진영에서 2000대가 넘는 전차가 서로 맞붙은 [키르스크 전투]에 대해서 찾을수가 없네요.... 이것에 대해서 상세히 알려주세요. 키르스크 전투가...

세계 1차 2차 대전대해서 설명

세계 1차 2차 대전대해서 설명잘된 책 추천받아요 전... 장마다 상세한 올컬러 대형지도와 함께 설명해, 전쟁의... 벌어진 전투로 나누어 정리해 1차 세계대전을 일목요연하게...

1차,2차 세계 대전 에서 가장 유명한 전투

... 그전투 이름과 설명 좀요. 제가 전쟁에 대해서 무지... 2차 세계 대전 쿠르스크 전 1943년 소련의 쿠르스크에서 벌어진 독일과 소련과의 전투입니다. 치타델레 작전이라...

2차세계대전 중에서 미국에 대해서 ..

... 미국과 관련된 가장 큰 전투(2차세계대전중에서)... 대공황에 대해서는 뉴딜 정책이라고 불리는 경제에 대한... 1943년 3월 루스벨트와 국무장관 콘덴 헐이 워싱턴에서...

2차대전 미국 101사단

... 벌지전투 (상세하게 해주세요 ^^) 4. 2차대전 당시 독일과 영국의 공수부대에 대해서도 간단히 조금 ^^ 아 제가... 참고로BOB의 506연대는 1943년에합류되었습니다.. (이들을...

제1,2차세계대전의 모~~~든것에 대해 상세...

제1,2차세계대전의 모~~~든것에 대해 상세하고 되도록 쉽게 설명해주세요!! 정말 모든것에 대해서요... 그리고... 한편 독일은 소련과의 전투를 계속하고있는 상황이었습니다....

2차세계대전..독일의장비(내공100)

... 판터에대해서) 에대해서 알려주세요 1.타이거... 전차가활약한 전투) 5.2차대전 최고의 전차는여?... 1934년 ~ 1943년 사용국가 나치 독일 스페인 중화민국...

공군 대장 진급

... 공군의 전투기 조종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도 수당과 부사관(하사) 급여 차액에 대해서는 아래의... 보다 상세한 내용은 공군항과고 홈페이지의 신입생 모집요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