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기관

피부기관

[ integumentary System , 皮膚器官 ]

요약 외부를 덮고 있으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된 신체기관

정의

피부계는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으로 바깥쪽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독특한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의 각질형성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와 같은 기질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피는 표피 아래에 위치하여 진피에는 혈관, 신경, 땀샘 등이 있다. 피하지방층은 지방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는 체온 조절과 외부 환경에 대한 장벽으로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성요소

피부계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된다.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각질형성세포이고 이 외에도 멜라닌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부정형세포, 머켈세포가 존재한다. 각질형성세포는 세포질에 케라틴 필라멘트를 모합하고 있으며, 교소체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있다. 각질형성세포는 분화단계에 따라서 안쪽에서부터 기저층, 가시층, 과립층, 각질층으로 구분된다. 멜라닌 세포는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세포로 표피의 가장 아래층에서 각질형성세포 10개당 1개 정도의 분포로 사이에 끼여서 분포하고 있다. 랑게르한스세포는 이 세포를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딴 것으로 피부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면역 세포이다. 부정형세포는 랑게르한스 세포와 모든 형태가 동일하나 전자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을 때 랑게르한스세포에 존재하는 버벡(Birbeck) 과립이 발견되지 않는 세포를 말한다.

표피과 진피의 경계부는 기저막대라고 불리우며 표피에서 진피쪽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개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다. 기저세포의 원형질막과 반교소체, 투명판, 기저판, 섬유성분이 그것이다.

표피 아래에 분포하는 진피는 유두진피와 그 아래쪽의 진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망상진피로 나누어지며 주로 콜라겐 섬유와 탄력섬유 등의 기질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다. 콜라겐 섬유는 피부의 구조와 피부 탄력성 유지에 중요하며 콜라겐의 양이 부족해지거나 손상되면 피부 상태의 이상이 초래되고 늙은 피부처럼 보이게 된다. 탄력섬유는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중요 물질로 변성이 오면 피부탄력이 없어지게 된다. 그 외에 프로테오클리칸이란 단백질이 존재하여 여러 종류의 당과 결합하여 피부의 구조와 기능에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표피부속기는 털샘피지 단위, 에크린 및 아포크린 땀샘단위, 손발톱으로 구성된다. 피지샘은 지질을 생산하는 구조로 털집과 연결되어 있다. 에크린땀샘은 저장성의 액체를 생산하여 몸의 표면을 통해 증발시켜 체온을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고, 아포크린땀샘은 냄새를 내는 것이 주된 기능으로 생각되고 있다.

피하지방층은 지방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엽들은 중격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열손상 방어, 충격흡수, 영양저장소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위 기관

피부계의 경우 외부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된다.

- 표피 : 각질형성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 외에도 멜라닌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부정형세포, 머켈세포가 존재한다.
- 진피 :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털샘피지 단위, 에크린 및 아포크린 땀샘단위, 손발톱 등의 피부부속기를 포함하고 있다.
- 피하지방층 : 지방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경, 혈관, 피부부속기를 통하여 구조 및 기능적으로 진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구조

피부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표피와 그 아래쪽의 땀샘, 모낭, 피지샘, 혈관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는 진피와 그 아래의 지방 세포로 구성된 지방층이 위치한다. 표피의 각질형성세포는 분화단계에 따라서 안쪽에서부터 기저층, 가시층, 과립층, 각질층으로 구분된다. 표피과 진피의 경계부는 기저막대라고 불리우며 표피에서 진피쪽으로 기저세포의 원형질막과 반교소체, 투명판, 기저판, 섬유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진피는 표피의 바로 밑을 유두진피라고 하며 그 이하 피하지방층까지 진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을 망상진피라고 한다.

피부계의 구조

피부계의 구조

표피의 구조

표피의 구조

기능

- 외부의 유해한 자극에 대한 장벽 역할을 수행한다.
- 수분과 전해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 체온을 조절한다.
- 촉각, 압각, 통각, 온도 자극 등에 대한 감각기능을 수행한다.
- 면역기능을 수행한다.
- 비타민 D를 합성한다.
- 내부장기의 이상을 표현하는 기관이 된다.
- 약물을 투입하는 통로가 된다.

관련 질병

습진성 피부질환, 홍반, 두드러기, 약발진, 구진인설질환, 곤충 및 기생충 매개 질환, 표재성 피부 진균증, 세균 감염 질환, 바이러스 질환, 성인성 질환, 자가면역 수포성 질환, 결체조직 질환, 색소이상증, 여드름, 주사, 피부 종양 등

관련 검사

확대경 검사, 우드등 검사, 압시경검사, KOH 도말 검사, 그램 염색법, 챙크 검사, 옴 소파 검사, 암시야 검사, 배양검사, 피부 생검, 면역 형광 검사, 전자 현미경 검사, 피부 반응 검사

동의어

피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