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편모충

질편모충

[ Trichomonas vaginalis ]

질편모충(국문) Trichomonas vaginalis(영문)

목차

물리적 특성과 구조

T. vaginalis는 장내 원생동물은 아니지만 비뇨 생식기 감염의 원인이다. 편모충의 네 개의 편모와 짧고 높낮이가 있는 세포막은 편모충이 움직이는 데 필수적이다. T. vaginalis영양형(Trophozoite)으로만 존재하며 여성의 요도와 질에서 발견되고 남성의 요도와 전립선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그림1).

그림1. T.vaginalis life cycle. (출처: 한국미생물학회)

그림2. T.vaginalis의 구조. 오른쪽 사진은 T.vaginalis에 감염된 여성에서 채취된 질액에 여러 개의 감염충 세포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CDC PHIL #14500

역학적 특성

이 기생충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으며 성관계를 통해 전이가 된다. 가끔 감염은 다른 매개체를 통해 전이가 되기도 하는데, 화장실 용품이나 옷이 그 예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전이는 영양형 형태의 유연성에 제한되어있다. 유아기의 감염은 모체의 감염된 산도(자궁, 음부, 질 등)를 통과하면서 발생한다. 선진국에서의 편모충에 의한 감염은 여성에서 5%~20%, 남성에서 2%~10%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임상적인 증상

대부분 감염된 여성은 증상이 없거나 질 분비물이 많아진다. 많은 염증반응과 질염이 발생할 수 있다. 가려움과 화끈거리는 증상과 동반하여 점막이 짓무르는 것과 같이 나타나며 배뇨 통증도 나타난다. 남자들은 주로 증상이 없고, 여성에게 감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종종 어떤 남자들은 요도염, 전립선염 혹은 다른 요도관 문제를 겪게 된다.

진단

질 또는 요도 분비물을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영양형 형태를 찾아내는 것이 진단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염색법(김사, 파파니콜로 도말법) 또는 염색하지 않고 스미어(smear) 검사를 하는 것도 진단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진단 효율은 개체를 배양하면 더 증가되고(93% 민감성) 또는 단일 클론의 형광 항체 염색법(86% 민감성)을 통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상업적인 방법으로는 핵산 추적법(nucleic acid probe assay)이 있다. 혈청 검사는 전염병학적 감시방법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예방 및 관리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이 치료약으로 사용된다. 남성과 여성은 반드시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치료받아야 한다. 메트로니다졸에 대한 내성은 계속 보고되어 오고 있고, 높은 농도로 다시 처방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미국 식품의약안전처(FDA)가 성인에서의 질 트리코모나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으로 티니다졸(tinidazole)을 승인하였고, 메트로니다졸을 처방하기 어려운 경우에 최우선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하였다. 개인의 위생관념을 철저히 하고, 화장실 용품과 옷을 공유하지 않는 것, 그리고 안전한 성생활을 하는 것이 이러한 질병을 막는데 중요하다. 또한 남자가 옮기지 않는 것이 이 병을 제거하는데 굉장한 도움을 준다.

집필

양철수/한양대학교

감수

최경희/원광대학교

참고문헌

1. Trichomonas vaginalis: An Updated Overview Towards Diagnostic Improvement. Oliveira AS, Ferrão AR, Pereira FM, Martinez-de-Oliveira J, Palmeira-de-Oliveira A. Acta Parasitol. 2016 Jan;61(1):10-21.

2. Trichomonas vaginalis: a review of epidemiologic, clinical and treatment issues. Kissinger P. BMC Infect Dis. 2015 Aug 5;15: 307.

3. Trichomonas vaginalis origins, molecular pathobiology and clinical considerations. Hirt RP, Sherrard J.Curr Opin Infect Dis. 2015 Feb;28(1):72-9.

4. Trichomonas vaginalis: Clinical relevance, pathogenicity and diagnosis. Edwards T, Burke P, Smalley H, Hobbs G. Crit Rev Microbiol. 2016 May;42(3):406-17

동의어

Trichomonas vaginalis, 질편모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