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동계올림픽경기대회

제24회 동계올림픽경기대회

[ XXIV Olympic Winter Games , 第二十四回冬季-競技大會 ]

요약 2022년 2월 4일부터 2월 20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24번째 동계올림픽경기대회.
베이징 동계올림픽 엠블럼

베이징 동계올림픽 엠블럼

대회기간 2022년 2월 4일~2022년 2월 20일
개최도시 중국 베이징·옌칭·장자커우
대회규모 참가국 약 90개국, 선수 및 임원 약 5,000명
한국참가인원 약 130명(선수 약 60명)
개최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봅슬레이, 바이애슬론, 스노보드, 스피드스케이팅, 스키점프, 스켈레톤,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스키, 피겨스케이팅, 프리스타일스키
참가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봅슬레이, 바이애슬론, 스노보드, 스피드스케이팅, 스켈레톤,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스키, 피겨스케이팅, 프리스타일스키

개최지인 중국 베이징의 지명을 따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이라 부른다. 대회 유치를 신청한 후보는 6개 도시(노르웨이 오슬로·스웨덴 스톡홀름·우크라이나 리비우·중국 베이징·카자흐스탄 알마티·폴란드 크라쿠프)였으나, 2014년 4개 도시가 재정 문제 등으로 유치신청을 철회하였다. 2015년 7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128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최종 후보 베이징과 알마티를 두고 벌인 투표 결과, 베이징이 알마티를 4표 차(44:40)로 제침으로써 제24회 동계올림픽경기대회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이로써 베이징은 하계(2008년 제29회 올림픽경기대회)와 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

2020 도쿄올림픽(제32회 올림픽경기대회)에 이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상황에서 치르는 두 번째 올림픽이다. 베이징올림픽조직위원회는 2021년 9월 해외 관람객을 받지 않기로 결정하였고, 2022년 1월 개막을 20일 정도 앞두고 베이징에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진자가 나오자 일반인 대상 입장권 판매 계획도 철회하였다. 하지만 전체 경기의 97%를 무관중으로 진행한 도쿄올림픽과 달리 특정 관중을 선정하여 경기를 관람하게 함으로써 유관중 입장을 고수하였다. 한편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덴마크, 일본 등은 중국의 신장 위구르 인권탄압을 이유로 선수단은 파견하되 정부 관료 등으로 구성된 공식 사절단은 파견하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였으며, 오스트리아와 스웨덴 등은 코로나19를 이유로 정부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았다.

대회기간 및 참가국

대회 기간은 2022년 2월 4일에서 2월 20일까지 17일간이다. 전 세계 약 90개국이 참가하고, 참가 선수와 임원은 약 5,000명에 이른다. 아이티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상 최초로 동계올림픽에 출전하고, 2020 도쿄올림픽의 일방적 불참에 따른 IOC의 징계로 국가가 아닌 개인 자격으로만 출전이 가능했던 북한은 불참한다. 이 대회가 끝난 뒤 3월 4일부터 3월 13일까지 10일간 같은 장소에서 제13회 동계패럴림픽경기대회가 열린다.

슬로건, 엠블럼, 마스코트

대회 공식 슬로건은 '함께하는 미래로(Together for a Shared Future)'이다. 엠블럼은 겨울을 뜻하는 한자 '冬(동)'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되었다. 상단은 스케이트 선수, 하단은 스키 선수를 닮았고, 중간의 리본 모양 모티브는 굽이진 산과 스키 슬로프, 스케이트 링크를 나타낸다. 엠블럼의 파란색은 얼음·눈의 순수함과 꿈·미래를, 빨간색과 노란색은 중국 국기의 색인 동시에 열정·젊음·활력을 상징한다. 마스코트는 얼음 옷을 입은 자이언트 판다인 빙둔둔[冰墩墩]이다. '冰(빙)'은 얼음을 의미하고, '둔둔[墩墩]'은 중국에서 사용되는 아이들의 애칭이다. 패럴림픽의 마스코트는 중국의 전통 홍등을 상징화한 쉐룽룽[雪容融]이다.

경기종목

7개 종목, 15개 세부종목에서 109개의 경기가 치러진다. 15개 세부종목은 노르딕복합, 루지, 봅슬레이, 바이애슬론, 스노보드, 스피드스케이팅, 스키점프, 스켈레톤,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스키, 피겨스케이팅, 프리스타일스키이다. 이번 동계올림픽에서 처음 채택된 세부경기는 봅슬레이 여자 1인승, 스노보드 크로스 혼성계주, 스키점프 혼성단체, 쇼트트랙 혼성계주, 프리스타일스키 남자 빅에어, 프리스타일스키 여자 빅에어, 프리스타일스키 혼성 에어리얼의 7개이다. 한국은 6개 종목(13개 세부종목)에 약 60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시설 및 경기장

대회는 세 권역(베이징·옌칭·장자커우 지구)으로 분산되어 열렸다. 옌칭은 베이징에서 북서쪽으로 약 75km 떨어진 산악지역, 장자커우는 베이징에서 북서쪽으로 약 180km 떨어진 스키장 지역이다. 경기장 중 일부는 2008 베이징올림픽 때 사용한 것으로, 베이징지구 경기장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개막식과 폐막식은 국가체육장에서 열리는데, 이는 2008 베이징올림픽의 주경기장으로 당시 개막·폐막식, 육상경기, 남자축구 결승전이 열렸던 곳이다. 

베이징지구 경기장은 베이징 국립 경기장(개·폐막식), 국립 아쿠아틱 센터(컬링), 국립 베이징 실내경기장(아이스하키), 우커송 스포츠 센터(아이스하키), 국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스피드스케이팅), 캐피털 실내경기장(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서우강 빅에어(프리스타일스키 빅에어, 스노보드 빅에어)로 구성된다. 옌칭지구 경기장은 국립 슬라이딩 센터(봅슬레이, 스켈레톤, 루지), 국립 알파인 스키 센터(알파인스키)로, 장자커우지구 경기장은 국립 바이애슬론 센터(바이애슬론), 국립 스키점프 센터(스키점프, 노르디복합), 국립 크로스컨트리 센터(크로스컨트리스키, 노르딕복합), 겐팅 스노우파크(프리스타일스키, 스노보드)로 구성되었다. 올림픽선수촌은 세 권역에 각각 설치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