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 급함] 역사가의 역사 개입

[엄청 급함] 역사가의 역사 개입

작성일 2018.11.2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면접 관련 자소서 준비때문에 갑자기 궁금해져서요 예민한 질문일 수 있어요(정치적 입장에 따라)


우리 한국사를 보면 운동, 혁명이라고 할 때도 있고 쿠테타, ~~의 난이라고 말할 때도 있잖아요


예를 들어서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을 묘청의 난이 아니라 운동이라고 한 점 , '이자겸의 난'을 '이자겸의 운동'이라고 안한 점


또 5.18 민주화 운동 , 6월 민주 항쟁, 광주학생항일운동, 5.16군사 정변, 4.19 혁명, 3.1운동, 6.10만세운동 등이 있잖아요


운동인지 쿠테타인지 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이로써 역사가가 가져야 할 태도와 가치관은 무엇일까요??


또한 역사라는 분야에서 약사가의 가치관과 환경이 얼마나 미칠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혁명과 쿠테타 사회운동은 목적별로  개념이 다릅니다

 

Movement: (운동)

일종의 사회개혁적인 목적하에 단체나 집단의 적극적인  활동을 말한다전체의견이나 범국가적 지지를 받을수있는 적극적 행위 새마을 운동 도덕재무장운동 질서확립운동 중국의 양무운동등

 

Revolution: (혁명)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활동의 새로운 전환점과 제도의 적극적인 변화를 말하며   이를 주도하는것은 소수집단에 의거 집행되며 점진적으로 전체에 파급효과를 미치게되어 제도와 구조적 변화나 체제의 전복을 를 가저오게하는 행위   소수에 의한   적극적 행위 이지만 전체 민중의 호응내지는 지지를  확보하여야  그 성패를 가름할수있는 것임. 프랑스혁명  영국시민혁명  러시아 10월혁명  한국의 4 19혁명  변혁을 수반하는ㄴ 것을  말합니다

 

Coup'detat:(군사정변)

반드시 군인에 의한 군사력을 동원한 무력정변을 말함 이것은 사회개혁이나 제도개선 구조변화가 아닌 단순한 정권탈취 행위나 체제전복을 소수의 집단인 군인의  무력적 편법적 행위를 말함   이는 즉 군대조직의 기본인 명령체계의 붕괴 반 란 과 항명 기존질서의 파괴등 격심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며 전체의견은  중요시된사례는 없고 소수의무력적 군사반란을 말함 5.16군사쿠테타변경) 12.12군사쿠테타(나중에 12.12사태라하였음)

 

용어 정리

항쟁(抗爭):(Uprising)

폭압에 저항하는 맞서 다투는 일, 또는 그 다툼을 말하며

부마항쟁

6.10 민주항쟁

대몽항쟁

세포이항쟁

 

의거(義擧)(Under)

정의를 위하여 사사로운 이해타산을 생각함이 없이 일으킨 행동.

안중근 의사 의거 윤봉길의사  의거 등등

 

시위(示威)(Demonstration) (protest)

사람들이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공공연하게 위력 또는 기세를 보여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행위 등

 

폭동(riot)

조직되지 않은 집단이 공권력 혹은 지도자에 대해 반대하는 폭력적인 시위활동.

 

광주 민주화운동은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라 합니다

그전에 광주폭동이라고 5공화국이 정권안보를위해 명칭을 폭동화한것인데  그때Riot란 한것입니다

조선 역사에  정난  반정 역변  난 으로  표기한것도   권력자  입장에서  승리하면  정난이고   실패한 군주이면  반정  반란으로  명칭이  부여됩니다

 

역사적관점에서 본 명칭변화

역사와 시민은 민주화운동이라 하는데 저지 탄압할려는 정부입장에서는폭동이라 합니다

역사가 그렇게 말합니다

동학도 1960년전까지 동학난 이라했다가  동학혁명 이를 1981  전두환정권이  동학 농민운동으로 격하시킨것입니다 (격하시킨이유는   광주사태와 연관성  차단이 목적)

 

4.19혁명도 과거에는4.19 의거라했다가 김영삼 정부때 4.19혁명이라 했습니다

5.16 군사정변을 지금 한국당이나  박근혜전 대통령 이  5.16 혁명이라고 명칭을 바꿔 부르고있습니다  박근혜가   자신  아버지 업적을 미화시키고  역사에 남길려면  명칭이 부여됩니다    김영ㅁ상  정권때  혁명에서  군사 정변으로 격하 되자   기를쓰고   혁명으로 다시 부칠려고  이를합리화 시킬려고  국정 교과서파문이라는전대미문의 사건을   만든  박근혜 입니다

