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하마드 알리

무하마드 알리

다른 표기 언어 Muhammad 'Ali
요약 테이블
출생 1769, 오스만 제국 마케도니아 카발라(지금의 그리스에 있음)
사망 1849. 8. 2, 알렉산드리아
국적 이집트

요약 이집트의 부왕(副王)이며 파샤(1805~49).

목차

접기
  1. 개요
  2. 권력에의 진출
  3. 행정과 경제의 개혁
  4. 영토 확장의 시도

개요

19세기 초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의 창건자로서 이집트의 현대국가 형성에 이바지했다.

권력에의 진출

무하마드 알리는 알바니아인인 듯하지만 어느 민족 출신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백성이고 이슬람교도인 것은 확실하다. 아버지 이브라힘 아가는 카발라의 총독이 거느리던 소규모 지방군의 지휘관이었으며, 무하마드 알리가 어렸을 때 죽었기 때문에 무하마드는 카발라 총독 밑에서 자랐다.

18세 때 총독의 친척과 결혼했으며, 이 아내는 무하마드 알리의 자식 95명 중 5명을 낳았다. 무하마드는 담배무역에 관여했는데, 나중에 그가 상업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이때의 경험 때문일 것이다. 오스만 제국의 반(半)독립지역이던 이집트는 1798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프랑스 군대에게 점령당했다.

이런 상황에서 무하마드 알리는 오스만 제국의 원정군에 가담해 이집트로 가서 프랑스에 대항했다. 거기서 탁월한 정치력을 발휘해 1805년경 파샤의 신분을 가진 '왈리'(wāli: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파견하는 이집트 부왕)에 임명되었다. 오스만 제국 내 여러 지역 중 이집트만큼 사회를 완전히 재건설해볼 수 있는 기회는 어디에도 없었다. 당시 이집트는 3년간의 프랑스 점령(1798~1801)으로 전통적인 정치·경제 구조가 혼란 상태에 있었다.

무하마드 알리는 프랑스가 시작한 개혁을 계속 이어받아 이집트 전통사회에 종지부를 찍는 과업을 실행에 옮겼다.

그는 이집트에서 과두지배를 이룬 맘루크를 제거하고 옛 지주계급들을 쫓아냈으며, 성직자계급을 정부의 연금생활자로 만들었다(맘루크). 또한 토착 상인들과 장인(匠人)들의 활동을 제한하고 베두인족을 제압했으며, 농민반란의 움직임을 완전히 억눌렀다. 이제 그의 앞에는 이집트를 현대화 노선에 따라 재건하는 과제가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무하마드 알리는 선천적으로 매우 총명하고 개인적인 매력은 있었지만 지식에 한계가 있었고, 시야가 좁아 자신 앞에 열려진 가능성들에 예민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대체로 오스만 제국의 통치 원칙을 따랐다.

이집트 사회 안에 있던 어떠한 집단도 그에게 근본적인 변혁을 강요할 수는 없었으며, 변화의 도구가 될 만한 모든 요소들은 그의 정권 초기에 이미 제거되었다. 지배자와 피지배자가 힘을 모아 국민적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이념도 없었다. 결국 무하마드 알리는 자신을 몰아내려는 오스만 군주의 시도에 맞서는 데 대부분의 정력을 기울여야만 했다.

따라서 그의 정책들은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내는 것보다는 자신과 자신의 가족을 이집트의 세습 통치자로 굳히는 데 더 주안점을 두었다.

행정과 경제의 개혁

무하마드 알리는 이집트에서 자신의 지위를 강화하고 세입을 늘리기 위해 대대적인 변화를 시도했다.

1815년까지 이집트의 경작지 대부분은 국유지로 전환되었으며, 농업 소득도 지배자인 무하마드 알리에게 돌아갔다. 그는 또한 농업이 의존하던 관개체계를 개선했으며, 목화처럼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작물들을 도입하고, 경제를 엄격하게 통제하기 위해 정부의 행정체계를 재조직했다. 그는 또한 이집트의 천연자원을 가공할 수 있는 근대적인 산업구조를 수립하려고 했다. 또 자신의 용병을 해체하고 농민계층에서 징집한 이집트의 육·해군을 창설했으며 군대의 지휘는 투르크인이나 외국인에게 맡겼다.

또 자신의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서구식 학교를 세우고 의사·기술자·수의사 등 전문직 요원을 양성했으며 유럽에 유학생을 보내 현대적인 기술을 배우게 했다.

그러나 주로 인력자원, 즉 토착민으로 이루어진 중간관리계층과 숙련된 노동계층이 부족했기 때문에 그의 산업화 실험은 실패했다. 농업분야조차도 행정상의 경영 미숙, 과도한 세금 부과, 농민징집, 그의 농산물 유통독점 등으로 쇠퇴했다. 무하마드 알리는 자신의 수입을 늘리기 위해 이집트를 거대한 농장으로 만드는 정책을 실시했으나 1830년대 중반에 이르면서 수입은 오히려 체감하기 시작했다.

반면 재정적 수요는 일련의 군사행동 때문에 대단히 증가했다.

영토 확장의 시도

무하마드 알리는 처음에 오스만 술탄이 아라비아와 그리스 반란을 진압하는 것을 지원했으며 또한 군대를 충원하고 국가재정을 위한 금을 얻으려고 나일 강 유역의 수단을 침공했다.

3번의 전투에서 모두 승리하자, 그는 1827년 유럽이 그리스 독립에 개입해 자신의 함대를 나바리노에서 패배시키기 전까지는 자신이 오스만 술탄에게 도전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오스만 술탄과의 첫번째 전쟁(1831~33)에서 아다나에 이르는 시리아의 영토관할권을 얻었으며, 2번째 전쟁(1838~41) 때는 니지프 전투(1839)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키고 오스만 함대를 사로잡는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이러한 승리로 유럽 열강들이 개입하게 되었다. 1840년 7월 영국·러시아·오스트리아·프로이센은 시리아에서 이집트의 지배를 끝내는 데 합의했고, 이로써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좀더 완전한 독립을 얻어내려는 무하마드 알리의 희망은 좌절되었다. 1841년 그와 그의 가족들은 이집트와 수단을 세습적으로 통치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되었으나, 그의 권력은 여전히 제약받았고 오스만 술탄의 종주권은 계속 유지되었다. 무하마드 알리는 1848년 공직에서 물러났으며 이듬해에 죽었다. 그가 시행한 개혁은 대부분 살아남기 위한 자신의 권력강화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므로 그가 죽은 뒤 많이 폐지되었다.

그러나 그는 독립 이집트 건국의 길을 닦아놓았다. 그의 후계자들은 부분적으로는 무하마드 알리의 잘못된 통치에서 비롯된 어려움들을 해결하는 데 실패했지만, 이것은 주로 그들 자신의 책임으로 돌려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