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가 강

볼가 강

다른 표기 언어 Volga River

요약 유럽에서 가장 긴 강.

목차

접기
  1. 자연적 특성
    1. 개요
    2. 자연지리
    3. 수문
    4. 기후
  2. 경제
    1. 댐과 저수지
    2. 항행
    3. 환경변화
  3. 연구와 탐사

고대에는 '라', 중세에는 '이틸' 또는 '에틸'이라고 불렸던 이 강을 중심으로 러시아의 역사가 이어져왔다. 볼가 강 유역은 유럽권 러시아의 1/3을 차지한다. 강과 그 유역의 거대한 규모와 엄청난 경제적·문화적·역사적 중요성으로 볼가 강은 세계적인 대하천으로 꼽힌다.

볼가 강(Volga River)
볼가 강(Volga River)

모스크바 북서쪽에 있는 발다이 구릉지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3,530㎞를 흐른 뒤 카스피 해로 흘러들어간다. 볼가 강의 고도는 발원지의 해발 228m에서 하구에서의 해수면하 28m에 이르기까지 완만하게, 그러나 많이 하강한다. 발원지에서 하구에 이르기까지 약 200개의 지류가 볼가 강으로 흘러드는데 그중 대다수가 왼쪽으로 유입된다. 볼가 하계망은 15만 1,000개의 강들과 영구·간헐 하천들로 이루어졌으며 총길이는 57만 1,200㎞이다.

지도
볼가 강

자연적 특성

개요

유역 면적은 138만㎢인데, 서쪽의 발다이 구릉지대와 중앙 러시아 고지로부터 동쪽의 우랄 산맥까지 뻗어 있으며 남쪽의 사라토프에서 그 폭이 급격히 좁아진다.

볼가 강은 카미신으로부터 하구까지 약 640㎞의 거리를 지류의 유입 없이 흐른다. 볼가 강 유역은 지리적으로 볼가 강 상류로부터 니주니노브고로트와 카잔까지 이르는 늪이 많고 숲이 무성한 지대, 이 지역으로부터 쿠이비셰프와 사라토프까지의 삼림 스텝 지대, 이 지역으로부터 볼고그라드까지의 스텝 지대, 남동쪽으로 카스피 해까지의 반사막저지대 등 4개의 지대로 구분된다.

자연지리

볼가 강의 수로는 상류(발원지로부터 오카 강과의 합류지점)·중류(오카 강과의 합류지점으로부터 카마 강과의 합류지점)·하류(카마 강과의 합류지점으로부터 하구) 등 3개 부분으로 나뉜다.

발다이 구릉지대를 통과하는 상류 흐름에서는 작은 하천에 불과하다가 지류 여러 개와 합친 이후에 강다운 강이 된다. 그 이후 일련의 작은 호수들을 거쳐 셀리자로프카 강을 받아들인 후, 남동쪽으로 단구상의 하곡을 가로지른다. 르제프 시를 지나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칼리닌에서 바주자 강과 트베르차 강의 유입으로 유수량이 증가하며, 몰로가 강과 셱스나 강과 같은 다른 하천들이 유입되는 리빈스크 저수지를 관통한다.

이 저수지에서부터는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우글리치 산악지대(남쪽)와 다닐로프 고지 및 갈리치추흘름 저지(북쪽) 사이의 좁은 수목선 계곡을 거치고, 운자와 발라흐나 저지를 따라 니주니노브고로트로 이어진다(이 구간에서 코스트로마·운자·오카 강이 유입함). 오카 강과의 합류지점에서부터 카잔까지 동남동 방향으로 흐르면서 우안에서 수라 강과 스비야가 강, 그리고 좌안으로부터 케르제네츠 강과 베틀루가 강이 흘러들어 그 규모가 2배로 불어난다.

