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천화

헌천화

[ 獻天花 ]

요약 순조(1800~1834) 때 창제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한 종목.

순조 때 춘광호(春光好)·춘앵전(春鶯囀)·초무(初舞) 등과 함께 창제된 이 정재는 선모(仙母)가 임금에게 만수무강(萬壽無疆)을 위해 천화(天花)를 올리는 내용의 춤이다. 선모 1명과 협무(挾舞) 2명, 그리고 집당기(執幢妓) 2명으로 구성되는 헌천화는 당악정재인 헌선도(獻仙桃)를 많이 닮았다.

이 춤을 추는 무동복색(舞童服色)은 주취금관(珠翠金冠)에 자라포(紫羅枹)·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남질홍선상(藍質紅縇裳)에 남사대(藍絲帶)를 띠었고, 그 위에 백우호령(白羽護領)·백우엄요(白羽掩腰)에 학정대(鶴頂帶)를 띠고 비두리(飛頭履)를 신었다고 장사훈(張師勛)의 『韓國傳統舞踊研究』에 나온다.

이 정재를 포함한 새 향악정재 24종목은 대부분 무자년(1828) 『진작의궤』(進爵儀軌)와 기축년(1829) 『진찬의궤』(進饌儀軌) 및 무신년(1848) 『진찬의궤』에 도설됐다. 새 향악정재의 춤사위는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1893)에 전한다.

순조 무자년(1828) 『진작의궤』 소재 헌천화

순조 무자년(1828) 『진작의궤』 소재 헌천화

1901년(광무 5) 고종황제(高宗皇帝)의 탄신50주년기념 만수성절(萬壽聖節)의 진연(進宴) 때 공연된 정재(呈才)의 한 종목이 헌천화이다. 반주음악은 "보허자령"(步虛子令)과 "향당교주"(鄕唐交奏)이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6.2428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347~48, 525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82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