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포시 육종

카포시 육종

[ Kaposi’s sarcoma ]

카포시 육종은 혈액 및 림프 혈관의 내막에 형성되는 암의 한 종류로, 에이즈(AIDS) 환자와 같이 면역성이 결핍된 상태에서 인간 허피스 바이러스 8 (human herpes virus 8, HHV-8)의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질환이다. 외관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에이즈 환자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에이즈 환자 피부의 카포시 육종 (출처: )

목차

특징

카포시 육종의 병변은 일반적으로 다리, 발 또는 얼굴에 통증이 없는 자줏빛 반점으로 나타난다. 병변은 생식기 부위, 입 또는 림프절에도 나타날 수 있다. 심한 카포시 육종의 경우 병변이 소화관 및 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카포시 육종의 근본적인 발생 원인은 인간 허피스 바이러스 8 (HHV-8)이라는 바이러스 감염 때문이다. HHV-8는 카포시 육종 연관 허피스 바이러스(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 virus (KSHV))로도 불리운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HHV-8 감염은 면역에 의해 억제된다. 그러나 면역 체계가 약한 사람들은 HHV-8의 감염에 의해 카포시 육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에 감염된 사람들은 카포시 육종에 걸릴 위험이 가장 크다. HIV에 의한 면역 체계의 손상으로 HHV-8이 감염된 세포가 빠르게 증식하고 특징적인 병변이 형성된다. 에이즈 환자 뿐만 아니라 이식 거부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면역억제 약물을 장기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도 카포시 육종의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

에이즈 환자에서 얻은 카포시육종 세포주 (출처: )

진단

의심스런 피부 병변이 카포시 육종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생검(biopsy)을 실시해야 한다. 생검은 실험실에서 검사를 위해 의심스런 피부 병변에서부터 작은 조직을 얻어내는 것을 말한다. 대변 ​​잠혈 검사는 대변에서 숨겨진 피를 발견하여 소화관에서 카포시 육종이 발생했는지를 검사한다. 흉부 엑스레이 촬영은 폐에서 카포시 육종이 발생했는지를 검사한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위 내시경 검사, 대장 내시경 검사를 통해서도 해당 조직에서 카포시 육종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파

HHV-8는 타액을 통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감염 환자와의 입맞춤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또한 장기이식과 수혈을 통해서도 HHV-8가 전염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장기이식와 수혈 전에 HHV-8의 존재 유무를 결정하는 것이 HHV-8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치료

카포시 육종의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질병 유형

일반적으로 에이즈 관련 카포시 육종은 이식 관련 질환보다 훨씬 치료하기가 어려웠지만 점점 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 조합과 다른 에이즈 관련 감염의 예방으로 카포시 육종은 에이즈 환자에게 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병변의 수와 위치

광범위한 피부 병변 및 내부 병변은 격리된 병변과는 다른 치료가 필요하다.

병변의 영향

입과 목구멍의 병변으로 환자의 음식을 섭취가 힘들고 폐의 병변은 호흡 곤란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다리에 생긴 병변의 경우 통증이 심하고 부어 오르거나 움직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일반 건강

면역 체계 손상으로 인해 생긴 카포시 육종의 치료법으로 강력한 화학 요법은 추천되지 않는다.

에이즈 관련 카포시 육종의 경우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양을 줄이고 신체의 특정 면역 세포의 수를 늘릴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의 투약하는 것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이식 관련 카포시 육종을 가진 사람들은 면역억제 약물 복용을 중단할 수 있다.

관련링크

항바이러스제, 바이러스, 증상,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집필

이충호/동국대학교

감수

정우현/덕성여자대학교

참고문헌

  1. Kaposi Sarcoma Treatment ( ). National Cancer Institute. 16 June 2017.
  2. Schwartz, R.A., Micali, G., Nasca, M.R., and Scuderi, L. 2008. Kaposi sarcoma: a continuing conundrum. J. Am. Acad. Dermatol. 59, 179–206, quiz 207–8.

관련이미지

피부에 발생한 카포시 육종 증상

피부에 발생한 카포시 육종 증상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