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습윤기후

온난습윤기후

[ temperature humid climate ]

요약 주로 대륙 동안(東岸)에 나타나는 온대기후의 한 종류로, 여름이 매우 덥고 연중 습윤한 특성을 가지는 기후(Cfa).

주로 중위도에 나타나는 온대기후는 대륙의 서안에 위치하는지 동안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성격이 달라지는데, 대륙 동안의 경우 온난습윤기후(Cfa)와 온대겨울건조기후(Cw)가 나타난다. 이들의 공통점은 대륙 동안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이로 인해 여름에는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대륙에서 불어오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한랭건조하다.

온난습윤기후는 주로 바다에 인접해 있거나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해양성기후의 특징을 보이는 곳에 나타나며, 겨울에도 덜 건조하고 강수량이 비교적 많다. 여름의 경우, 아열대 해상에서 불어오는 덥고 습한 바람으로 열대기후와 비슷한 고온과 습도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이유로 온난습윤기후를 아열대습윤기후(humid subtropical climate)라 부르기도 한다. 온난습윤기후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지역은 중국 동남부, 우리나라의 남해안, 일본 중남부, 미국 동남부, 남아메리카 동남부 등이다.

식생은 다른 온대기후와 비슷하게 낙엽수와 침엽수가 섞여 있는 혼합림이며, 연중 따뜻하고 습윤한 특성에 따라 상록활엽수도 나타난다. 동아시아의 경우, 전통적으로 벼농사가 유명하며, 차 등의 재배도 활발하다. 남ㆍ북아메리카의 경우 밀, 옥수수, 콩 등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기업적 농업과 대규모 목장을 중심으로 한 기업적 목축이 발달하였다.

온난습윤기후 본문 이미지 1
온대겨울건조기후온난습윤기후서안해양성기후지중해성기후온대기후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