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박수

심박수

[ Heart Rate ]

요약 1분 동안의 심장 박동수로, 건강과 운동 강도 설정의 지표가 된다.

1분간 심장의 박동수를 의미하며, 안정 시 심박수와 최대 심박수로 구분된다.

안정 시 심박수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심박수를 측정한 것으로, 건강한 성인의 안정 심박수는 60~100회 정도이다. 심박수가 낮을수록 심장이 1회에 더 많은 양의 혈액을 신체에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나이와 감정 상태, 복용하고 있는 약품 등의 요소들이 심박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운동 선수들에게서 종종 1분에 60회 이하의 심박수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를 스포츠심장이라 일컫는다. 강도 높은 운동으로 인하여 심장이 비대해져 1회 심박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건강에는 이상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이다.

최대 심박수는 1분간 심장이 뛸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치의 심장 박동수로, 최대 강도로 운동을 수행할 때의 심박수이다. 운동의 강도는 최대 심박수를 기준으로 하며, 최대 심박수의 85~100%는 고강도 운동, 70~85%는 중강도 운동, 60~70%는 저·중강도 운동, 50~60%는 저강도 운동으로 분류한다.

심박수 측정

안정 시의 심박수는 맥박을 확인함으로써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동맥이 피부와 가까운 손목, 팔꿈치 안쪽, 목의 가 쪽, 사타구니 그리고 발등 중 한 곳에 2~3개의 손가락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1분간 맥박수를 재거나 30초간 맥박수를 재어 그 값에 2를 곱한다. 5일 동안 같은 시간에 맥박을 잰 후 평균값을 낸다면, 측정 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정확한 최대 심박수를 얻기 위해서는 호흡 가스 분석기 착용 후, 최대 운동부하검사를 수행하여 대상자가 한계선에 이르렀을 때의 심박수를 측정해야 한다. 그러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대상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숙련된 측정자의 지도 아래 검사를 시행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 때문에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추정식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최대 심박수를 얻을 수 있는 간접 측정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추정식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220-연령’으로, 수치 220에 나이를 뺀 식으로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참조항목

건강, 심실세동, 운동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