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베스열원충증

바베스열원충증

[ Babesiosis ]

바베스열원충과(Babesia species)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으로, 바베스열원충이 혈액 속에서 기생하며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바베시아는 세포 내에서 자라는 포자충(sporozoan)이다. 형태학적으로 플라스모디아와 비슷하다. 바비스열원충증은 소, 설치류와 같은 다양한 동물들에 의해 감염된다. 사람은 우연 숙주(accidental host)이다. 감염은 Ixodes 진드기류에 의해서 전염된다. Babesia microti는 주로 미국에서 발생하는 바베스열원충증의 원인이다.

목차

생리학적 특성과 구조

사람 감염은 감염된 진드기(그림1)와 접촉하였을 때 일어난다.

그림1. 갈색참진드기. SEM 촬영. (출처: GettyimagesKorea)

감염성이 있는 서양배 모양의 몸체는 혈류를 통해 움직이다 적혈구를 감염시킨다. 적혈구 내의 영양형(trophozoite)는 이분열법을 통해 분열하며, 네 개의 세포를 형성한다. 그러면서 적혈구를 용해시켜 낭충(merozoite)을 분비한다. 이것은 다시 다른 세포들을 재감염 시켜 감염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감염된 세포들은 또한 진드기의 먹이가 되어 추가적으로 감염이 일어날 수 있게 해준다. 진드기에서의 감염은 또한 경란 전염(transovarian transmission)에 의해서 유지된다. 사람에서의 감염된 세포는 P. falciparum의 반지 모양과 비슷하게 생겼다. 그러나 말라리아성의 색소 세포와 다른 성장 단계는 말라리아 원충 감염의 특징과 비슷하지만 혈액도말표본 시험법으로는 관찰되지 않는다.

역학적 특성

바베시아의 70개가 넘는 다른 종들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고 질병을 유발하는 B. microti의 경우 미국의 북동의 해안지방(난터켓 섬, 마서즈 빈야드, 쉘터 아일랜드)에서 나타난다. Ixodes dammini는 진드기 매개체로 앞의 지역에서 바베스열원충증을 전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숙주로는 들쥐와 같은 작은 설치류들이 있다. 대부분의 감염은 증상이 없거나 가볍게 나타나기 때문에 혈청학적인 검사를 토대로 과거에 바베시아에 노출이 되었는지를 알 수 있기도 하다. Babesia divergens(그림2)은 유럽에서 자주 나타난다고 밝혀진 바베시아인데, 비장을 절제하는 수술을 한 환자에게서 심한, 혹은 죽음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감염을 일으킨다. 혈액 중에 존재하는 기생충 B. microti는 면역력이 억제되어있는 HIV 감염 환자의 비장에서 나타난다. 대부분의 감염이 진드기에게 물려서 생길지라도, B. microti의 경우 미국에서 수혈의 결과로 감염이 일어나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 급증하는 바베시아의 수혈감염(transfusion-transmitted babesiosis)의 경우 B. microti에 의한 것이 가장 많은데, 이러한 수혈 문제로 인해 적어도 12명의 수혈 받은 환자가 바베스열원충증을 진단받고 사망하였다. 이러한 경우들 때문에, 수혈 의료계에서의 정책 발표에서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임상적인 증상

그림2. Giemsa 염색을 통해 관찰한 사람 적혈구에서의 Babesia divergens. ()

1주에서 4주의 잠복기 후에, 증상이 있는 환자는 일반적으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데, 증상으로는 주기적인 열, 오한, 식은땀, 피로감 등이 있다. 적혈구가 점점 파괴되면서 감염의 과정이 진행될수록, 용혈성 빈혈이 나타나며 신장부전증도 겪게 된다. 또한 간 비대증, 비장 비대증은 질병이 진행될수록 나타나게 되며 몇 주간 혈중 기생충이 적은 숫자로 존재하게 된다. 비장 절제술, 기능지라없음증(functional saplenia), 면역 억제, HIV 감염, 고령의 문제는 사람에게서 감염에 대한 민감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좀 더 심한 질병으로 가게 한다.

실험실 진단

혈구도말표본 실험을 진단법으로 사용한다. 연구진들은 반드시 Babesia와 Plasmodium 종을 구별해야 한다. BabesiaP. falciparum과 비슷하게, 적혈구를 감염시키며 작은 반지모양의 형태로 살아간다. 혈구도말표본 실험결과에서 감염된 환자는 음성반응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혈중 기생충 양이 적을 때 음성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햄스터가 감염에 굉장히 민감하기 때문에 이러한 감염은 환자의 혈액을 햄스터에 접종하는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다. 혈청학적인 검사와 바베시아의 PCR 시험법으로 DNA를 증폭하는 것도 진단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방 및 관리

가볍거나 보통 정도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아토바퀴온(atovaquone)과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을 같이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반면,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과 퀴닌(quinine)을 처방하는 것과 교환 수혈을 진행하는 것은 질병의 단계가 심할 때 진행한다. 클로로퀸(chloroquine)과 펜타미딘(pentamidine)과 같은 항원충제는 다양한 경우에 사용된다. 하지만 가벼운 질병을 앓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스스로 낫는다. 교환 수혈 또한 비장 비대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와 B. microti 또는 B. divergens에 의한 심한 질병을 앓는 환자에게 성공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벌레에게 물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옷을 입는 것과 방충제를 사용하는 방법도 진드기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진드기는 몇 시간 동안 사람에게서 먹이를 섭취하고 전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진드기를 제거하는 것이 질병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집필

양철수/한양대학교

감수

정원희/중앙대학교

참고문헌

  1. Weiss, L.M. 2002. Babesiosis in humans: a treatment review. Expert Opin Pharmacother 3, 1109-1115.
  2. Sanchez, E., Vannier, E., Wormser, G.P., and Hu, L.T. 2016.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yme Disease, Human Granulocytic Anaplasmosis, and Babesiosis: A Review. JAMA 315, 1767-1777.
  3. Mosqueda, J., Olvera-Ramirez, A., Aguilar-Tipacamu, G., and Canto, G.J. 2012. Current advances in detection and treatment of babesiosis. Curr Med Chem 19, 1504-1518.
  4. Gray, J., von Stedingk, L.V., and Granstrom, M. 2002. Zoonotic babesiosis. Int J Med Microbiol 291 Suppl 33, 108-111.

동의어

Babesiosis, babesiosis, 바베스열원충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