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림

참나무림

[ oak forest ]

상관상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식생이다. 북반구에서 온대림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낙엽활엽수림으로 신갈나무림, 굴참나무림, 졸참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떡갈나무림, 갈참나무림 등과 상록성 참나무림인 종가시나무림 등이 포함된다.

오대산 국립공원에서 참나무 6종류를 비교하는 간판.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오대산 국립공원에서 참나무 6종류의 종자, 잎 및 줄기를 비교하는 간판.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목차

참나무란?

우리말로 ‘진짜’나무라는 뜻이다. 참나무속의 속명이 Quercus인 라틴어도 ‘진짜’ ‘참’이라는 듯이다.1) 동서양 모두 진짜나무라는 뜻이니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은 인간생활과 매우 밀접한 나무였기 때문이다.

참나무의 종류는 상록성과 낙엽성으로 구분한다. 가을에 낙엽이 떨어지는 참나무들은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상록성 참나무류는 가시나무류라 불린다. 낙엽성 참나무의 기본종들로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의 6종이 있다. 상록성 참나무로 붉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참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졸가시나무 등이 있다.2)

백두대간에서 우점하는 신갈나무의 종자.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참나무속의 특성

참나무속에는 북반구에서 침엽수 종을 제외하고 가장 중요한 경제적, 생태적 수종들이 포함된다. 목재 외에 탄닌을 추출하는 원료 및 식용으로 중요하다.1) 일부 수종에서는 코르크를 추출하여 사용한다. 참나무림은 유럽에서 산림의 9% 그리고 활엽수림의 27%를 차지한다. 미국의 동부지역은 전체 산림의 약 절반이 참나무림 혹은 참나무류의 혼합림이다.1) 참나무속 식물은 온대지역의 핵심적 요소로 북반구 온대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일부 열대지역에도 참나무속이 분포한다.1) 참나무속에 속하는 나무는 수백 종에 이르고, 수많은 잡종을 생성한다.

참나무는 대부분 암수한그루(자웅동주)이다. 꽃차례는 대부분 봄에 잎의 열릴 때 형성된다. 열매가 당해 연도에 성숙하는 것과 2년이 소요되는 것이 있다. 당해에 결실하는 참나무류의 발아율이 2년만에 결실하는 것보다 높다.1) 대부분의 참나무는 줄기, 지하경, 뿌리에서 영양생식(무성생식)으로 맹아 생산이 가능하므로 나이 추정이 불가능하다. 줄기 수명이 짧은 것들은 맹아갱신을 한다. 꽃의 생산과 종자생산이 해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낸다. 종자의 이동은 동물과 조류의 도움을 받아 확산속도가 빠른 편이다.1) 다람쥐는 보통 모수로부터 50 m 이내, 어치는 모수로부터 최대 1.1 km까지 종자를 운반한다.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편이다. 상록성인 참나무와 낙엽성인 참나무가 있다.

유럽의 참나무림

유럽은 오래 전부터 문화적으로 참나무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영국에서는 사람들의 생활 습관, 정서, 전설 및 문학에 참나무림이 영향을 주었다. 유럽에 약 27종의 참나무가 자생하고 있는데, 영국과 북유럽의 대표적인 참나무는 Quercus rubra이다. 오래된 참나무 숲이 남아 있고, 오래 전부터 식재를 했다. 지중해지역의 대표적인 참나무는 호랑가시 같은 잎을 가진 Quercus ilex코르크가 잘 발달한 상록성 참나무인 Quercus suber이다. Quercus suber는 식재와 관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1)

미국의 참나무림

미국에는 약 80종의 다양한 수종이 있고 많은 변종과 잡종이 분포한다. 그중 교목성은 60여 종으로 상록성과 낙엽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북동지역을 대표하는 참나무는 Quercus alba이다.1)

중국과 일본의 참나무림

100여 종에 이르는 참나무류가 중국의 서남 및 남부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상록성과 낙엽성 참나무류가 중국에 분포하고 있다. 일본도 한반도의 자생종을 포함하여 약 15종의 참나무가 분포하고 있다.1) 일본과 중국의 경우 한반도에 비해 난온대 상록수림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의 난온대상록활엽수림대에 분포하는 상록성 참나무인 종가사니무. (출처:한국식물학회, 이규송)

