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관층

수관층

[ canopy layer ]

숲의 층상 구조에서 최상층으로 주로 교목성 목본의 수관(숲지붕)으로 덮여 연결된 하나의 층 구조이다.

경북 울진군 소광리 소나무의 수관 모습.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수원시 융건릉에 식재한 상수리나무림의 수관층의 모습.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목차

수관층의 정의

숲의 층상 구조에서 최상층으로 목본의 수관으로 덮여 연결된 하나의 층 구조이다.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및 초본층으로 구성된 4층 구조의 숲이라면 교목성 목본의 수관으로 연결된 최상층을 말한다. 아교목층, 관목층 및 초본층으로 구성된 3층 구조의 숲에서는 교목성과 아교목성 목본들의 수관으로 연결된 층 구조를 말한다.

수관층과 군집의 명칭

일반적으로 숲을 구성하는 수종 중 수관층에서 우점하는 식물의 식물량이 가장 많고 눈에 잘 띄며 군집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관층을 구성하는 수종을 이용하여 군집의 이름을 붙인다. 예를 들어 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등은 수관층의 우점종을 이용하여 군집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소나무-신갈나무 군집은 수관층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공동으로 우점하는 군집이다. 잣나무조림지, 자작나무조림지 등과 같은 조림지의 명칭도 수관층에서 우점하는 식재한 수종의 이름을 붙인다.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의 굴참나무군락의 소나무와 굴참나무의 수관.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수관층과 환경조건의 변화

수관층에서 목본들의 밀도와 피도는 숲 하층에 도달하는 빛을 조절한다. 따라서 숲 바닥에 도달하는 빛의 양은 수관층을 구성하는 종류에 따라 계절적으로 변화한다. 상록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은 계절에 상관없이 숲 바닥의 빛을 수관층이 차단하기 때문에 숲 바닥에는 내음성이 강한 식물들이 살아간다.

침엽수림의 수관층을 구성하는 나무들은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내기 때문에 낙엽의 분해 속도가 느려 낙엽층이 두텁게 발달한다. 또한 낙엽이 분해되면 유기산이 방출되어 토양을 산성화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침엽수림의 식물종다양성은 낮은 편이다. 침엽수림은 피톤치드를 많이 분비하고, 사람들에게 심신의 치유기능을 갖는다.

낙엽활엽수림은 수관층을 구성하는 목본이 개엽하기 전인 이른 봄 시기에 숲 바닥에 충분한 빛이 들어와 얼레지, 현호색, 바람꽃류와 같은 초봄식물이 임상에서 우점한다. 따라서 낙엽활엽수림의 경우, 초봄 시기와 여름 시기의 초본층의 구성과 우점도가 크게 다르다. 낙엽활엽수림의 경우 생물종다양성이 상록침엽수림이나 상록활엽수림수림에 비해 풍부한 편이다.

열대우림에서 수관층은 많은 동물들의 서식지이다. 그러나 수관층의 높이가 높아서 아직까지 열대우림 수관층의 생물종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점봉산 신갈나무림의 초봄시기 초본층의 모습.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천이와 수관층의 발달

새로운 나지가 형성되거나 숲이 훼손된 후 식생 천이 진행에 따라 식생의 층상구조가 발달한다. 우리나라에서 산불이 난 지역이나 묵밭에서 2차 천이에 의해 4층의 식생구조가 완성되는 시점은 지소의 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20년 전후이면 교목층이 형성되어 25년 정도이면 4층 구조가 완성된다.1) 2)

식생의 천이단계에서 교목층이 형성되기 전까지 아교목층을 구성하는 목본들이 수관층을 형성한다. 또한 숲의 천이 단계에서 빛 자원과 양분 자원의 가용성에 따라 또한 각 수종들이 천이진행에 따라 바뀌는 조건들에 대한 선호도와 내성에 따라 점차적으로 수관층을 구성하는 수종들이 천이 초기종에서 후기종으로 바뀐다. 숲의 천이에서 마지막으로 안정된 수관층을 형성하는 수종에 따라 극상 유형이 결정된다. 보통 기후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식생대마다 극상림의 수관층을 구성하는 수종이 달라진다.

참고문헌

1. 이규송 (1995) 진부(강원도 평창군) 일대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 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학위논문
2. 이규송 등 5인 (2004)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년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7: 99-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