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경

5경

다른 표기 언어 Wu ching , 五經

요약 〈역경〉·〈서경〉·〈시경〉·〈예기〉·〈춘추〉를 말한다. 2,000년 동안 이들 고전은 고대의 성인 공자의 이름과 결부되어 중국 사회·법률·정치·교육·문학·종교의 규범으로 작용했다. 중국 역사상 유례없는 큰 영향을 끼치기는 했지만, 중국의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5경을 배우기 전에 이보다 덜 까다로운 4서를 먼저 배운다. BC 136년 한 무제는 유교를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삼았고, 당시 5경을 가르치기 위해 설치된 박사는 그 명칭이 20세기까지 이어져왔다. 당나라에 들어 태종이 공영달에게 명하여 〈오경정의〉를 짓게 하여, 〈주역〉·〈상서〉·〈모시〉·〈예기〉·〈춘추좌씨전〉이 5경의 정본으로 확정되었다. BC 124년 5경은 태학의 주요 교과과정으로 채택되었고, 606년부터는 관직 등용의 기준이 되었다.

즉 〈역경 易經〉·〈서경 書經〉·〈시경 詩經〉·〈예기 禮記〉·〈춘추 春秋〉를 말한다. 이 가운데 〈예기〉·〈춘추〉를 제외하여 '3경'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악경 樂經〉을 더하면 6경이 된다. 이름이 크게 알려져 〈사고전서 四庫全書〉에서 중국의 저술을 넷으로 구분할 때 경(경전)으로 분류되어 사(역사)·자(철학)·집(문학)의 앞에 놓인다.

2,000년 동안 이들 고전은 고대 성인 공자(BC 551~479)의 이름과 결부되어 중국 사회·법률·정치·교육·문학·종교의 규범으로 작용했다. 중국 역사상 유례없는 큰 영향을 끼치기는 했지만, 중국의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5경을 배우기 전에 이보다 덜 까다로운 4서를 먼저 배운다.

공자(孔子)
공자(孔子)

BC 136년 한(漢) 무제(武帝)는 유교를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삼았고, 당시 5경을 가르치기 위해 설치된 박사는 그 명칭이 20세기까지 이어져왔다. 한대에는 〈시경〉에 노시·제시·한시(韓詩)의 3파가 있었으며, 〈춘추〉에는 공양전·곡량전·좌씨전 등의 여러 학파가 나타났다. 당대(唐代)에 들어 태종이 공영달(孔潁達)에게 명하여 〈오경정의 五經正義〉를 짓게 하여, 〈주역 周易〉·〈상서 尙書〉·〈모시 毛詩〉·〈예기〉·〈춘추좌씨전〉이 5경의 정본으로 확정되었다.

BC 124년 5경은 태학의 주요 교과과정으로 채택되었고, 606년부터는 관직 등용의 기준이 되었다.

한 무제
한 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