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전쟁

30년전쟁

다른 표기 언어 Thirty Years' War , 三十年戰爭

요약 종교적 원인으로 시작되었지만 열강들의 정치적 야심으로 전쟁이 확대되었다. 최초의 근대적 ‘영토전쟁’으로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종전된 시점에 유럽 지도를 크게 바뀌었다.
주요전투지인 독일과 공국들의 피해가 심각하였다. 30년 전쟁의 시발은 1618년 가톨릭 신앙 의 절대 강요와 이에 대한 신교귀족들의 반발이었다. 이후 전쟁은 1625년 덴마크의 독일 침공, 스웨덴의 독일 침공, 스웨덴 프랑스 간 전쟁 등으로 이어졌다.
전쟁 결과 스페인은 서유럽에서의 주도적 입지를 상실했고 프랑스는 서방 강국으로 부상했으며 스웨덴은 발트 해의 지배권을 장악했다. 네덜란드는 독립된 공화국으로 승인받았다. 유럽의 가톨릭 종주국으로서의 신성로마제국은 사실상 붕괴되었다. 그 결과 근대 유럽의 주권 국가 구조가 확립되었다.

30년전쟁(Thirty Years' War)
30년전쟁(Thirty Years' War)

이 파괴적인 전쟁은 유럽 대륙 거의 전역에서 벌어졌으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전쟁이 끝났을 때 유럽의 지도는 돌이킬 수 없을 만큼 변모했다.

30년전쟁을 초래한 분쟁은 수년 정도 앞서 발생했지만 일반적으로 이 전쟁은 1618년에 시작된 것으로 본다.

1618년 장차의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2세보헤미아 왕의 자격으로 자신의 영토 내에서 가톨릭 절대 신앙을 강요하려고 하자 보헤미아와 오스트리아의 프로테스탄트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로마 가톨릭교). 페르디난트는 5년에 걸친 전투 끝에 승리했다.

1625년 덴마크크리스티안 4세는 이전에 스웨덴측에 발트 해 연안지방을 빼앗긴 손실을 상쇄하고자 점령 가치가 뛰어난 독일의 영토를 차지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했다. 그러나 크리스티안 4세의 패배와 1629년의 뤼베크 평화조약으로 유럽 강국으로서의 덴마크 지위는 종말을 고했다.

한편 폴란드와의 4년에 걸친 전쟁을 마무리지은 스웨덴구스타프 2세 아돌프는 독일을 침공, 독일의 여러 제후들을 자신이 표방한 반(反)가톨릭 및 반(反)신성 로마 제국 노선으로 끌어들였다(개신교).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열강들의 정치적 야심으로 전쟁은 더욱 확대되었다.

발트 해 강국을 꿈꾸던 폴란드는 스웨덴과의 싸움이 무승부로 끝나자 러시아를 침공, 모스크바에 부아디수아프(나중에 폴란드 왕)를 정점으로 독재체제를 확립함으로써 자국의 야심을 펼쳐 나갔다. 1634년 폴란드와 러시아 사이에 체결된 폴랴노프 평화조약은 폴란드의 러시아 왕위계승권 주장에 종지부를 찍었으나 폴란드로 하여금 발트 해 지역에서의 앙숙인 스웨덴과 맞서 다시 전쟁을 벌일 수 있게 해주었다.

당시 스웨덴은 독일의 혼란스런 상황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유럽의 심장부에서는 가톨릭·프로테스탄트·칼뱅주의 등 3대 교파가 각축을 벌였다. 각 군주들과 고위 성직자들이 외세를 불러들임으로써 상황은 걷잡을 수 없는 난맥상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싸움은 가톨릭과 합스부르크 왕가가 대표하는 신성 로마 제국을 한편으로 하고, 반(反)가톨릭 세력의 근간을 이룬 스웨덴과 네덜란드에 의지한 프로테스탄트 도시들 및 공국을 다른 한편으로 했다.

네덜란드는 80년간에 걸친 투쟁 끝에 마침내 스페인의 억압에서 벗어난 나라였다. 평행선을 이룬 분쟁에는 합스부르크 왕가 및 스페인에 대한 프랑스의 경쟁의식이 깔려 있었는데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왕가는 반(反)프랑스 연합전선의 구축을 시도해오고 있었다.

계속해서 간헐적으로 벌어진 30년전쟁의 주요무대는 독일 도시와 공국이었으며 이 지역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전투에 참가한 많은 군인들이 용병이라는 점은 30년전쟁의 한 특징이다. 이들 용병 가운데 다수는 급료를 제대로 지급받지 못했기 때문에 보급품 충당을 위해 시골마을을 약탈했으며 따라서 이 전쟁에서 하나의 전형을 이루는 이른바 '늑대 전략'이 시작되었다. 쌍방간의 군대는 모두 진군중에 약탈을 일삼아 도시와 마을 및 농장들을 황폐하게 만들었다. 마침내 열강들이 유혈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독일의 베스트팔렌에서 회동했을 때 유럽의 세력균형은 근본적으로 변해 있었다(베스트팔렌 조약). 스페인은 네덜란드를 잃었을 뿐만 아니라 서유럽에서의 주도적인 입지도 상실했다.

프랑스는 서방강국으로 부상했으며 스웨덴은 발트 해의 지배권을 장악했다. 네덜란드는 독립된 공화국으로 승인받았으며 신성 로마 제국의 소속 연방국가들에는 완전한 주권이 주어졌다. 따라서 정신적으로는 교황이 주도하고 세속적으로는 황제가 주도하는 유럽의 가톨릭 제국으로서의 신성 로마 제국은 사실상 붕괴되었다.

또한 주권국가들의 공동체라는 근대 유럽의 본질적인 구조가 확립되었다.→ 유럽의 역사와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