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정약용, 맹자 질문

윤리와 사상 정약용, 맹자 질문

작성일 2024.04.1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맹자가 사단을 실천하고 확충해야 사덕이 형성된다고 했나요?(사덕이 선천적이 아니라 사덕을 실천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인가요?)

2. 정약용이 사단을 실천해야 사덕이 형성된다고 한게 맞나요?

3. 성리학은 사덕이 선천적으로 부여됐다고 말하나요?

4. 공자와 맹자의 차이점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윤리와 사상 #윤리와 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pdf #윤리와 사상 정리 pdf #윤리와 사상 난이도 #윤리와 사상 문제집 추천 #윤리와 사상 문제집 pdf #윤리와 사상 목차 #윤리와 사상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맹자의 말을 그렇게 해석한 것이 정약용입니다. 주희는 정약용과 달리 둘 다 선천이라고 해석한 것이고요.

2. 넵

3. 넵

4. 공자는 씨앗을 심은 사람, 맹자는 그것을 가꾸어서 줄기랑 이파리 나는 것까지 본 사람이고, 그 이후는 거기다가 꽃도 피우고 가지도 막 더 뻗고 다른 나무랑 접붙이기도 하고... 이런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자는 되게 기본적인 틀만 제시했습니다. 논어는 제자들하고 대화한 내용이라, 막 정교한 내용이 있고 이러지 않아요. 체계화 작업이 시작된 건 맹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성선설도 맹자부터고, 공자는 핵심 아이디어 정도 제공했습니다.

공자가 주장한 내용이면 거의 대부분 맹자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맹자가 발전시킨 독자적인 내용은(성선설, 사단/사덕, 항산/항심, 역성혁명 등) 맹자의 것으로 잘 구분해서 알고 계셔야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단과 사덕에 대한 고찰

사단과 사덕에 관한 주제는 동양 철학에서 중요한 논의 중 하나입니다. 맹자와 정약용, 그리고 성리학에서의 관점을 통해 이를 살펴보겠습니다.

맹자의 사단과 사덕

- 맹자의 주장: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보았으며, 사단(四端;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이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맹자는 이 사단을 바탕으로 사덕(四德)이 발현되며, 이를 실천하고 확충함으로써 더욱 선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정약용의 사단과 사덕

- 정약용의 주장: 정약용 역시 윤리적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나, 그의 주장이 맹자와 동일하게 사단을 실천함으로써 사덕이 형성된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자료는 찾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정약용은 일상에서 선한 행위를 지속적으로 실천함으로써 도덕적 성품을 함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성리학에서의 사단과 사덕

- 성리학의 주장: 성리학에서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며, 이는 천리(天理)와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성리학은 사단이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되었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사덕을 발현시킬 수 있다고 봅니다. 성리학은 사단을 통한 인간 본성의 선함과 도덕적 가치의 실현을 강조합니다.

공자와 맹자의 차이점

- 공자와 맹자의 주요 차이점: 공자는 도덕적 가치와 사회적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예(禮)와 인(仁)을 중심으로 한 윤리적 실천을 강조했습니다. 반면, 맹자는 인간 본성의 선함과 사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도덕적 성품을 함양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공자는 사회적 윤리와 질서의 구축에 더 중점을 두었고, 맹자는 인간 본성의 선함과 개인의 도덕적 발전에 더 큰 비중을 두었습니다.

윤리와 사상 정약용, 맹자 질문

... 맹자정약용, 그리고 성리학에서의 관점을 통해 이를 살펴보겠습니다. 맹자의 사단과 사덕 - 맹자의 주장: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보았으며, 사단(四端; 인(仁)...

윤리와 사상 정약용 질문

... '선을 좋아하고' 에서 = 맹자의 4단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정약용의 본성에도 4단... 열공하시고 더 궁금하시면 추가 질문 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윤리와 사상 정약용

윤리와 사상 정약용 선생님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정약용 선생님은 사단을... 하는 맹자의 입장 을 따르지만, 정약용은 사단이라는 도덕적인 마음이 없는데 어떻게...

윤리와 사상 질문입니다

윤리와 사상 질문입니다 정약용은 사단을 선천적이라 보았잖아요 사단을 기반으로... 또 사단은 사덕의 존재를 알게되는 단서이다 라는 선지가 맹자인건 저도 동의하지만.....

윤리와 사상 질문합니다

... 4덕은 실천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주자와 다른 해석을 합니다. 결국 정약용맹자의 사상에 반박하는 것이 아니라 맹자의 사상에 대한 주자의 해석에 반박하는 거죠 . , ~

윤리와 사상 질문

정약용은 영지의 기호를 통해서 인간의 본성은 동물과 다르게 선한 것을 좋아한다고 했는데, 그러면 공자, 맹자, 순자는 어떻게 보았나요? 딱히, 관련된 언급은 보지 못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