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

김소월

다른 표기 언어 金素月 동의어 김정식, 金廷湜
요약 테이블
출생 1902. 8. 6, 평북 구성
사망 1934. 12. 24, 평북 곽산
국적 한국

요약 시인. '한 (恨)'을 여성적 감성으로 표현해 낸 서정시를 주로 썼다. 대표작으로 <진달래꽃>, <산유화>가 있다.

목차

접기
  1. 문학세계
  2. 김소월에 대한 평가
김소월
김소월

본관은 공주. 본명은 정식(廷湜). 전통적인 한(恨)의 정서를 여성 화자를 통해 보여주었고, 향토적 소재와 설화적 내용을 민요적 기법으로 노래하였다.

아버지 성도(性燾)와 어머니 장경숙(張景淑)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외가에서 태어나 백일이 지난 뒤,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 남서동 본댁으로 돌아왔다. 2세 때 아버지가 철도를 설치하던 일본인에게 폭행당해 정신이상이 되자 할아버지가 그를 돌보았다.

할아버지에게 한문을 배우고, 숙모 계희영에게 〈심청전〉·〈장화홍련전〉등의 옛이야기를 들으면서 자랐다. 1915년 오산학교 중학부에 입학, 1916년에는 홍단실과 결혼했다. 3·1운동 직후 오산학교가 잠시 문을 닫게 되자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해 졸업했다. 그가 오산학교에 다닐 때에는 조만식이 교장, 서춘·이돈화·김억이 교사로 있었는데, 김억에게 시적 재능을 인정받아 시를 쓰기 시작했다.

1923년 도쿄상과대학[東京商科大學]에 입학했으나, 9월 관동대지진이 일어나 학교를 그만두고 귀국했다. 고향으로 돌아가 할아버지가 경영하는 광산일을 돕다가 1924년 〈진달래 꽃〉의 무대인 영변을 잠깐 다녀왔다. 김동인·김찬영·임장화 등과 〈영대 靈臺〉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나도향과 친하게 지냈다.

광산일이 실패하자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이사했다. 땅을 팔아 동아일보사 지국을 경영했으나 실패했다. 그뒤 생활이 어려워져 삶에 대한 의욕을 잃고 술만 마시다가, 1934년 32세 때 곽산에서 음독자살했다. 1968년 3월 한국일보사에서 남산에 그의 시비를 세웠다.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초판본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초판본

문학세계

1920년 2월 〈창조〉에 〈낭인(浪人)의 봄〉·〈야(夜)의 우적(雨滴)〉·〈그리워〉 등을 발표하여 문단에 나온 뒤, 같은 해 〈먼 후일〉·〈만나려는 심사(心思)〉(학생계, 7월호) 등을 발표했다.

그러나 본격적인 창작활동은 1922년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한 뒤부터이며, 주로 〈개벽〉·〈영대〉를 무대로 했다. 이를 연대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22년에는 시〈금잔디〉·〈엄마야 누나야〉·〈밤 제물포에서〉·〈새벽〉·〈진달래꽃〉·〈개여울〉·〈강촌〉·〈먼 후일〉·〈님과 벗〉 등과 소설 〈함박눈〉 등을, 1923년에는 시 〈님의 노래〉·〈옛이야기〉·〈못잊도록 생각나겠지요〉·〈예전엔 미처 몰랐어요〉·〈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자나깨나 앉으나서나〉 등을, 1924년에는 시 〈밭고랑 위에서〉·〈생과 사〉·〈나무리벌 노래〉·〈이요 俚謠〉 등을, 1925년에는 시 〈옷과 밥과 자유〉·〈남의 나라땅〉·〈천리만리〉·〈꽃촉불 켜는 밤〉·〈옛님을 따라가다가 꿈깨어 탄식함이라〉·〈물마름〉 등을, 1934년에는 시 〈생과 돈과 사〉·〈제이·엠·에쓰〉·〈돈타령〉·〈고락 苦樂〉·〈삼수갑산〉 등을 발표했고, 그가 죽고난 뒤인 1939년 〈여성〉에 시 〈박넝쿨타령〉(6월호)·〈술〉(7월호)·〈술과 밥〉(11월호) 등이 발표되었다.

그의 시가 민요시라는 견해는 형태론적인 근거와 소재론적인 근거에 바탕을 둔다.

