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

서리

다른 표기 언어 胥吏

요약 중앙과 지방관청에서 행정실무나 잡무, 관료의 보조업무에 종사하던 품외(品外)의 직원.

아전(衙前)이라고 하며 중앙관서의 아전을 경아전, 지방의 아전은 외아전이라고 한다.

그러나 외아전은 보통 향리라고 부르며 서리의 대표적인 존재는 경아전이다. 중앙관서의 서리는 종류도 다양하며 소속관서에 따라 지위와 대우도 상당한 차이가 난다. 동반관서에 속한 서리들은 전곡출납과 장부정리, 회계, 문서관리, 문서등사, 공문서 작성과 전달, 연락사무, 공물수납, 역졸사역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서리의 임무를 '도필지임'(刀筆之任)이라고도 했다. '도'는 서리가 회계나 출납관리 업무를 보면서 공물 전세수납상황 등을 조그만 칼로 나무패, 또는 기둥 벽에 새기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이외 소속관서에 따라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의 경우 사헌부와 삼군부(三軍府)의 서리는 각기 문무관의 분경(奔競) 단속을 담당했으며, 형조·병조의 서리는 금령위반자의 단속을 담당하기도 했다. 각 사에 수납하는 공물의 수리와 검사, 선상하는 사역인, 노비를 점검하고 대립인을 알선하는 일도 서리들이 행한 주요업무였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비리와 농간이 발생하여 사회문제화하기도 했다.

고려의 서리는 문종 때의 관제정비 때 각 아문에 설치되었다.

고려의 서리는 관청실무를 보는 입사직인 주사(主事)·녹사(錄事)·영사(令史)·사(史)·기관(記官)과 미입사직으로 하급임무를 맡은 장고(掌固) 등이 있다. 이들에게는 문무관과 마찬가지로 토지와 녹봉을 지급했다. 고려의 서리는 권무(權務)·동정직을 거쳐 품관으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했는데, 미입사직도 차례로 진급하여 품관으로 승급할 수 있었다. 실제 고려 때에는 서리직을 거쳐 품관으로 진출하는 예가 많이 발견된다.

서리의 주요 공급원은 지방의 향리·서민(庶民) 들이었지만 이런 사정으로 사족의 자제들도 서리직에 많이 진출했다. 이외 서리직에는 사역직인 문복(門僕)·주선(注膳) 등 잡류(雜類)도 있는데, 이들은 품관과는 단절되어 있었다. 고려 후기에는 과거의 권위가 높아지면서 서리출신 관료가 비하되는 풍토가 나타났으며 신분제·관료제의 문란에 따라 서리의 폐단은 더욱 커졌다.

고려말에는 서리·내수(內竪)·환관 들이 고위직에 진출하는 사례가 늘었다. 고려에서는 각 아문이 독자적인 수조권을 가지고 있었는데 서리들을 지방에 파견하여 조세 공물을 수취하고 각종 작폐를 일으켰다. 나중에는 이들을 지방관으로도 많이 파견했는데, 이들은 소속 아문과 상전들에 대한 공납, 토지와 노비의 증식과 관리에 급급함으로써 커다란 사회문제를 야기했다. 또 지방의 향리들이 향역면제를 바라고 기술관직이나 서리직을 얻어 잠깐 복무한 후 귀향해버리는 사례도 많았다.

조선은 고려말의 문제를 수습하기 위해 서리제도를 크게 정비했다.

먼저 이과(吏科)와 서리취재를 시행하여 무자격자가 서리로 입속하여 관리로 승진하는 것을 차단했다. 초기에는 서리직의 명칭이 다양하고 관서에 따라 대우와 승진규정이 달랐다. 그러나 크게는 상급서리인 성중관(成衆官)과 하급서리인 이전(吏典)으로 나뉘는데, 〈경국대전〉에서는 각각 녹사와 서리(書吏)로 고정되었다. 조선의 서리는 녹봉이 없으며 근무일수에 따라 체아직을 받았다. 체아직을 받을 때는 녹봉을 받을 수 있었는데, 체아직의 수가 적어 교대로 돌려받으므로 1년 또는 수년에 1번 녹봉을 수령하는 정도로 그쳤다.

서리의 수는 1,200명 정도였는데, 정원외 서리도 상당히 많았다. 녹사는 514일, 서리는 2,600일을 근무해야 1자급을 올려받았다. 1품아문은 7품, 나머지는 8품으로 거관하는데, 실제로는 관직의 수효가 제한되어 있어 아문의 최고참을 1, 2명씩 거관시켰으므로 1년에 거관할 수 있는 자는 100명 정도였다. 처음에는 상급서리에서 거관하면 문무반직을 수령하고 수령취재에 합격하면 수령으로 진출할 수도 있었으나 15세기말 이후는 점점 어려워졌다.

거관하여 관직에 임명해도 곧 파직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급서리는 애초에 품관진출을 차단하여 거관 후에는 역승(驛丞)에나 진출할 수 있었다. 대신 반대급부로 군역면제의 특권을 주고 봉족을 지급했다. 이외 서반 경아전으로 조례·나장·제원(諸員) 등이 있는데, 이들은 동반 경아전과는 격이 달라 사령(使令)의 역할을 했다.→ 경아전, 성중관, 향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