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균

장구균

[ Enterococcus ]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소화 장관에서 발견되는 구균으로 대부분의 당류로부터 젖산을 생산하기 때문에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과 함께 젖산균으로 분류되며 통성 혐기성균에 속한다. E. faecalis (90~95%)와 E. faecium (5~10%)가 사람의 대장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E. casseliflavus, E. gallinarum, and E. raffinosus를 포함한 일부 장내균은 병원성을 띤다.

Enterococcus sp. from a pneumonia patient (출처: )

목차

기원

그리스어로 장관이라는 뜻을 가진 éntero와 granule의 뜻을 가진 coccos 합성어로 명명 되었으며, 형태학적으로는 Streptococcus와 유사하여 Streptococcus속으로 분류되었으나 1984년 Schleife와 kilpper-Balz에 의해 Enterococcus속으로 재분류 되었다. 

분류군

세균 도메인 > Phylum Fimicutes (피르미쿠테스 문) > Class Bacilli (바실러스 강) > Order Lactobacillales (락토바실러스 목) > Family Enterococcaceae (장구균 과) > Genus Enterococcus (장구균 속)  

구조 및 대사능력

장구균은 그람양성 구균으로 주로 쌍구균이나 연쇄상구균의 형태로 관찰되며, 세포벽에 란스필드 그룹 D 항원(glycerol teichoic acid antigen)이 존재하여 streptococci와 함께 그룹 D로 분류된다. 탄수화물로부터 유산을 생성하는 발효대사가 가능하며, TCA 회로 결핍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 절대 혐기성 세균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생장환경

장구균은 일반적으로 박테리아가 자라지 못하는 극한 환경에서도 생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흔히 존재한다고 알려진 사람의 소화장관 이외에도 토양, 수면, 동물의 분변에서도 발견된다. 생장 가능 온도는 섭씨 10에서 25도 이며 60도에서도 30분 가량 생존가능하며, 삼투압이나 pH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병원성

장구균은 요로감염, 균혈증, 세균성 심내막염, 게실염 등의 원인 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에는 ampicillin, penicillin, vancomycin 등의 항생제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장구균은 크게 병원성을 띠지 않으나, 그람양성균 감염증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베타락탐계(β-lactams)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중요한 병원 감염균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반코마이신(Vancomycin) 내성 장구균(vancomycin-resisrant enterococci, VRE)은 1986년 유럽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로 병원 감염의 원인 균으로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럽과 미국을 포함하여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상질환

인간의 장에서 공생하다가 배설물의 혼입으로 인간에서 질병을 일으킨다. 장구균은 특별한 병원성 인자가 없지만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에게는 중요한 병원체이다. 장구균은 병원 내에서 원내 감염을 일으킨다. 특히 비뇨기간, 복막, 심장 조직 등에 흔히 감염을 일으킨다. 장구균 패혈증으로 인한 합병증인 심장 내막염은 치사율이 높다.

관련용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움(Bifidbacterium), 피르미쿠테스 문(phylum Firmicute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바실러스(Bacillus),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TCA 회로(TCA cycle), 그람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 베타락탐계(β-lactams), 반코마이신(Vancomycin)

집필

강효정/경북대학교

감수

이은진/고려대학교

참고문헌

  1. Clarke, T. 2002. Gene kit makes microbe menacing. Nature Science Update: June 13th.
  2. Doe Joint Genome Institute. Organism Details, Enterococcus faecalis DO. March 22, 2005.
  3. Huycke, M.M., et al. 1998. Multiple-Drug Resistant Enterococci: The nature of the problem and an agenda for the future. Emerg. Infect. Dis. 4, 239-249.
  4. Paulsen, I.T., et al. 2003. Role of mobile DNA in the evolution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Science 299, 2071-2074.
  5. Science Education: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6. Shnakar, N. et al. 2002. Modulation of virulence within a pathogenicity island in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Nature 417, 746-750.
  7. Fisher, K. and Phillips, C. 2009. The ecology, epidemiology and virulence of Enterococcus. Microbiology 155, 1749–1757. doi: 10.1099/mic.0.026385-0. PMID 19383684 .
  8. Ryan, K.J., Ray, C.G., eds. 2004.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4th ed.). McGraw Hill. pp. 294–5. ISBN 0-8385-8529-9 .
  9. Pelletier, L.L. Jr. 1996. Microbiology of the Circulatory System. In Baron, S. et al. Baron's Medical Microbiology (4th ed.). Univ of Texas Medical Branch. ISBN 0-9631172-1-1 .
  10. Gilmore, M.S., et al., eds. (2002). The Enterococci: Pathogenesis, Molecular Biology, and Antibiotic Resistance. Washington, D.C.: ASM Press. ISBN 978-1-55581-234-8 .
  11. Devriese, L.A., Collins, M.D., and Wirth, R. 1992. The genus Enterococcus. 2nd edn., vol. 2, pp. 1465-1478. Springer-Verlag. New York.
  12. Malani, P.N., Kauffman, C.A., and Zervos, M.J. 2002. Enterococcal disease, epidemiology and treatment. In Gilmore, M.S. (eds.) The Enterococci: pathogenesis, molecular biology and antimicrobtiotic resistance, pp. 385-408. Amercan Society for Mcirobiology. Washington, DC.
  13. Gilmore, M.S., et al. eds. 2002. The Enterococci: Pathogenesis, Molecular Biology, and Antibiotic Resistance. Washington, D.C.: ASM Press. ISBN 978-1-55581-234-8 .
  14. Murray, B.E. 1990. The life and times of the Entrococcus. Clin. Microbiol. Rev. 3, 46-65.

동의어

Enterocuccus, 장내구균(Enterococcus), 장내구균(Enterocuccus), enterocuccus, 장내구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