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악기

백제악기

[ 百濟樂器 ]

요약 삼국시대 백제에서 연주된 악기의 총칭.

백제 악기는 우리나라의 고고학자료와 외국 역사서에 의해서 알려졌는데, 고고학자료로는 백제향로(百濟香爐)와 계유명석상(癸酉銘石像)이 있다.

백제향로에는 다섯 악기가 나오고, 계유명석상에는 여덟 악기가 출현하는데, 두 고고학 자료에 나오는 백제 악기의 명칭이 아래의 표에 정리됐듯이 학자마다 서로 조금씩 다르다.

백제향로에 나오는 악기의 학자별 명칭 일람표

백제향로에 나오는 악기의 학자별 명칭 일람표
성명 다섯 종류의 백제악기

이녕희(李寧熙)

월금(月琴)

피리(觱篥)

거문고

소(簫)

전인평(全仁平)

완함(阮咸)

퉁소(洞簫)

쟁(箏)

송방송(宋芳松)

완함

장적(長笛)

거문고

배소(排簫)

일간신문

비파(琵琶)

피리

현금(玄琴)

계유명석상에 부조된 일곱 종류의 백제악기

계유명석상에 부조된 일곱 종류의 백제악기
해독자 석상의 오른쪽 악기 석상의 왼쪽 악기

황수영
(黃壽永)

요고
(腰鼓)

미상
(未詳)


(琴)


(笛)


(簫)


(笛)


(笙)

비파
(琵琶)

이혜구
(李惠求)

요고
(腰鼓)

미상


(箏)

퉁소
(洞簫)


(簫)

횡적
(橫笛)


(笙)

당비파
(唐琵琶)

이홍직
(李弘稙)

요고

미상


(箏)

퉁소


(簫)

횡적


(笙)

비파

송방송
(宋芳松)

요고
(腰鼓)

요고
(腰鼓)

거문고
(玄琴)

장적
(長笛)

배소
(排簫)

횡적
(橫笛)


(笙)

당비파
(唐琵琶)

백제 음악에 고(鼓)·각(刻)·공후(箜후)·쟁(箏)·우(竽)·지(篪)·적(笛), 이상 일곱 가지가 연주됐다고 『수서』(隋書) 권81 및 『북사』(北史) 권94에 전하고, 『구당서』(舊唐書) 권29에는 쟁·적·도피피리(桃皮篳篥)·공후가 연주됐다고 전한다.

삼국시대 일본에 전한 백제 악기는 횡적(橫笛)·군후(군篌)·막목(莫目), 이상 세 악기인데, 군후는 거문고로 그리고 막목은 도피피리로 밝혀졌다. 백제의 횡적은 구다라부에(百濟笛, kudarabue) 곧 백제적(百濟笛)이라고 하여 고마부에(高麗笛, komabue)인 고려적(高麗笛)과 명칭 상으로 구분하였다.

백제향로 및 백제향로에 조각된 배소·거문고·장적·완함·북(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백제향로 및 백제향로에 조각된 배소·거문고·장적·완함·북(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계유명석상에 부조된 배소·횡적·생·당비파·요고·거문고 및 모사도(국립청주박물관 소장)

계유명석상에 부조된 배소·횡적·생·당비파·요고·거문고 및 모사도(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928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56~5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