이런것을 집권자의 인지 부조화론이라 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앞뒤 사리분별이 안되는역사인식)

 

이게 우리의 역사인식입니다 지나간 역사적사건명칭 하나 제대로 부치지 못하는 비굴한 정치가들때문입니다

광주사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어렵게 명칭 바꾼나라입니다 그 명칭을 또다시 보수세력들이 폭동으로 그리고있습니다 보수 대단결을위해

그정도 난리 치고 소요일어나지 않으면 민주화 입니까  부마 사태도 폭동였든가 라고 반문하고싶군요

혁명이나 민주화는 피를먹고 성장하는역사의투쟁입니다

 

 

역사가  견해가  아니라  정치권력자 의도와

역사를 바로보겠다는  민주적 집권자의 의견  충돌입니다

동학농민운동  명칭  변경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  으로 불려지디가  정부수립이후 동학 혁명으로 불려집니다  다시   전두환 정권당시 1982    혁명을 빼고  동학 농민운동으로  변경했습니다   이유는   5,18 항쟁을   동학관점에서  본다면  같은  혁명이  되어야 하므로  아예 명칭을   동학  농민운동으로 결정 한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역사가의 견해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기 때문에 영향력은 크다고 할 수 있겠죠

그런데 언제나 역사가들이 사실만을 쓰기가 어렵습니다
왜인줄 아십니까 잘 먹고 잘사니까 역사서를 쓰니까 그런거에요

중국쪽에서는 우리나라를 오랑캐로 표현하는걸 아십니까?
항상 자기편에서 바라보는 역사가들의 시선이 있기때문에 자신의 나라는 미화시키는 경향이 있어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임금이 나 잘나가니까 책좀 써 하고 시켜서 쓰는거니까요
못먹고 못살고 전쟁통에 역사서 쓰기 힘들죠

제가 하고 싶은말은 역사가들은 후세들에게 사실을 바로 알려주는게 가장 좋은것 아닐까요?
그게 올바른 가치관이라고 생각합니다

5.16 군사정변이라던지 광주민주화 운동이라는 말이 그때 일어났을 당시에는 썼을까요?
입밖에 꺼내지도 못했어요 말 잘못했다가는 죽으니까
잡아가니까 어떻게 하겠습니까

현대에 와서야 예전의 일이 잘 못 된 일이란걸 알게된거고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쿠데타와 운동도 같은 말이구요 천도 운동이라던지 난이라던지 의미는 같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달하려는 사람의 언어선택인것 같습니다 그렇게 큰 의미는 안두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제가 역사가라면 진실만을 알려주는게 가장 좋은일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보다 역사가 엄청없다는데.. 왜...

... 될만한 역사가 중요한거 같어요. 그래서 역사 학자들이 왜곡을 해서라두 좋은점을... 25때 미국이 완전 초토화에 가까울정도로 불법개입한 중곡군에게 포격을 가했는데두...

매우 급함 수행임

일상속 역사를 찾아 글을 쓰는 건데 더는 뮤지컬로... 찾을수있지만 역사가 우리 생활과 어떠한 관계가 있다고... 중공군의 개입으로 전쟁은 더더욱 장기화가 되었고 현재는...

역사왜곡에 대하여 내공 100드림 급함

... 100드려여 엄청 급해여 - 중국이 역사왜곡을 하는 이유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대 지금... 중국이 역사 왜곡을 하고 이 왜곡된 역사가 계속 이어질 경우 민족의 자주성에 큰...

조선역사 5대사건 학교 숙제 급함!!!!...

... 3국이 개입되면서 확대된 국제 전쟁이었다. 이 전쟁으로... - 의의 n 많은 역사 학자들은 인조 반정을 결정적으로... 의해 역사가 주도됐음에 의의가 있다. 실제 태종은 외척이...

조선 후기 경제 (엄청 급함)(내공50검)

중3 학생입니다 수행평가로 역사신문 만들어야되는데 경제가 잘 안나와서요 긴글보다... 깊숙히 개입했고 그결과 돈만 많으면 그당시 쉽게 구할수 없는 화승총과 같은 신무기...

자주 나무위키를 들리며 역사 지식이...

... 중국이 고구려, 발해 역사가 자기네 역사라고 하는데... 이 금나라는 엄청 세력을 넓히며 중국 대륙 북부부터... 그 뒤로 청나라는 지속되는 서양의 개입과 내부 반란으로...

호주유학질문(내공엄청많음!!!!!!급함)

... 호주 사립학교는 학교마다 시설이나 교육 방침 등에 다소 차이가 있으며 공립학교 보다 교사 대 학생수의 비율이 낮지만 역사가 오래된 명문 사립 학교들의 경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