카잔에서 남쪽으로 선회하며 쿠이비셰프 저수지로 들어가는데 그곳에서 왼쪽으로 볼가 강의 주요지류인 카마 강을 받아들인다. 이 지점으로부터 볼가 강은 거대한 하천이 되어 사마라 만곡에서 굽었다가 볼가 구릉지대의 기저부를 따라 남서쪽으로 볼고그라드를 향해 곧장 흘러간다(사마라 만곡과 볼고그라드 사이에서는 비교적 작은, 좌안의 지류들인 사마라·볼쇼이이르기츠·예루슬란 강만 유입됨). 볼고그라드 위쪽에서 볼가 강의 주지류인 아흐투바 강이 볼가 강에서 갈라져나와 카스피 해로 흘러들기까지 볼가 강과 나란히 남동쪽으로 흐른다.

볼가 강과 아흐투바 강 사이에 있는 범람원은 서로 연결된 많은 운하와 구하도 및 우각호가 특징적이다. 아스트라한 위쪽 2번째 지류인 부잔 강에서 시작되는 볼가 삼각주는 러시아에서 가장 큰 삼각주로 그 면적이 1만 8,985㎢이다. 볼가 삼각주의 다른 주요지류들로는 바흐테미르·카미자크·스트라야볼가·볼다 강 등이 있다.

수문

볼가 강의 유수는 눈(연수량의 60%)·지하수(30%)·비(10%)로 공급된다.

이 강이 통제되기 이전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봄에 홍수(폴로보디예)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또한 댐에 의하여 통제되기 이전에 수위의 연변화는 상류에서 6.9~10.8m, 중류에서 11.7~13.8m, 하류에서 3~14.7m였다. 연평균유량은 칼리닌에서 180㎥/s, 야로슬라블에서 1,097㎥/s, 쿠이비셰프에서 7,664㎥/s, 하구에서 8,002㎥/s이다.

볼고그라드의 남쪽에서는 증발로 인해 수량이 약 2% 감소한다. 연유수량의 90% 이상이 카마 강과의 합류지점 위쪽에서 공급되며, 카마 강 남쪽에서의 증가량은 단지 약 7%이다.

기후

볼가 강 유역의 기후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크게 변한다.

발원지로부터 카마 강 합류지점까지는 온대기후가 나타나 겨울은 한랭하고 눈이 많이 오는 한편 여름에는 온난하고 다소 습윤하다. 카마 강으로부터 볼가 구릉지대 남쪽까지는 여름에는 덥고 건조하며 겨울에는 눈이 거의 내리지 않으면서 추운 기후가 나타난다. 한편 남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기온과 증발량은 상승하고, 강수량은 감소한다. 상류유역에서 1월평균기온은 -7~-14℃이며, 7월평균기온은 17~20℃에 달하는 반면, 하류유역 아스트라한에서는 1월과 7월의 평균기온이 각각 -7℃와 25℃이다.

연강우량은 북서부가 635㎜, 남동부가 305㎜이며, 증발량은 북서부가 508㎜, 남동부가 203㎜이다. 볼가 강의 상류와 중류는 11월말에, 하류는 12월에 결빙이 시작되며, 해빙은 아스트라한에서는 3월 중순에, 카미신에서는 4월 초순에, 그외의 지역에서는 4월 중순에 이루어진다. 볼가 강의 무빙일수는 일반적으로는 1년당 200일이고, 아스트라한 부근에서는 260일이다.

그러나 소련 당국이 건설한 댐 안에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는 관계로 강의 기온이 크게 변화되어 댐의 상류 쪽에서는 결빙기간이 크게 늘어나고, 댐 아래쪽에서의 결빙기간은 감소했다.

경제

댐과 저수지

일련의 거대한 댐과 저수지들로 볼가 강과 볼가 강의 지류 카마 강은 곳곳에서 막혀 자연하천에서 일련의 저수지로 전환되었다. 이 모든 저수지들은 수력발전소와 항행갑문을 갖추고 있다.

