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항

김항

다른 표기 언어 金恒 동의어 도심, 道心, 일부, 一夫
요약 테이블
출생 1826년, 충남 논산
사망 1898년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 역학(易學)의 대가이자 남학계의 신종교인 영가무도교(詠歌舞蹈敎)의 창시자.

자는 도심, 호는 일부(一夫). 30세 이전에는 주로 문장과 예학에 힘을 쏟다가 한때 인근 마을인 띠올[芽村]에 내려온 연담 이운규(李雲圭)의 영향을 받았다. 이운규는 김항이 36세 되던 해 〈영동천심월 影動天心月〉이라는 오언절구를 주고는 홀연히 사라졌다고 한다.

이후 김항은 〈서전 書傳〉과 〈주역〉의 탐독 및 영가(詠歌)와 무도를 통한 정신의 계발 등에 정진한 끝에 1879년 진리를 찾게 되었다. 〈정역팔괘도 正易八卦圖〉와 〈대역서 大易序〉를 얻고, 마침내 1885년에 조선 후기 후천개벽사상을 집대성한 〈정역 正易〉을 저술하였다.

무라야마[村山智順]의 〈조선의 유사종교〉에서는 김항이 1879년 유교계통의 대종교라는 유사종교를 세웠다고 하나 뚜렷한 교단을 조직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인근의 유생들이 김항의 가르침을 따르고자 모여들면서 자연스럽게 집단이 형성되었다. 김항은 정역을 통해 후천역(後天易)을 가르쳤을 뿐 아니라 정기신(精氣神)의 조화를 통해 유불선(儒佛仙) 합일의 도를 이루도록 오음주(五吟呪)를 외며 무도하는 방법을 가르쳤다.

영가무도교라는 명칭은 이 때문에 생긴 것이다. 또 그는 선후천(先後天)이 교역할 때 큰 재난이 오기 때문에 무극대도를 닦아야 한다고 했는데, 오음송주(五吟誦呪)가 그 주요한 방법이었다.

그의 문하에는 10대 제자가 있었는데, 그중 하상역(河相易)이 김항이 죽은 뒤 2대 교주가 되었다. 그러나 하상역이 김항을 신비화하고 신앙대상으로 삼자, 김항의 직계를 포함한 유교적 성향의 제자들이 이에 반발하여 분립하였다.→ 남학, 정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