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하지방

피하지방

[ subcutaneous fat , 皮下脂肪 ]

요약 진피와 근막 사이를 느슨하게 결합시켜 주는 결합조직
계통 피부계

정의

피하지방층은 진피와 근막 사이에 위치하며 주로 지방 세포로 구성된다. 영양분의 저장 및 지방 합성, 열의 차단, 충격 흡수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위치

전신 피부의 진피와 근막 사이에 위치한다.

형태 및 구조

피하지방층은 지방 세포로 구성된 지방세포소엽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신경, 혈관 등을 통하여 진피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지방의 합성과 저장은 기존에 있던 지방세포가 증식하거나 지방세포 안에 지방이 축적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피하지방은 신체 부위에 따라, 성별에 따라, 연령에 따라 두께가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두껍고 중년층의 경우 허리의 피하 지방이 가장 두껍다.

피부의 형태

피부의 형태

하위 기관

피하지방은 지방세포소엽과 섬유성 중격으로 구성된다.

- 지방세포소엽 : 지방세포로 구성된 단위이다.
- 섬유성 중격 : 작은 혈관, 림프관, 신경 등을 포함하는 섬유성 결체조직으로 소엽 사이에 위치한다.

기능

피하지방층은 열손상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영양저장소로서의 기능과 몸매를 유지하는 미용효과도 제공한다.

관련 질병

지방층염, 종양, 위축 등

관련 검사

피부 조직 검사, 초음파나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