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러시아어

다른 표기 언어 Russian Language

요약 러시아 방언은 북부계열, 남부계열, 중부계열로 구분된다. 현대 러시아 문어는 모스크바 방언에 기초한다. 모스크바 방언은 주로 북부방언의 자음체계와 남부방언의 모음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러시아어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18세기에 표트르 대제가 서구화 정책을 추진한 이래로 서유럽 언어에서 많은 낱말을 차용했다. 19세기 시인 알렉산드르 푸슈킨의 작품은 이후 러시아어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 러시아어에서 명사·형용사의 단수와 복수는 6개의 격(주격·생격·대격·여격·조격·처소격)으로 나타내고 동사는 완료상과 불완료상으로 구분한다. 음성체계에 있어서는 무수한 치찰음과 겹자음이 있으며, 또한 일련의 구개음화된 자음 및 그와 대비되는 구개음화되지 않은 일반자음이 있다.

소련의 비러시아계 지역에서 제2 러시아어로도 쓰였다.

언어
언어

러시아 방언은 북부계열(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시베리아 전역에 걸친 지역), 남부계열(대부분의 중부와 남부 러시아), 중부계열(북부계열과 남부계열의 중간 지역)로 구분된다. 현대 러시아 문어는 모스크바 방언에 기초한다. 모스크바는 원래 북부 방언지역에 속했으나 북부와 남부 양쪽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형태의 중부방언이 나타나자 여기에 속하게 되었으며 모스크바 방언은 주로 북부방언의 자음체계와 남부방언의 모음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러시아어와 그밖의 동슬라브어(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는 13세기 후반부터 16세기에 비로소 눈에 띄게 서로 달라지게 되었으므로 고대 러시아어란 일반적으로 그 시기 이전에 쓰던 동슬라브 공통어를 가리킨다. 러시아어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18세기에 표트르 대제가 서구화 정책을 추진한 이래로 서유럽 언어에서 많은 낱말을 차용했다.

19세기 시인 알렉산드르 푸슈킨의 작품은 이후 러시아어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는데 구어와 교회 슬라브어를 융합한 그의 문체는 어떤 문체가 문어에 가장 적합한가에 대한 수많은 논쟁에 마침표를 찍었다(→ 고대 교회슬라브어).

현대 러시아어에서 명사·형용사의 단수와 복수는 6개의 격(주격·생격·대격·여격·조격·처소격)으로 나타내고 동사는 완료상(완료된 행동)과 불완료상(진행 또는 미완료 행동)으로 구분한다. 음성체계에 있어서는 무수한 치찰음과 겹자음이 있으며, 또한 일련의 구개음화된 자음 및 그와 대비되는 구개음화되지 않은 일반자음이 있다(구개음화된 자음이란 혀 끝이 입천정 뒤쪽 부분인 경구개를 향해 움직일 때 나오는 소리로 마치 반모음 'y'를 수반하는 것처럼 들리므로 연자음이라 불리기도 함).

슬라브 조어의 축약모음 ǐ와 ǔ는 고대 러시아어 초기에 이미 비강세 음절에서는 소멸되어버렸다(→ 낱말의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