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

단식

다른 표기 언어 fasting , 斷食

요약 음식물의 섭취를 중지하는 일. 주로 종교적·정치적 목적으로 행해져왔다. 정해진 기간에 특별한 목적을 위해 단식하는 것은 주요 종교들의 특징이며, 항거나 단합의 표현으로서도 행해져왔다. 최근에는 체중 감량이나 건강상의 목적으로 단식을 행하기도 하는데, 무리한 단식은 신체에 이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야 한다.

목차

접기
  1. 개념
  2. 역사
  3. 종류
    1. 종교적 단식
    2. 정치적 단식
  4. 몸에 미치는 영향
단식
단식

개념

음식물의 섭취를 일정 기간 중지하거나 절제하는 일. 의례적·신비적·미용적 목적 또는 그 밖의 종교적·도덕적 목적을 위해 행해진다. 음식물을 완전히 금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절제할 수 있으며, 그 기간도 때로는 길게 때로는 짧게 선택할 수 있다. 예로부터 단식은 종교의 창시자나 그 추종자들, 또는 사냥꾼이나 특별한 단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 의식을 행하는 구성원들이 주로 행해왔다. 그밖의 사회적·도덕적·정치적 원리의 파괴에 대항하는 상징적 의미로서도 여러 개인이나 단체들에 의해 단식이 행해졌다.

역사

고대인의 종교와 문명에서 단식은, 사람들이 특히 성직자가 신격에 도달하기 위해 행하는 하나의 의식이었다. 아스클레피오스 신(神)의 치료의식과 같은 헬레니즘 시대의 신비적 종교에서 신은 오직 헌신적인 단식이 행해진 뒤에야만 헌신자의 꿈이나 환상 속에 신탁(神託)을 나타냈다. 많은 문화에서 단식은 신의 분노를 가라앉히거나 식물의 신처럼 죽었다고 믿어지는 신을 부활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원시종교에서는 종종 단식이 환상을 보는 데 필요한 요구조건으로서 환상 이전이나 환상 중에 행해진다. 시베리아의 일부 퉁구스족에서 무당은 종교적 인격체로서 치료나 정신적 전이의 능력을 가지는데, 무당이 되는 초기에는 단식에 의해서가 아니라, 알 수 없는 병을 앓고 나면서 최초의 환상을 보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첫 환상을 경험한 후에는 더 많은 환상을 보고 영혼들을 지배하기 위해 단식을 하면서 스스로를 훈련한다.

종류

종교적 단식

세계 주요 종교들은 특별히 정해진 신성한 기간이나 그 이전에,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단식을 행하고 있다. 불교의 승려들은 특별한 날에 단식하고 그들의 죄를 작은 목소리로 고백한다. 중국에서는 동짓날 저녁 제사를 지내기 전에 일정 기간 동안 단식한다. 인도에서는 힌두교의 성자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잦은 단식을 해 존경을 받는다. 서양 종교들 중에는 조로아스터교만이 단식을 금하고 있다. 그 이유는 그러한 형태의 절제가 악에 맞서 투쟁하는 신자들을 더욱 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서양의 다른 종교들인 유대교·그리스도교·이슬람교는 특정 기간 동안의 단식을 강조한다.

정치적 단식

종교적 기능 외에도 사회·정치적 목적, 특히 항거나 단합의 표현으로서 단식이 행해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20세기 전반에 살았던 마하트마 간디에게서 볼 수 있다. 그는 영국의 인도 지배통치에 반대하면서 비폭력주의(ahimsà)를 전개했다. 그러나 그의 가르침에 따르지 않았던 추종자들이 과다한 폭력을 행사하자 간디는 그들의 행위를 보상하기 위해 감옥에서 단식을 했다. 간디는 그뒤로도 비슷한 목적을 위해 종종 단식을 행했는데, 그중에는 정부가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에게 부과한 법적 무능력을 제거하기 위한 경우도 있었다.

몸에 미치는 영향

단식을 시행함으로써 음식을 섭취하지 않으면 몸이나 뇌, 신경 조직은 신진대사를 위해 필요한 포도당과 같은 양분을 몸 속에서 찾게 된다. 하루 정도 단식하면, 근육으로부터 글루코스가 추출되고, 단식이 계속되면 지방으로부터 지방산을 만들어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근육이나 심장, 간장은 지방산을 직접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다. 때문에 체중 감량이나 건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적 목적으로 단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단식한지 사흘 정도 지나면, 뇌는 지방산을 영양으로 쓸 수 없기 때문에 간에서 지방산을 분해하여 케톤을 생성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지방과 근육은 감소하게 되고, 신체는 이런 비정상적인 경우를 기억하게 된다. 또한 소비한 영양분을 보충하여 비상시를 위해 저장하려 하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반드시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무리한 단식이 계속될 경우 오히려 신체 장기에 이상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모든 단식은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