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편제

동편제

[ 東便制 ]

요약 판소리 유파(流派)의 한 갈래. 일명 동편조(東便調).

동편제는 (羽調)를 많이 쓰기 때문에 그 소리가 웅건하고 청담하여 슬픈 (界面調)를 많이 쓰는 (西便制) 소리와 대조를 이룬다. 또한 동편제 소리에는 호령조가 많고, 발성의 시작이 아주 진중하며, 어느 구절의 끝마침을 쇠망치로 내려치듯이 똑 떨어지게 하는 기교 등이 동편제의 일반적 특징이다. 우조를 많이 사용하여 씩씩하고 웅장한 가락의 맛을 특징으로 삼은 동편제는 (宋興祿)을 시조로 삼은 유파이다. 섬진강(蟾津江) 동쪽의 구례·운봉·순창·흥덕 출신의 들이 많이 공연했기 때문에 동편제라는 유파의 이름이 생겼다.

『朝鮮唱劇史』에 "대가닥에는 동편제 또는 동편조·서편제··(豪傑制)가 있으나, 대체로 동서로 나누고 ·호궐은 극소하다"라고 했고, "동편은 우조를 주장하여 웅건청담(雄健淸淡)하게 하는데 호령조가 많고 발성초(發聲初)가 썩 진중하고 구절 끝마침을 꼭 되게 하여 로 내려치는 듯이 한다"고 하였다. 또한 동편제는 송흥록의 법제를 표준으로 하여 운봉·구례·순창·흥덕 등지를 포함한다고 하였다.

동편제 소리의 전통은 (宋雨龍)·(朴萬順)·(金世宗)·(鄭春風)·(全海宗)·김창록(金昌祿)·(徐成寬)·(金道先)·(安益化)·(張子伯)·(崔相俊)·(全尙國)·(成昌烈)··(宋在鉉)·(張壽喆)·(姜載萬)·(金贊業)·양학천(梁鶴天)·김질엽(金質燁)·(趙奇弘)·(朴基洪)·(成敏周)·(申鶴俊)·(柳公烈)·(宋萬甲)·(全道成)·(劉成俊)·(申明學)·(金奉文)·(宋業奉) 같은 명창에 의해서 전승됐다. 한편 여류명창 (彩仙)·(許錦波)도 동편제의 전통을 이어받았다고 정노식(鄭魯湜)의 『朝鮮唱劇史』에 전한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2.681~82쪽
  • 『朝鮮唱劇史』, 10~11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37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107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72쪽

참조어

동편조(東便調), 소리제, 서편제(西便制) , 중고제(中高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