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행복에 관한 질문이요

생윤 행복에 관한 질문이요

작성일 2024.04.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인간은 태어날때부터 행복을 추규하는 자연적 성향을 갖고 태어난다 라는게 칸트도 되고 공리주의자인 밀 벤담 싱어 베카리아도 가능한가요? 공리주의자면 다 해당되는건가요?급해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조금씩 의견 차이는 있습니다.

  2. 칸트의 윤리학에서는 인간의 합리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에 대해 강조합니다.

  3. 그러나 칸트의 관점에서는 인간의 성향이 단순히 행복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4. 한정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칸트는 인간이 도덕적 의무를 이행하고 종교적

  5. 도덕성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합리적 존재로서 강조합니다.

  6. 밀의 유틸리타리언 철학에서는 행복과 쾌락을 극대화하기 위한 행동을 지지합니다.

  7. 그러나 밀은 인간이 단순히 태어날 때부터 행복을 추구하는 자연적 성향을 가지고

  8. 있다는 주장보다는 인간이 쾌락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것이 항상 옳은

  9. 선택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10. 벤담도 밀과 마찬가지로 유틸리타리언 이론을 주장했으며, 쾌락과 고통의 양에

  11. 따라 행동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철학을 제시했습니다.

  12. 그러나 벤담의 관점에서도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행복을 추구하는 자연적 성향에 \

  13. 대한 명확한 주장은 보이지 않습니다.

  14. 싱어의 유틸리타리언 이론은 인간이 쾌락을 추구하는 경향을 강조하지만,

  15. 이는 그가 인간의 선호도를 중시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16. 그러나 싱거는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모든 존재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17. 존재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18. 베카리아는 형벌 체계를 개혁하고 사회적 행복을 극대화하기 위해 법과

  19. 징벌에 대한 유효성을 탐구했습니다. 그러나 베카리아의 주장 중에 인간이

  20. 태어날 때부터 행복을 추구하는 자연적 성향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드러나지 않습니다.

  21. 공리주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슬로건이 말하듯 행복추구를 빼고는 이야기가 안되지요.

생윤 질문 ㅠㅠ 이익 고려

생윤 자연에 관한 문제를 푸는데요.. 쾌고 감수 능력은 동물의 이익 고려를 위한... 싱어는 공리주의자로서 보편적 도덕 법칙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행복”을 주장합니다 (사실...

생윤 공리주의에 관한 질문!

... 행위자체가 도덕법칙에 부합하는가, 보편타당한가(의무론) vs 행위의 결과가 얼마나 유용한가, 최대다수가 최대의 행복을 누릴수있게되는가(공리주의)

생윤 아리스토텔레스 질문

... 《정치학》 “행복이란 자신에게 주어진 능력과 조건 안에서 가장 적절하게 스스로를... 폴리티카는 ‘폴리스에 관한 이야기’라는 뜻이다. 폴리스는 고대 그리스의...

생활과 윤리 질문입니다. 배려 윤리에

... 배려 윤리에 관한 질문인데요, 1.배려윤리에서... 3-2 배려 윤리적 접근 생윤의 여성윤리는 빼고 배려윤리만... 기쁨과 행복을 자신의 것으로 느낄 수 있는 정서적 능력...

윤리와 철학에 관한 질문 드리겠습니다

... 홉스,로크,루스,칸트의 강제력 독점에 대한 견해 1번 2번은 '행복으로 보는 서양철학'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고, 3번은 수능특강 생윤에 나오는데 적용은 직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