음률상 2음보, 3음보, 후장 3음보, 3·3·4조 등의 리듬을 빌려 발전시켰는데, 〈진달래꽃〉·〈그리워〉·〈산유화〉 등에서 이런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작 〈진달래꽃〉은 떠나버린 임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3·3·4조에 맞추어 읊었다.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등에는 순종의 미덕보다는 미련과 원망, 자책과 갈등이 숨겨져 있으며, "고이 보내드리우리다"에는 임은 떠났지만 끝내 체념할 수 없다는 감정이 숨어 있다.

이런 역설적 감정은 결국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로 끝나고 있다.

그는 전해오는 설화에서도 시적 소재를 찾았는데,〈초혼 招魂〉·〈물마름〉·〈돈타령〉·〈박넝쿨타령〉 등이 그러한 작품이다. 이와 같이 그는 민요가 갖고 있는 향토적 소재, 설화적 내용, 민중적 정감, 여음, 방언을 직접 서술하거나 반복하는 등의 수법으로 기다림의 정서, 낭만적인 비극적 정서를 잘 보여주었다.

또 그는 지명(地名)에 대한 애착이 강했다.

시 제목에 지명이 등장하는 작품으로 〈장별면 將別面〉(개벽, 1922. 7)·〈왕십리〉(신천지, 1923. 8)·〈삭주구성 朔州龜城〉(개벽, 1923. 10) 등이 있다. "평양에도 장별리", "가도 가도 왕십리", "초산 지나 적유령", "인천에 제물포", "압록강을 건너면 신의주, 평양, 군산, 목포" 등 우리나라 지명을 시어로 나타낸 것이다. 시 〈마른 강두덕에서〉·〈봄밤〉·〈닭소리〉·〈잊었던 맘〉 등에서는 '운다·눈물·설움' 등과 같은 그의 시의 요체(要諦)가 되는 어휘를 많이 썼다.

그의 시는 애용하는 단어가 어떤 전후 문맥에 걸려 어떤 의미들이 조절을 받는가를 시험해보는 장소 같은 느낌도 준다.

1925년 〈개벽〉 5월호에 발표한 '음영(陰影)의 시학'이라고도 하는 시론 〈시혼 詩魂〉에서 어둡고 가냘프고 애잔하게 투영되는 시가 소중하며, 평범하고 습관적인 행위 속에서 '물(物)의 정체(正體)'를 발견할 수 있다고 했다. 그가 한국시사의 하나의 원형질적인 존재로 평가받고 있는 점은 가장 '평범한' 언어로 '비범한' 시적 조직을 만들어 충격적인 반응을 얻어냈다는 점이다.

그는 '해·봄·바다·밤·저녁'과 같은 시·공간을 나타내는 단어와 '님'이라는 주체어, 그리고 '그립다·가다·오다·설움·슬픔'과 같은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를 자주 썼는데, 위의 단어들이 인간의 삶에 가까운 것이고 보면, 그의 시인으로서의 능력은 '별난' 시어의 선택이 아닌 '별난' 배합과 조직에 있다고 하겠다.

단어와 단어를 묶고, 행과 행을 고도의 긴장관계로 엮은 그의 시는 한국의 전통적인 음수율과 음보율을 밝히는 데에 제일 좋은 운율학의 자료로 쓰이고 있다.

김소월에 대한 평가

그는 한(恨)을 노래한 시인이라고 평가받는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한은 순종과 미련이 교차하는 데서 기다림을 갖게 하고, 그 기다림은 쉽게 끝나지 않는다.

좌절과 미련이 서로 마주치는 과정에서 처절한 슬픔을 느끼게 한다. 죽은 이의 혼을 불러 다시 살리겠다는 염원에서 비롯된 〈초혼〉은 이런 처절한 슬픔을 잘 담아내고 있다. 그가 이렇게 한을 읊게 된 요인은 먼저 아버지가 정신이상자라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는 가정적으로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도 없이 항상 소외된 삶을 살았다. 아버지가 정신이상자라는 데서 오는 열등감과 마음에도 없는 결혼생활도 한의 생성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그의 시가 여성적인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여기에 포함된 한 역시 주위의 불행한 여성들의 생활과 깊은 연관이 있는 듯하다. 어머니, 숙모 계희영, 외숙모, 친구 김상섭의 아내 등은 그에게 있어 불행한 여인으로 비쳤다. 그밖에도 일제강점기에 지식인이 겪어야 하는 절망감과 허무의식도 한의 바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후기에 쓴 시를 보면 개인의 문제, 가정의 문제에서 나아가 민족감정에 눈뜬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돈과 밥과 맘과 들〉, 그리고 조만식의 민족혼을 읊은 〈제이·엠·에쓰〉 등이 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