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지구소행성

근지구소행성

[ near-Earth asteroid ]

약어 NEA

근지구소행성은 근지구천체(Near-Earth Objects: NEOs) 가운데 근일점 거리가 1.3 천문단위(Astronomical Unit, AU) 이내인 소행성이다. 근지구천체는 근지구혜성(Near-Earth Comet: NEC)과 근지구소행성(Near-Earth Asteroid)으로 구분한다.

목차

특징

근지구소행성은 근일점거리가 1.3AU보다 짧아 주기적으로 지구에 접근하거나 지구 궤도와 만난다. 이 가운데 일부는 지구위협천체(PHO: Potentially Hazardous Object)로 분류된다. 근지구소행성 중에는비교적 작은 에너지(속도증분, 또는 연료)로 접근할 수 있는 소행성이 있다. 따라서 이 소생성들은 탐사 대상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미래자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큰 소행성이다. 근지구소행성들 가운데 1km보다 큰 것은 95% 이상 알려졌지만 100m보다 작은 것은 아직 대부분 발견되지 못한 상태다.

NASA의 NEOWISE 우주망원경 관측 결과를 기초로 예측한 소행성의 크기별 개수분포(이전에 예측했던 것보다 근지구소행성의 개수가 많지는 않지만 100미터보다 작은 소행성은 과학자들이 예측한 것에 비해 1%보다 적은 개수만 발견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출처: )

분류

근지구소행성은 궤도 특성에 따라 아폴로(Apollos)그룹, 아텐(Atens)그룹, 아모르(Amors)그룹, 아티라(Atiras)그룹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지구궤도와 교차하는 궤도를 갖는 근지구소행성은 아폴로그룹과 아텐그룹이다. 2018년 10월 5일 현재까지 발견된 근지구소행성은 총 18,784개인데, 이중에서 아티라그룹이 18개(0.1%), 아텐그룹이 1,394개(7%), 아폴로그룹이 10,256개(55%), 마지막으로 아모르그룹은 7,116개(38%)이다.

아티라(Atiras)

아티라 소행성은 2003년 발견된 소행성 아티라(Atira)에서 그룹 이름이 나왔다. 아포헬레(Apohele) 소행성그룹 혹은 IEO(Inner Earth Object)라고도 불리우며 궤도가 지구궤도 안쪽에 있어 지구궤도와는 전혀 만나지 않는다. 태양이각이 작기 때문에 지구에서 발견하기 매우 어려운 소행성으로 2018년 10월 5일 현재 알려진 아티라그룹의 개수는 18개에 불과하다.

아텐(Atens)

아텐그룹 소행성은 근지구소행성 중에 두 번째로 많으며 1976년 발견된 소행성 아텐(Aten)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아텐그룹은 궤도 장반경이 지구보다 작고, 근일점 거리도 지구보다 가까워 궤도의 대부분이 지구궤도 안쪽으로 들어온다.

아폴로(Apollos)

아폴로그룹 소행성은 근지구소행성 중에 가장 많으며 1932년 발견된 소행성 아폴로(Apollo)의 이름에서 따왔다. 아폴로그룹은 궤도 장반경이 지구보다 크지만, 근일점 거리는 지구보다 가깝다. 따라서 궤도의 대부분이 지구궤도 바깥에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관측하기 쉽다.

아모르(Amors)

아모르 소행성은 1932년 발견된 소행성 아모르(Amor)에서 이름을 따왔다. 궤도가 지구궤도의 바깥에 있어 지구궤도와는 만나지는 않는다. 1893년 근지구소행성으로는 처음 발견된 소행성 에로스(Eros)가 아모르 외에 아모르그룹을 대표하는 유명한 천체다.

근지구소행성의 궤도에 따른 분류(출처: )

탐사관측과 발견

미국은 1992년 의회의 사전조사(Spaceguard Survey Report)를 바탕으로 NASA의 우주방위(Spaceguard) 프로젝트를 기획했으며, 1998년부터 본격적으로 근지구소행성 탐사관측을 시작했다. NASA의 우주방위목표(Spaceguard Goal)은 당초 1998년부터 10년 내에 km급 근지구소행성의 90%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이에 카탈리나 전천탐사(Catalina Sky Survey), 리니어(LINEAR: Lincoln Near-Earth Asteroid Research) 프로젝트, 니트(NEAT: Near-Earth Asteroid Tracking) 프로젝트 등을 통하여 근지구소행성의 발견개수는 급속도로 증가했다. 초기 우주방위 목표는 달성된 것으로 평가되며, NASA는 지구에 충돌했을 때 지역적으로 심각한 재난을 일으킬 수 있는 지름 140m 이상급 근지구소행성의 90%를 발견한다는 확장된 우주방위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근지구소행성의 발견누적 개수 그래프(출처: )

km급 근지구소행성의 탐사관측 프로젝트별 발견 개수 그래프(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