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환

원숭환

[ 袁崇煥 ]

요약 명(明) 말기의 장군으로 후금(後金)의 침략에 맞서 요동(遼東) 방어에 공을 세웠지만 모반(謀反)의 누명을 쓰고 처형되었다.
출생-사망 1584 ~ 1630
원소(元素)
자여(自如)
국적 중국 명(明)
활동분야 군사
출생지 광둥성[廣東省] 동완현(東莞縣)

자(字)는 원소(元素)이고, 호(號)는 자여(自如)이다. 광둥성[廣東省] 동완현(東莞縣)에서 태어났으며, 원적지(原籍地)는 광시성[廣西省] 오주등현(梧州藤縣)이다. 1597년(萬曆 25년) 수재(秀才)가 되었고, 1606년(萬曆 34년) 향시(鄕試)에 합격하여 거인(擧人)이 되었다. 1619년(萬曆 47년) 과거(科擧)에 합격하여 진사(進士)가 되었고, 푸젠성[福建省] 샤오우[邵武]의 지현(知縣)으로 임명되었다. 젊어서부터 퇴직한 병사들에게 변방의 정세를 묻는 등 군사(軍事)에 관심이 많았고, 성격이 담대하고 지략이 많았으며 문관(文官) 출신이면서도 사람들과 군사 전략을 논하기를 즐겼다고 한다.

1622년(天啓 2년), 어사(御使) 후순(侯恂)에게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아 병부(兵部)의 직방사(職方司) 주사(主事)가 되었다. 당시 명(明)은 왕화정(王化貞, ?~1632)이 이끄는 군대가 후금(後金)에 크게 패하여 만주(滿洲)의 지배권을 후금(後金)에 완전히 빼앗겼다. 후금(後金)은 랴오양[遼陽]과 광닝[廣寧]을 점령하고 산하이관[山海關]을 넘보고 있어 베이징[北京]도 위기감에 휩싸여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숭환(袁崇煥)은 홀로 요동(遼東) 지역을 정찰하고 돌아와서는 스스로 산하이관[山海關]의 방위(防衛)를 지원했다. 그는 병비검사(兵備檢事)로 임명되어 산하이관[山海關]으로 파견되었다.

당시 명군(明軍)은 산하이관[山海關]의 방어에만 모든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하지만 원숭환(袁崇煥)은 산하이관[山海關] 북쪽에 성을 쌓아야 효과적으로 방어를 할 수 있다고 보고, 영원성(寧遠城, 지금의 遼寧 興城)을 개축(改築)할 것을 조정(朝廷)에 건의했다. 그리고 1623년부터 1624년까지 영원성(寧遠城)을 10m의 높이로 새로 쌓았고, 포르투갈(Portugal) 상인들에게 구입하여 ‘홍이포(紅夷砲)’라고 불리는 최신식 대포를 배치하였다.

1626년(天啓 6년), 누르하치(努爾哈赤, 청 太祖 1559~1626)가 랴오허[遼河]를 건너 영원성(寧遠城)을 공격해 왔으나, 원숭환은 우월한 화력을 바탕으로 후금(後金)의 군대를 물리쳤다. 명(明)은 1618년 이후 후금(後金)에게 계속 패전(敗戰)만 거듭해 왔는데 원숭환이 비로소 승리를 거둔 것이다. 이 전투를 ‘영원대첩(寧遠大捷)’이라고 하며, 그 공으로 원숭환은 병부시랑(兵部侍郎) 겸 요동순무(遼東巡撫)로 승진하였다. 1627년(天啟 7년)에는 영원성(寧遠城)과 금주성(錦州城)에서 후금(後金)의 태종(太宗) 홍타이지[皇太極, 1592~1643]의 공격도 물리쳤는데, 이는 ‘영금대첩(寧錦大捷)’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당시 명(明)은 희종(熹宗, 재위 1620~1627)의 총애를 받은 환관(宦官) 위충현(魏忠賢, ?~1627)이 전횡을 휘두르고 있었으며, 환관(宦官)들의 엄당(閹黨)과 청의파(淸議派) 관료들의 동림당(東林黨) 사이에 당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었다. 원숭환은 위충현(魏忠賢)의 모함을 받자 병을 내세워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1628년(崇禎 원년) 사종(思宗, 1628~1644)이 즉위하자 다시 병부상서(兵部尙書)이자 우부도어사(右副都御史)로 기용되었다. 원숭환은 사종(思宗)에게 5년 안에 요동을 회복하겠다는 계획을 내세웠고, 사종(思宗)은 그에게 상방보검(尚方寶劍)을 주었다.

