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공리주의에 관한 질문!

생윤 공리주의에 관한 질문!

작성일 2017.03.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공리주의중에 양적 공리주의랑 질적 공리주의가 있고
또 고전적인 행위 공리주의와 현대적인 규칙 공리주의가 있잖아요
벤담 밀 등의 공리주의자들을(지금 저 두분밖에 생각이 안나네요ㅜㅜ)
양적/질적 기준으로 나눠주시고
행위/규칙 기준으로도 한번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칸트는 의무론인데, 여러 견해들을 보면 공리주의와 좀 비슷해 보이더라구요
그렇다고 해서 칸트가 공리주의인것은 아닌거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의무론: 행위의 동기와 과정을 중시합니다!

1. 칸트의 사상 :대표적 인물로 칸트가 있죠
칸트하면 정언명령이 떠오르죠?
정언명령 에 보면' 네 의지의 격률이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되게 하라'는 정식과
'인격을 단지 수단으로 대우하지말고 목적으로 대우하라'는 정식이있는데

첫번째 정식이 하는 말을 풀어서 설명하면
너가 행동하는 모든 것의 원리 , 너의 준칙(기준)이 보편타당하고 바른것이여야 한다
라는 뜻이죠
의무론의 입장인게 확실해요! 의무론이 동기와 원리가 중요하다고 보니까요

2. 자연법 사상: 대표적인물로 토마스아퀴나스와 스토아학파(사람아님) 가 있죠
의무론에 속한다는 정도만 일단 알려드리겠습니다!





결과론 (공리주의):의무론과 다르게 결과를 중시합니다!

1. 행위공리주의 (개별행위로 이익을산출하는데요):
양적공리주의(벤담)와 질적공리주의 (밀) 로 나눠집니다
양적공리주의는 말그대로 쾌락의 양이중요하다고 보구요
질적공리주의는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고해요
그래서 배부른돼지보다 배고픈소크라테스가 낫다 라는 말도 하죠!

2.규칙공리주의 (행위공리주의를 지적하며 모든개별행위의 유용성을 일일히 언제 다 계산하냐며 등장했죠):
유용한 규칙을 세워서 그 규칙이 가져올 결과를 중시하는 공리주의입니다! 특별히 비중있게 설명할 내용이없네요!




의무론과 공리주의가 헷갈리지 않게 유명한 예화를 알려드리면요

브레이크가 고장난 기차가 달리고있는데
차장은 핸들만 돌릴수 있습니다
이때 핸들을 돌리지 않고 쭉직진하면
기차가 올줄 모른채 철로에 서있는 다섯명의 사람이 죽게되고
만약 핸들을 꺾어 오른쪽으로가면 아무죄없는 한명의 사람이 죽습니다

이 상황에 의무론에서는
핸들을 돌리면 의도적으로 한 생명을 살해한것이라서 핸들을돌리는 행위의 동기가 잘못되었다고 보아서
그대로 직진하는게 옳다고 볼것이고

공리주의는 직접손으로 핸들을돌리는거지만 결.과.적으로 다섯명보다는 한명이 죽는게 이익이라고 보며 핸들을 돌리는게 옳다고 볼것입니다

어떤차이인지 알겠죠?






행위자체가 도덕법칙에 부합하는가, 보편타당한가(의무론) vs 행위의 결과가 얼마나 유용한가, 최대다수가 최대의 행복을 누릴수있게되는가(공리주의)

생윤 공리주의에 관한 질문!

공리주의중에 양적 공리주의랑 질적 공리주의가 있고 또 고전적인 행위 공리주의와 현대적인 규칙 공리주의가 있잖아요 벤담 밀 등의 공리주의자들을(지금 저 두분밖에 생각이...

생윤 질문 ㅠㅠ 이익 고려

생윤 자연에 관한 문제를 푸는데요.. 쾌고 감수 능력은 동물의 이익 고려를 위한... 싱어는 공리주의자로서 보편적 도덕 법칙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행복”을 주장합니다 (사실...

생윤 질문 실천규범윤리학

... 이 두개의 질문이 왜 X 인가요?? 기계적으로 적용하지... 가령 사람을 죽인자를 사형할것인지에 관한 논의에서 습관적으로 칸트의 이론을 사용하지않고 공리주의나 루소와...

생윤 칸트 사형제 질문입니다

... 칸트는 공리주의를 비판하면서 사형이 다른 선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없고... 이는 "사형제" 에 관한 진술이며, "사람" 을 수단화하지 말라는 칸트의 기본 입장에 어긋나지...

생윤 오답선지 사회윤리 설명좀여ㅜㅜ

... (순수 절차적 정의에 관한 개념을 모르고 계셔도 아래... X 이거 제가 질문 내용을 잘못 이해하고 답변 달았다가... 벤담은 공리주의자입니다. 공리주의는 형벌의 목적을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