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

대승불교

다른 표기 언어 Mahayana , 大乘佛敎

요약 대승불교는 한국·중국·일본·티베트에 널리 전파되어 있다. 1세기 무렵 붓다의 가르침을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경향을 시도한 이들은 보수파와 구별하여 자신들을 대승, 그들을 소승이라 불렀다. 현재 스리랑카·미얀마·타이·라오스·캄보디아 불교의 중심인 상좌부 계통과 대승불교는 붓다의 본질, 불교도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견해에서 차이가 난다. 상좌부 불교는 고타마 붓다를 진리를 가르친 자로서 존경하나, 대승불교는 붓다를 세상을 초월한 존재로 보며 역사적 인물로 나타난 붓다는 그 화신으로 본다. 소승불교에서는 아라한이라는 깨달은 성인이 되는 것이 목표지만, 대승불교에서는 깨달음에 이르렀으나 다른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 성불을 늦추는 보살이 되는 것을 이상으로 주장한다.

대승불교(Mahayana)
대승불교(Mahayana)

한국·중국·일본·티베트에 널리 전파되어 있다. 1세기 무렵 붓다의 가르침을 더욱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는 움직임으로서 나타났다. 이러한 새로운 경향을 시도한 사람들은 자신들을 교조적인 보수파와 구별하면서 그들을 다소 얕보는 의미로 소승(小乘 hῑnayāna)이라고 불렀다.

대승불교는 현재 스리랑카·미얀마·타이·라오스·캄보디아 불교의 중심인 상좌부(上座部) 계통과는 붓다의 본질, 불교도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견해에서 차이가 난다. 상좌부 불교는 역사적인 고타마 붓다를 진리를 가르친 자로서 존경한다. 그러나 대승불교는 붓다를 초세간적(超世間的) 존재로 보며 역사적 인물로 나타난 붓다는 그 화신으로 규정한다.

불교도들이 추구해야 하는 목표가 소승불교에서는 아라한(阿羅漢 arhat)이라고 하는 깨달은 성인이 되는 것이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이를 편협한 이기적 추구라고 보고 깨달음에 이르렀으나 다른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 성불(成佛)을 늦추는 보살(菩薩 bodhisattva)이 되는 것을 이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해서 보살의 가장 큰 공덕인 자비(慈悲)가 원시불교에서 강조했던 지혜(智慧)와 동등한 위치에 서게 된다. 보살을 통해 생기는 공덕은 중생들에게 옮겨질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고, 이러한 관념이 우리나라와 중국·일본의 정토교(淨土敎) 같은 타력적 신앙활동을 이끌었다.

대승불교의 경전은 주로 산스크리트로 씌어졌는데, 대개 원본은 소실되고 티베트어나 한문으로 번역된 경전으로만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