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치기

배치기

요약 ① 서도민요(西道民謠)의 한 곡명.
② 경기민요(京畿民謠)의 한 곡명. 일명 "이물양"·"에밀양"·"봉주타령"(奉柱打令)·"봉죽타령"(奉竹打令)·"봉기타령"(奉旗打令)·"덕타령."
③ 남도민요(南道民謠)의 한 곡명. 일명 "귀항의 노래."
④ 황해도민요(黃海道民謠)의 한 곡명.

① (西道民謠)의 한 곡명. 황해도 해안 지방에서 불리는 뱃노래의 일종인 이 노래는 경기도와 전라도 지방의 노래와 관련됐으리라고 추정되고 있다.

1절: "어영도 칠산을 다쳐다나 먹고/연평바다로 돈 실러 갑시다." () "에헤에헤요 에헤야/에헤에 어헤이 에헤요." 2절: "연평 장군님 구이 보소/우리 배 줄러서 도장원 주시오." ··· 운운.

② (京畿民謠)의 한 곡명. 일명 "이물양"·"에밀양"·"봉주타령"(奉柱打令)·"봉죽타령"(奉竹打令)·""(奉旗打令)·"덕타령." 경기도 해안 지방 뱃노래의 일종인 "배치기"는 어부들이 만선의 기쁨을 노래한 것이다. 지방에 따라서 이 노래는 "봉기타령"·"봉죽타령"·"봉주타령"이라고 한다. 이 노래를 부를 때 긴 대나무에 공작 꼬리털과 오색 종이를 단 봉기를 들기 때문에 붙여진 곡명이다. 또한 이 노래를 "이물양"·"에밀양"이라 부르는 까닭은 배 머리인 이물까지 즉 선수(船首)까지 물고기로 가득 차게 실었다는 뜻에서 기원했으리라고 추정되고 있다.

이 노래는 만선(滿船)으로 귀항할 때 뿐 아니라 뭍에서 뱃고사를 지낼 때 혹은 뱃사람들이 당산에서 제사지내러 갈 때에도 불렸다. 3분박 보통 빠르기의 4박자인 나 에 맞추어 한 사람이 소리를 메기면 여러 사공이 뒷소리를 받는 교창(交唱)형식으로 연행되는 이 노래의 가락은 5음음계(F·A·B·C·E 또는 E·G·A·B·D)로 구성됐고, 종지음은 F 또는 E이다. 다음의 가사는 백령도에서 불린 노래이다.

1절: "이물쪽 머리에다 오봉죽 찔러서/고울 똑고리에 오봉죽 찔러서." (후렴) "어허여 도장원 했구나 어허야" 2절: "연평 바다에 도장원 했구나/지화자 어허여 허야." ··· 운운.

③ (南道民謠)의 한 곡명. 일명 "귀항의 노래". 경기도나 황해도의 "배치기"와 같은 종류의 이 노래는 와 뒷소리의 교창(交唱)형식으로 연행된다. 그 가락은 4음음계(B·D·E·F#)로 구성됐고, 종지음은 B이다. 다음은 영광 지방의 노래 가사이다.

1절: "에 우리네 선장님 신수가 좋아/칠산 바다에 도장원하였다/어- 아- 하좋다 어- 아- 하좋다" (후렴) "에헤하 하으아/아이하요 에헤야." 2절: "총각 낭군 못 올 줄 알고/나부 잠자다가 깜짝 놀라서/밖에는 살펴보니 고기를 많이 잡았네." ··· 운운.

④ (黃海道民謠)의 한 곡명. 1972년 국립극장에서 열린 (黃海道民俗藝術保存會) 제1회 발표회 때 출연한 ·김실자·김용익····양소운·이근성···에 의해서 이 곡은 "초목"·""·""·""·""·""·""·""(孔明歌)·""·""·"전쟁가"·""·""·""·"사설초한가"·"연평도(延坪島)노래"·"배치기"·"푸직이 "·"중난봉가"·""·""·""와 함께 발표됐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918~20쪽, 권6.2491쪽

관련이미지

배치기

배치기 출처: 조선향토대백과

참조어

귀항의 노래(歸航-), 덕타령, 봉주타령(奉柱打令), 봉죽타령(鳳竹打令), 썰소리 , 자진배따라기 , 잦은배따라기 , 에밀양, 이물양, 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