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춤

소리춤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소리를 하면서 돌거나 열을 지어 어울리면서 추는 춤.

목차

접기
  1. 개요
  2. 남성춤
  3. 여성춤

개요

주로 서민들이 추었고 남성보다는 여성들의 참여가 많았다.

소리춤에서 여성춤은 주로 정월 보름이나 추석날 밤과 같은 명절에 추었으며, 남성춤은 일정한 시기가 있지 않고 노동을 하면서 수시로 추었다.

춤의 형식은 손을 잡고 추는 원무(圓舞), 손을 잡지 않고 추는 원무 또는 열무(列舞)가 있다. 소리춤의 노래는 대체로 일정한 가사 없이 즉흥적으로 부른다. 그래서 놀이의 분위기에 따라 사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어떤 사설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분위기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소리춤은 대부분 유희요(遊戱謠)에 맞추어 추지만 답가(踏歌)에 맞추어 추기도 한다. 노래의 내용은 남녀간의 사랑문제가 가장 많다.

소리춤을 크게 남성춤과 여성춤으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남성춤

경기도 김포의 김매기춤은 김매기를 할 때 농부들이 손에 호미를 가지고 다 같이 소리하면서 동작에 맞추어 춤을 춘다.

강원도 명주에는 남성들이 추는 고사리꺾기가 있는데 이 춤은 초동들이 묘판[墓地]을 중심으로 손잡고 원무하면서 〈고사리꺾는소리〉에 맞추어 추는 농경모의의 춤이다. 전라북도 익산의 지게목발춤은 지게꾼들이 잠시 쉬는 사이에 지게목발을 지게작대기 2개로 장구치듯이 치면서 흥을 돋우어 소리하면서 원무하며 논다.

경상남도 밀양의 지게목발춤은 작대기치기·꼭두마리·도리깨질·지게목발치기 등을 하면서 묘등(墓登) 주변이나 농장에서 추는 경우도 있다. 전라남도 진도 지산면에는 나무꾼들이 여흥으로 나뭇가지를 칠 때 사용한 기다란 꼬챙이 2개를 쪼그려앉은 2명이 마주잡고 땅과 꼬챙이를 치는데, 이때 노래에 맞추어 꼬챙이 위를 다른 1명이 뛰어넘는 발치기가 있다.

여성춤

전라남도 흑산도의 〈둥당기타령〉은 활장구와 물장구를 치면서 처음에는 앉아서 〈둥당기타령〉을 부르다가 몇 명이 일어나서 허튼춤을 추고 나중에는 모든 사람들이 일어나 원무하면서 노는 춤이다.

이러한 춤은 단순히 오락적인 춤이라기보다는 무속과 관계가 있으며 액막이로 집에 우환이 있을 때, 초상이 났을 때, 명절이나 고기잡이를 하고 돌아올 때도 춘다. 여성 소리춤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전라남도 진도·해남지방의 강강술래이다.

강강술래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說)이 있다. 이 춤은 벽사진경의 제의적 성격을 지녔으며 훗날 공동체적 두레놀이로서 노동현장에서 여흥으로 추어진 듯하다. 강강술래는 흥을 돋우기 위한 춤이므로 다른 놀이를 하다가 놀이판이 식어지면 춤추기도 한다. 그밖의 여성 소리춤에는 풍어를 상징한 춤인 청어엮자, 성모의적 춤인 바늘귀끼기, 남생아 놀아라, 건축모의의 춤인 기와밟기 등이 있다. 외때기(외따기)는 생산의례적 성격을 띤 마당제적 놀이다. 경상북도 영덕지방에는 전라남도의 강강술래와 비슷한 월월이청청이 있는데 이는 흥을 돋우기 위한 춤이고 달람세라는 춤은 전라도의 담넘기와 같은 춤이다.

재바재바는 춤꾼이 두 줄로 마주서서 한 조는 앉아 손잡고 한 조는 그 줄을 넘어서 제자리로 돌아오는 형태의 춤으로 2줄로 서서 마주보고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전투적인 춤이다. 경상북도 안동의 놋다리밟기는 춤꾼이 허리를 굽혀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있는 가운데 한 사람이 등을 밟아 앞으로 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이 춤에는 웅글놋다리밟기와 줄놋다리밟기 등 2가지가 있다. 웅글놋다리밟기는 놀이꾼들이 둥근 원을 만드는데 이는 여성 성기를 상징하고, 줄놋다리밟기는 일렬로 서는데 이는 남성 성기를 상징한 것이라고 한다. 이 놀이는 농경적 예축의례(豫祝儀禮)를 위해 추어진다는 학설이 있다.

소리춤을 출 때는 활장구나 물장구를 사용하여 반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춤은 선도자(先導者)가 있고 꼬리가 있는 원무 내지는 열무인 것이 특징이다. 소리꾼은 선소리꾼과 받는소리꾼으로 나누어지는데 앞소리는 목청이 좋고 소리를 잘 아는 사람이 하는 경우가 있고 아니면 즉흥적으로 누구나 소리를 할 수 있는 이른바 돌림소리로 하는 경우가 있다. 받는소리는 춤추는 사람 모두가 하는 것이 보통이다. 소리춤은 흥을 돋우기 위한 춤을 비롯하여 농경모의나 벽사적인 것, 전투적인 것, 성모의적인 것, 풍어적인 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소리춤은 오락적이고 서로간의 갈등을 풀고 삶에 생기를 북돋워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미적 의식이 담겨 있다. 그중에 공동체의식을 키우는 기능은 소리춤의 가장 큰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