볼가 강 최상류의 저수지인 이반코보는 면적이 326㎢이며, 1937년에 완공되었고 우글리치에 있는 다음 저수지(249㎢)는 1939년에 가동되기 시작했다. 1941년에 완성된 리빈스키 저수지(4,533㎢)는 대규모 저수지 건설 계획하에 만들어진 최초의 저수지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공사가 리빈스키 남쪽으로 속행되어 고리키·쿠이비셰프 저수지가 1957년에 완성되었으며, 이들 두 인공호 사이에 있는 체복사리 저수지는 1980년에 조성되었다. 면적이 5,957㎢로 볼가 강 저수지 중에서 가장 큰 쿠이비셰프 저수지는 볼가 강의 물을 집수시킬 뿐만 아니라, 카마 강을 상류 쪽으로 약 600㎞ 통제한다(→ 사마라 저수지). 볼가 강에 있는 마지막 저수지는 사라토프 저수지(1968)와 볼고그라드 저수지(1962)이다. 카마 강에는 3개의 저수지가 있는데, 그중 가장 최근에 건설된 것은 하부 카마 저수지이다(1979).

볼가 강에 있는 8개의 수력발전소와 카마 강의 3개를 갖고 있다. 수력발전소는 총 약 1,100만kW의 발전용량을 갖고 있다.

항행

약 3,200㎞에서 항행이 가능한 볼가 강과, 볼가 강의 70개 이상의 항행이 가능한 지류들을 통해 전체 러시아 내륙 화물운송의 1/2 이상과 러시아 내륙 수로를 이용하는 여객의 거의 1/2이 소화된다. 건축자재와 원자재가 전체 화물의 약 80%를 차지하며, 그밖에 석유·석유제품·석탄·식료품·소금·트랙터·농기구·자동차·화학기계·비료 등이 수송된다.

볼가 강의 주요항구로는 칼리닌·리빈스키·야로슬라블·니주니노브고로트·카잔·울리야노프스크·쿠이비셰프·사라토프·카미신·볼고그라드·아스트라한 등이 있다. 볼가 강은 볼가-발트 수로를 통해 발트 해와 연결되며, 볼가-발트 수로는 백해-발트 운하에 의해 백해(오네가 호 경유)와 모스크바 강과 연결된다. 아조프해와는 볼가-돈 운하에 의해 연결된다(→ 모스크바 운하). 이와 같이 볼가 강은 실질적으로 유럽권 러시아의 전체 수로계와 통해 있다.

환경변화

볼가 강의 광범위한 개발은 소련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생태계에는 나쁜 결과를 초래했다. 카스피 해에 서식하면서 볼가 강과 지류들에서 산란하는 철갑상어류(어란으로 만드는 캐비아로 유명함)와 흰연어류와 같은 어류들이 댐과 저수지들로 인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일이 차단되었다. 따라서 이 강에서 태어나는 거의 70여 어종의 서식지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와 산업폐수·도시하수·농업용수 등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볼가 강 수산업이 쇠퇴하게 되었다.

저수지에 물을 모으고 증발과 수로의 변경(주로 관개로 인함)에 의해 볼가 강 하구에서의 유출량이 감소되어, 1930년 이래로 카스피 해의 수면이 거의 지속적으로 낮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인위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이 수년간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카스피 해 철갑상어의 약 3/5이 자연적인 배란지를 잃은 대신 인공양식되고 있다.

연구와 탐사

볼가 강은 알렉산드리아의 지리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2세기), 슬라브족, 10~11세기 아랍의 지리학자들에게 알려졌다. 볼가 강에 관한 정보는 〈대수로에 관한 책 Kniga bolshomu chertyozhu〉(1627)과 1636년의 수문학적 기술서에 포함되어 있다. 볼가 강의 흐름은 1700년에 영국인 존 페리에 의하여 카미신 아래에서 최초로 측정되었다.

러시아의 두 항해가인 마카예프와 가브릴 안드레예비치 사라체프는 1782~83년에 트베르와 니주니노브고로트 사이의 구간을 조사했으며, 1809~17년과 1829년에 해운청이 삼각주를 조사하고 그 깊이를 측정했다. 1875~94년에 리빈스키에서 볼가 강 하구까지 조사되었으며, 상류에 대한 조사는 1896~1901년에 수행되었고, 1894년에 볼가·오카·시즈란 강과 다른 하천들의 상류도 조사되었다.

소련의 여러 연구소들이 수문학적·수문계측적 연구를 수행하여 20세기말에는 500지점 이상에서 강의 수위가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