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목

공주목

[ 公州牧 ]

요약 고려와 조선 때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조직.
공주목 관아터

공주목 관아터

고려가 건국한 뒤 처음으로 설치한 지방행정조직인 12목(牧) 가운데 하나이다. 983년(성종 2)에 설치되었으며, 덕은군·회덕군·부여군·연산군 등 4군과 시진현·진잠현·유성현·석성현·정산현·니산현·신풍현·덕진현 등 8현을 관할하였다. 995년(성종 14) 12목이 12군(軍)으로 개편되면서 안절군(安節軍)이 되었고, 1018년(현종 9)에는 군(郡)으로 강등되었다. 1341년(충혜왕 2) 다시 목으로 승격한 뒤 조선시대에도 유지되어 충주목·청주목·홍주목과 더불어 충청도의 4대 고을로서 차령산맥 이남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한말에 이르러 1895년 공주부(公州府)가 설치되었고, 이듬해 13도제가 실시되면서 충청남도 공주군이 되었다.

참조항목

공주군, 12목, 공주부

역참조항목

공산현, 공주목지도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