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균군

장구균군

[ Enterococci group ]

장구균군(국문) Enterococci group(영문)

"Enterococcus"라는 용어는 1899년 프랑스 생물 학회(French Society of Biology)에 보고한 Thiercelin에 의해 시작된 것이다. Enterococci는 쌍(diplococcic) 또는 짧은 사슬에서 종종 발생하는 통성 혐기성 그람 양성 구균이며, 즉 산소가 풍부한 환경과 산소가 많이 없는 환경 모두에서 세포호흡이 가능하다. 형태학적으로는 Streptococcus (연쇄상 구균)와 구별이 어려워 Group D Streptococcus종으로 분류 되었으나 DNA 상동성에서 차이를 보여 Streptococcus와는 다른 별개의 장구균속(Entrococcus genus)로 재분류 되었다. 

Enterococcus faecalis (출처: GettyImages-758304545)

Enterococcus faecalis (출처: GettyImages-605383445)

목차

분류군

Domain Bacteria > Phylum Firmicutes (문) > Class Bacilli (강) > Order Lactobacillales (목) > Family Enterococcaceae (과) > Genus Enterococcus (속)

유전체 크기 및 대사 능력

장구균은 대부분의 포유동물과 조류의 장내 성상 세균총이며, 동물과 사람 분변으로부터 배출되어 환경에 존재하는 비교적 독성이 약한 병원균이다. 장구균은 환경으로 배출되는 다른 분변내 세균과는 달리, 화학적이나 물리적 요인에 저항성이 강하여 숙주의 장내 환경 밖에서도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Enterococci는 포자를 형성 할 수 없지만 극한의 온도(10~45℃), pH (4.5~10.0) 및 높은 염화나트륨 농도와 같은 광범위한 환경 조건에서도 자랄 수 있다.

모양과 크기

장구균 속에는 16S rDNA 염기서열과 DNA-DNA 혼성화(DNA-DNA hybridization) 연구를 통해 E. faeciumE. casseliflavus를 포함하여 27종이 보고 되었다. 이 중 E. faecalis가 임상에서 분리되는 장구균의 80~90%를 차지하며, E. faecium의 분리율은 5~10%로 높지 않으나 여러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보이며 중요한 병원 감염균으로 부각 되었다.

장 내 분포

1992년과 2012년 사이에 기술 된 Enterococcus의 30종 중 4종(E. sanguinicola, E. gilvus, E. pallensE. canintestini)만이 인간 감염과 관련되어있다. Enterococci는 주로 소장 및 대장에 국한되어 있는데, 장구균은 직장, 회장, 맹장 및 직장 에서 발견된다. 또한 Enterococci는 구강 내 에서 흔한데, 위장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E. faecalisE. faecium은 인간의 대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임상질환

장구균은 특별한 병원성 인자가 없지만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에게는 중요한 병원체이다. 실제로 장구균은 병원 내에서 흔하게 감염을 일으킨다. 비뇨기관, 복막, 심장 조직 등에 흔히 감염을 일으킨다. 장구균 감염은 특히 비뇨 또는 혈관 내 카테터를 착용한 환자 및 병원에 장기 입원하여 광범위 항생제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거 나타난다. 대부분의 복부나 상처 감염은 여러 균에 의한 감염으로서 장구균뿐만 아니라 다른 세균들이 관련되어 있다.

관련용어

피르미쿠테스 문(phylum Firmicutes), 바실러스(Bacillu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DNA-DNA 혼성화(DNA-DNA hybridization), 대장(large intestine)

집필

강효정/경북대학교

감수

이은진/고려대학교

참고문헌

  1. 위키피디아:
  2. Kang, T.M., Cho, S.K., and Park, J.H. 2008. Antibiotic resistances of enterococcus isolated from salad and sprout.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42~148.
  3. Lebreton, F., Willems, R.J.L., and Gilmore, M.S. 2014. Enterococcus diversity, origins in nature, and gut colonization. In Gilmore, M.S., Clewell, D.B., Ike, Y., et al. (eds.), Enterococci: From Commensals to Leading Causes of Drug Resistant Infection.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Boston.
  4. Gilmore, M.S., Clewell, D.B., Ike, Y., and Shankar, N. (eds.) 2014. Enterococci: From Commensals to Leading Causes of Drug Resistant Infection.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Boston.
  5. Byappanahalli, M.N., Nevers, M.B., Korajkic, A., Staley, Z.R., and Harwood, V.J. 2012.  Enterococci in the Environment. Microbiol. Mol. Biol. Rev. 76, 685–706.
  6. Ingolf F. Ness, Dzung B. Diep, and Tasuyoshi lke. 2014. Enterococcal Bacteriocins and Antimicrobial Proteins that Contribute to Niche Control.

동의어

Enterococci group, Enterococci, 장구균군, enterococci group, 장구균, enterococ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