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신상

십이지신상

다른 표기 언어 十二支神像

요약 십이지에 대한 개념은 이집트·그리스·중앙아시아·인도·중국·일본 등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나 동물로 형상화된 것은 중국 한대 이후로 볼 수 있다. 중국에서 출토된 십이지생초상의 형상은 동물의 머리에 사람의 모습을 하고 몸에는 소매가 넓은 관복을 걸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국 당대의 영향을 받아 8세기 중엽경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시대의 십이지신상은 머리만 동물형상인 무인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고려시대에는 형식이 머리에 관을 쓴 수관인신상으로 바뀌며 능묘의 호석뿐 아니라 고분벽화·석탑·석관·부도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도 능묘조각과 불화에 십이지도무신장상이 유행했다. 예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납석제 뱀상·말상을 비롯하여 성덕왕릉·원성왕릉·흥덕왕릉 등의 십이지신상이 있다.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십이지에 대한 개념은 이집트, 그리스, 중앙 아시아, 인도, 중국, 일본 등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나 동물로 형상화된 것은 중국 한대(漢代) 이후라고 할 수 있다.

중국 당대의 문헌에는 십이지가 이미 시간의 신(神)으로 되어 있으나 당 중기에 이르러 방위신인 사신과 관련되면서 명기로 제작되거나 또는 능묘를 지키는 수호신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이른 예는 중국 시안 시[西安市] 동교 곽가탄의 사사례묘에서 출토된 십이지생초상과 서안 함조저 장만 출토의 십이지생초상(744)을 들 수 있다. 그 형상은 동물의 머리에 사람의 모습을 하고 몸에는 소매가 넓은 관복을 걸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중국 당대의 영향을 받아 8세기 중엽경인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십이지신상은 주로 머리만 동물형상을 한 무인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점차 조각의 한 주제로 독립되면서 독특한 조형의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는 그 형식이 변해 머리에 관을 쓴 수관인신상으로 바뀌며 능묘의 호석뿐만 아니라 고분벽화·석탑·석관·부도·동경 등으로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도 능묘조각은 물론이고 불화로서 십이지도무신장상이 유행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예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납석제 뱀상과 말상을 비롯하여 성덕왕릉·원성왕릉·흥덕왕릉 등의 십이지신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