한반도의 참나무림

한반도는 인구밀도가 높다. 한국인들은 숲에서 목재나 땔감, 숯, 열매, 산채, 버섯 등의 생활필수품과 먹거리를 산지의 숲에 많이 의존해왔다. 많은 화전민들이 산에 의지해 살았고, 일제강점기의 수탈과 6.25 동란으로 산지에 대한 교란이 있었다. 또한 주기적인 산불피해를 받았다. 많은 지역에서 인간의 필요에 의해 조림이 이루어졌다. 한반도의 산지는 인간의 간섭이 없다면 백두산과 개마고원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이 참나무 성숙림으로 구성될 것이다.3) 그러나 많은 간섭과 교란으로 대부분의 산지가 조림지나 발달 중인 2차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침엽수조림지의 하층에는 참나무들이 출현하고 있고, 2차림지역은 참나무 맹아림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한반도에서 제주도와 남해안의 일부지역에서 상록성 참나무림이 형성될 수 있지만 이 지역 식생의 대부분은 훼손되어 있다. 남부와 중부지역은 낙엽성 참나무류가 대부분 2차림을 형성하고 있다. 저지대나 마을 주변의 소나무림도 대부분 참나무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다. 한반도에서 관찰되는 대표적인 낙엽성 참나무림은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떡갈나무림, 갈참나무림, 굴참나무림 및 상수리나무림의 6종류이다.1) 이 중에서 상대적으로 넓게 발달한 참나무림은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및 굴참나무림이다. 신갈나무림은 해발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서, 졸참나무는 저지대 계곡부와 남부지방에서, 굴참나무는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등의 경사가 급하고 다소 건조한 사면지역에서 많이 출현한다. 갈참나무림은 중부와 남부 지역의 계곡부와 사면부를 중심으로 졸참나무와 섞여 분포한다. 상수리나무림은 대부분 사람이 식재한 것으로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의 마을 주변 야산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데, 하층에는 신갈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한다. 떡갈나무림은 해안가, 저지대 능선부, 석회암지대와 같이 비교적 토심이 얕은 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한다. 상록성 참나무들은 낙엽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음성이 커서 2차림인 낙엽성 참나무림에서도 잘 자란다. 일본의 경우 난온대림에서 졸참나무림이 상록성 참나무 혼합림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곳이 많이 관찰된다. 이러한 지역은 연중 짙은 그늘로 인하여 졸참나무림에 비하여 식물과 동물의 종다양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반도에서 참나무류의 생육조건1)
수종명 토양
수분조건
내음성 생육지조건 수직적분포 결실시기 기타 특성
상수리나무 습, 적습 산록 야지 및 구릉지대 800m 이하 다음해 인공 식재림
갈참나무 습, 적습 비옥하고 습한 계곡 50 - 1000m 당해년
졸참나무 적습 산복 양지, 계곡 100 - 1800m 당해년 난온대, 온대 대표수종
신갈나무 적습, 건조 심산의 중복이상 100 - 1800m 당해년 냉온대 대표 수종
떡갈나무 건조, 적습 산복양지, 해안지대, 석회암지대 800m 이하 당해년
굴참나무 건조 산록양지 50 - 1200m 다음해
붉가시나무 적습 산록과 계곡 양지 제주도 170 - 500m 다음해
종가시나무 적습 산록과 계곡 제주도 600m 이하 당해년 난온대 상록수림 대표 수종
가시나무 건조 계곡과 산록 제주도 700m 이하 당해년 난온대 상록수림 대표 수종
참가시나무 적습 산록양지 - 다음해
개가시나무 건조 음지, 건조지 - 당해년
졸가시나무 건조 토심이 얕은 암석지대 - 다음해

한반도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체계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체계에서 한반도의 삼림식생은 극동아시아의 온대림을 대표하는 너도밤나무-신갈나무군강에 포함되는 신갈나무-철쭉꽃 군목에 속한다. 이 군목은 다시 두 개의 하급단위인 신갈나무-잣나무군단과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으로 구분된다.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단은 신갈나무-생강나무아군단,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 및 서어나무-개서어나무아군단으로 구분한다.3)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에 상록성 참나무림들과 상록성 참나무들이 분포가능한 지역에 형성된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군락들이 속한다. 온대 낙엽활엽수림대에는 낙엽활엽수인 참나무림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다양한 군락들이 이에 속한다.

백두대간을 지나는 점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한계령의 풍경. 신갈나무림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참고문헌

1. 숲과 문화 연구회 (1995) 참나무와 우리 문화. 숲과 문화 총서(3). 참나무 학술 토론회 자료집
2. 김태영, 김진석 (2018) 한국의 나무 –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 돌베개
3.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Dissertation of the University of Vien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