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관 스텐트

요관 스텐트

[ antegrade ureteral stent placement ]

요약 좁아진 요관에 스텐트를 넣어 소변이 흐르는 통로를 확보하는 시술
진료과 영상의학과
관련 신체기관 요관

정의

비뇨기계의 원발성 악성 종양, 다른 장기의 악성 종양으로부터의 전이, 결핵 등과 같은 감염, 외상 및 수술 시의 손상 등으로 요관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때, 또는 요로와 복강 및 창자 사이에 통로가 생겼을 때 소변이 내려가는 길을 확보하고 신장부터 방광까지 이어지는 요로의 압력을 낮추기 시행하는 시술이다.

준비사항

요관 스텐트 삽입은 대개 이전에 삽입된 경피 신루 설치술의 통로를 이용해 이루어진다. 시술 전 4~8시간의 금식이 필요하며, 정맥주사 경로가 확보되어야 한다. 피가 쉽게 나거나 혈전 용해제를 투약하고 있는 경우 의료진에게 미리 알려야 한다. 시술 전 필요한 경우 진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환자의 통증과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여 정확한 시술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시술방법

시술 전 일반적으로 진정제를 정맥주사하며, 시술 중에 필요할 때 진통제를 추가로 투여한다. 요관에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미리 경피 신루 설치술 시행을 받은 상태여야 한다. 경피 신루 설치술을 받은 후 1주일 정도 지나야 혈전이나 요관의 찌꺼기에 때문에 스텐트가 막히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시술 때문에 생긴 염증이 가라앉아 스텐트 삽입이 더 쉬우나, 필요하면 좀더 빨리 시행할 수 있다.

이전에 경피 신루 설치술을 시행하였을 때 넣은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투시 영상에서 불투명하게 보이는 약물)를 넣거나 유도철사를 넣고 요관 내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는 가느다란 카테터로 바꾼 후 조영제를 넣어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를 확인한다. 유도철사를 전진시켜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를 통과하여 방광까지 진행한다. 협착이 심한 경우 확장기나 혈관확장용 풍선을 이용해 늘린다. 이 경우 통증이 심할 수 있으므로 진통제를 투여하여야 한다. 사용하는 스텐트는 22~26cm 정도의 길이이며 한 쪽 끝은 신장 안에 위치하고 다른 한 쪽은 방광 안에 위치하며 양쪽 끝은 스텐트가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돼지꼬리 모양으로 동그랗게 말리게 된다.

시술 후에는 경피 신루 설치술 카테터를 적어도 하루 이상 가지고 있어야 한다.

요관 스텐트 시술 전과 후

요관 스텐트 시술 전과 후

소요시간

시술 전 소독 등의 준비를 하는 데부터 시술을 마치기까지 30분에서 1시간 정도 걸린다.

주의사항

시술 중 통증을 느끼거나 불편한 경우 갑자기 몸을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시술 중에는 의료진의 지시 사항에 적극 협조하여야 하며, 시술 중 심한 통증을 느낄 수도 있는데 갑자기 몸을 움직이기보다는 의료진에게 말로 통증이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경과/합병증

시술 후 다음 날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여 신장부터 방광까지 막힌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조영제가 잘 내려가지 않는 경우 소변을 봐서 요로의 압력을 낮춘 후 다시 조영제를 주입하여 검사를 시행하며 잘 내려가는 경우 카테터를 제거한다. 양성 협착의 경우 요관의 내강을 유지하기 위해 3주에서 8주 동안 스텐트를 유지해야 하며, 스텐트의 제거는 방광경을 이용해서 하게 된다.

부작용/후유증

시술 중 생길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요로의 천공(뚫림) 및 출혈 등이 있다. 시술 후 생길 수 있는 합병 증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스텐트가 막히는 것이며, 스텐트의 삽입 전에 넣었던 카테터를 제거한 경우라면 경피 신루 설치술을 다시 시행하거나 방광경을 통하여 스텐터를 제거 또는 교체하여야 한다. 그 밖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스텐트가 부적절한 위치로 옮겨가는 것, 혈전으로 스텐트가 막히거나 요로 점막이 부어 스텐트가 막히는 것, 감염 등이 있다. 시술 후에 며칠 동안 카테터를 통해 피나 피가 섞인 오줌이 나올 수 있으며, 소변을 볼 때 피가 섞여 나올 수 있고, 방광에 불편한 느낌이 있거나 소변이 자주 마려울 수도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개 별다른 치료 없이도 며칠 후에는 호전되거나 없어진다.

치료질병

염증이나 종양으로 인한 요관 협착, 요로와 복강 및 창자 사이에 통로가 생겼을 경우, 소변이 내려가는 길을 확보하고 요로의 압력을 낮춰야 할 경우

1) 염증이나 종양으로 요관(신장에서 방광까지의 통로)이 좁아졌을 때
2) 요로와 복강 및 창자 사이에 통로가 생겼을 때
3) 소변이 내려가는 길을 확보하고 요로의 압력을 낮춰야 할 때
4) 요로에 대한 수술이나 요로 주변 장기에 대한 수술 시에 요관이 어디에 있는지 알 필요가 있을 때
5) 요관에 대한 수술 후 치유 기간 동안에 요관 내부가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6) 요로 결석 때문에 초음파 쇄석술을 해야 할 때

생활가이드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방광에 불편한 느낌이 드는 등의 증상이 며칠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고 계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야 한다. 옆구리가 아프거나 열이 나면 스텐트의 기능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최대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