황제로부터 전권을 위임받은 원숭환은 1629년 조선의 가도(椵島, 皮島라고도 함)에 주둔하고 있던 모문룡(毛文龍, 1576~1629)을 처형하고, 서부주(徐敷奏) 등을 파견하여 가도(椵島)를 요동(遼東) 수복의 전진 기지로 삼았다. 모문룡(毛文龍)은 1622년 가도(椵島)로 들어가 동강진(東江鎭)을 건설했으나, 후금(後金)과의 전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채 밀수 등을 일삼으며 독자세력화하고 있었다. 하지만 엄당(閹黨)의 비호를 받던 모문룡(毛文龍)을 황제의 재가(裁可)도 없이 처형하여 원숭환은 엄당(閹黨)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

1629년 10월, 후금(後金)의 홍타이지[皇太極]는 원숭환이 지키고 있는 영원성(寧遠城)과 산하이관[山海關]을 피해 몽골 지역으로 우회하여 장성(長成) 동북쪽의 시펑커우[喜峰口]를 거쳐 베이징[北京]을 공격했다. 영원성(寧遠城)에 주둔하던 원숭환은 급히 베이징[北京]으로 병사를 이끌고 이동하여 광거문(廣渠門)과 좌안문(左安門) 부근에서 후금(後金) 군대를 물리쳤다. 후금(後金)은 베이징[北京] 외곽의 남해자(南海子, 지금의 大興縣 일대)로 병력을 물리고, 사종(思宗)에게 화친을 맺자고 요구했다. 그리고 주변 지역의 약탈에 나서는 한편, 환관(宦官)을 매수하여 원숭환이 후금(後金)과 내통하여 모반(謀反)을 꾀하고 있다는 말을 퍼뜨렸다. 결국 1629년 12월 사종(思宗)은 원숭환을 모반 혐의로 감옥에 가두었다. 동림당(東林黨) 계열의 관료들이 “적이 성 아래까지 와 있는 상황에서 스스로 장성(長城)을 허물 수는 없다”며 원숭환의 구명(求命)을 호소했지만, 엄당(閹黨) 계열의 온체인(溫體仁, 1573~1638) 등은 여러 차례 상소를 올리며 처형을 촉구했다. 결국 원숭환은 1630년 9월 22일, 베이징의 서시(西市) 거리에서 온몸을 잘라내어 죽이는 능지형(凌遅刑)을 당했다. 그의 시신은 광거문(廣渠門)의 광동의원(廣東義園)에 묻혔다.

원숭환이 죽은 뒤 요동(遼東)을 방위하던 병사들의 사기는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명군(明軍) 장수들은 잇달아 후금(後金)에 투항하였다. 이로써 명(明)은 급격히 몰락의 길로 들어섰다. 명(明)이 멸망하고 만주족(滿洲族)의 청(淸, 1636∼1912)이 중국을 지배하자, 원숭환은 한족(漢族)들에게 과거 송(宋, 960∼1279) 시대에 금(金, 1115∼1234)에 맞서다가 진회(秦檜, 1090 ~ 1155)의 음모로 억울하게 죽은 악비(岳飛, 1103~1141)와 함께 ‘반청 흥한(反淸興漢)’의 영웅으로 숭앙되었다.

역참조항목

원숭환기념원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