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로우 1세

호스로우 1세

다른 표기 언어 Khosrow I 동의어 Chosroes Ⅰ, Kisrā Ⅰ, Khosrau Ⅰ, Khosru Ⅰ, Khusrau Ⅰ, Khosrow Anūshirvan, 아누시르반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579
국적 페르시아

요약 사산 제국을 통치한 페르시아 왕(531~579 재위).
(그). Chosroes Ⅰ. (아). Kisrā Ⅰ. Khosrow는 Khosrau, Khosru, Khusrau라고도 씀. 별칭은 Khosrow Anūshirvan(페르시아어로 '불멸의 영혼 호스로우'라는 뜻).

목차

접기
  1. 개요
  2. 권좌에 오르기까지
  3. 개혁
  4. 군사활동
  5. 문화의 후원
호스로우 1세(Khosrow I)
호스로우 1세(Khosrow I)

개요

위대한 개혁자이고 예술과 학문의 후원자였다.

권좌에 오르기까지

젊은 시절에 대해서는 전설로밖에 전해지지 않는다.

한 이야기에 따르면 호스로우의 아버지인 카바드 왕이 이란 동쪽 지역의 헤프탈족에게 피난가던 도중에 (니샤푸르 시 가까이에서) 농부의 딸과 결혼하여 호스로우를 낳았다고 한다. 그의 아버지가 죽었을 때 호스로우는 바로 그를 계승하지 못했다. 그후 왕위다툼에서 성공하여 형제들을 처형했다. 그의 아버지의 치세가 끝날 무렵 마즈다크라는 종파의 종교혁명으로 사회적 혼란이 발생했다.

호스로우는 우선 질서를 회복하고 이후 쇠퇴하는 사산 제국을 변혁시키려고 개혁에 착수했다.

개혁

세제개혁이 가장 중요한데 이것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도입한 로마 제도에서 본뜬 것 같다.

종전까지 사산 제국의 세금은 토지의 수확량에 따라 징수되었던 듯하다. 호스로우는 매년 변동되지 않는 고정된 세액을 확립했다. 그리고 다른 세금도 도입하여 국가수입에 안정을 기했고 납세자들에게도 공정하게 했다. 호스로우의 세금정책은 이슬람 시대까지 지속되었다. 호스로우는 관료기구도 제정비했는데 총리 아래 여러 장관들, 즉 디완을 두는 제도는 그가 시작한 것이라고 한다.

그는 재위기간 동안 보조르그메르라고 하는 유능한 수상의 보좌를 받았는데 소설과 전설로 전해진 이 수상의 지혜와 능력은 유명하다.

호스로우 치하에서 왕권의 지방분권화과정은 역전되었고 전대에 강력한 권한을 가졌던 봉건대영주들의 세력이 약화된 반면, 디칸이라 불리는 하급귀족들의 중요성이 증대했다. 얼마나 많은 변화가 호스로우의 통치시기에 이루어졌고 또 그의 역사적 위상으로 얼마나 많은 것이 임의적으로 그의 공로로 돌려졌는지 알기는 어렵다.

몇몇 사료들에 의해 주장되는 것처럼 사회계층을 성직자·전사·관료·일반백성으로 나누는, 종교적으로 인정된 이 분류법이 그의 통치하에서 법전으로 성문화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하기는 어렵다.

군사활동

호스로우는 군대를 재조직했다.

4명의 총사령관을 임명하여 각각 이란의 국경선 4곳을 지키게 했다. 비잔틴 제국 및 시리아 사막에 있는 그들의 아랍 동맹국들과 접한 국경, 카프카스 산맥과 카스피 해 사이 데르벤트 시 부근에 있는 남부 러시아의 스탭 지대 인종들과 접해 있는 국경, 지금의 투르크멘 스텝 지대 부근의 카스피 해의 동쪽에는 방어성벽을 건설했다. 그러나 비잔틴 제국과의 전쟁으로 유명한 호스로우 통치시기에 그의 군대는 수세만 취하지는 않았다. 호스로우는 540년 대도시 안티오크를 점령하여 잠시 동안 지배했다.

그는 수도인 크테시폰 근처에 옛 안티오크를 모방하여 새 도시를 건설하고 이곳에 많은 죄수들을 안티오크에서 데려와 살게 했다. 호스로우는 동부에서 중앙 아시아의 새로운 세력인 투르크족과 연합하여 헤프탈족을 격파하고 그들의 여러 공국들에 대한 패권을 장악했다. 사산 제국의 동쪽 변경은 그의 통치기간에 옥수스 강까지 이르렀다. 또한 그는 카프카스 산맥의 아르메니아와 라지카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렀고 예멘도 정복했다.

호스로우는 그의 선임자들보다 더 직업군인에 의존했는데 선임자들은 전쟁을 착수할 때 봉건영주의 군대를 불러들였다.

문화의 후원

호스로우는 위대한 문화의 후원자였다.

529년 아테네에서 학원이 문을 닫았을 때 수많은 그리스 철학자들이 사산 제국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그들은 이 통치자에게 좋은 대접을 받았다. 후대에 유명하게 된 곤데샤푸르의 유명한 의학학교는 아마도 호스로우의 통치기간중에 시작된 것 같다(고덴샤푸르 아카데미). 또 유명한 내과의 부르조에를 인도로 보내 산스크리트학 문서를 수집하여 중세 페르시아어로 번역하게 했다.

체스 게임도 그가 인도에서 들여온 것이라고 한다.

천문학·점성학도 호스로우의 궁전에서 번영했으며 한 성좌표(zῑj-i Shahriyār라고 함)는 나중에 수많은 이슬람 성좌표의 기초가 되었는데 호스로우 통치기간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르다시르의 행동지침서 Kārnāmak〉와 같은 중대 필라비어로 된 몇몇 저서들도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

마찬가지로 일부 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인 〈아베스타〉를 편찬한 것과 이 경전을 기록하기 위해 특별히 아베스타 알파벳을 만든 것도 모두 호스로우의 명령에 의한 것이라 한다. 나아가 고대 이란의 이야기와 전설을 수집해 〈왕들의 서(書) Khwatāy-nāmak〉로 편찬한 것도 호스로우 시대였다고 하며 이것이 후에 페르도우시의 불멸의 서사시의 자료로 제공된 것으로 추측된다.

페르도우시의 〈샤나메 Shāh-nāmeh〉에서 발견되는 몇몇 이름은 호스로우 왕가에서도 사용했는데 이것으로 보아 호스로우가 고대전설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호스로우에 대한 이야기들은 그의 이름을 역사상에 사실 이상으로 유명하게 만든 것 같다. 이슬람 이전의 이란 건축물로 그 기원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면 단순한 일반서민들은 호스로우가 만든 것이라고 했을 것이다.

그가 많은 다리·길·궁전을 건설한 것도 사실이지만 전설 속에서 그가 지은 것으로 된 경우가 더 많다. 지금의 바그다그 근처 크테시폰에 있는 거대한 아치를 갖고 있는 유명한 궁전 타크 키스라도 호스로우 1세 때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지만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그의 명언집과 일화집 몇 권이 아랍어와 신페르시아어 본으로 보존되어 있다.

그 안에는 그의 정의와 지혜에 대한 명성이 인용되어 있다. 그의 궁전의 화려함과 통치의 영광은 이후 바그다드의 아바스 왕조의 모범이 되었고 호스로우가 세운 많은 기구들은 이슬람 시대에도 지속되어 이슬람 시대의 이슬람교도 군주들은 그를 이슬람 이전의 모범적 통치자로 보고 그를 본받기 위해 노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