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서술형 질문(150)

윤리와 사상 서술형 질문(150)

작성일 2023.10.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정약용과 고자가 바라보는 인간의 본성론에 대한 관점을 공통점과 차이점을 나누어 서술하시오.
2.맹자가 주장한 항산항심론에 대한 내용을 군자가 백성에 대한 의무의 관점에서 서술하시오.
3.공자와 순자의 외적규범 "예"에 대한 입장의 차이를 서술하시오

서술형 문제여서 서술형 형식으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윤리와 사상 #윤리와 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추천 #윤리와 사상 pdf #윤리와 사상 정리 pdf #윤리와 사상 난이도 #윤리와 사상 문제 #윤리와 사상 문제집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정약용과 고자의 본성론 관점의 공통점과 차이점

정약용과 고자 모두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두 사상가들은 본성에 대한 관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정약용은 인간의 본성이 선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봅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을 "성(性)"이라 부르며, 이 성은 순수하고 선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고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봅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을 "악(惡)"이라 부르며, 이 성은 자아실현과 욕구추구에 의한 악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맹자가 주장한 항산항심론과 군자의 백성에 대한 의무

맹자는 인간이 타인에게 원한을 가지거나 상처를 입히는 것은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상황과 환경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교육과 환경을 제공하면 인간은 자연스럽게 선한 행동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군자는 백성에 대한 의무와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인간은 타인에게 선한 일을 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군자는 인간이 백성에 대한 의무를 다하면, 백성은 자연스럽게 군자에 대한 존경과 신뢰를 갖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공자와 순자의 외적규범 "예"에 대한 입장의 차이

공자와 순자는 모두 외적규범 "예"에 대해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두 사상가들은 외적규범 "예"에 대한 입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공자는 외적규범 "예"를 존경하고 따르는 것이 바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는 외적규범 "예"를 따르는 것이 인간의 도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순자는 외적규범 "예"를 따르는 것보다 내적규범 "의(義)"를 따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는 인간은 내면의 도덕성을 기반으로 행동해야 하며, 외적규범 "예"를 따르는 것이 내면의 도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link.coupang.com/a/bbUHPO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