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 연혁

독도의 연혁

조선팔도지도

조선팔도지도

독도는 조선 전기부터 우산도(于山島) 또는 삼봉도(三峯島)로 불리면서 울릉도와 함께 강원도 울진현(蔚珍縣)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성종실록(成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등의 문헌에도 그 사실이 남아 있다.

독도의 연혁 본문 이미지 1

또한 조선 후기의 민간외교가 안용복(安龍福)은 1696년에 일본으로 하여금 울릉도와 함께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인정하게 하였다. 섬 주변에 가제(강치)가 서식하는 데서 1794년경부터 가지도(可支島)라고 불리다가(《정조실록(正祖實錄)》), 1881년경부터 독도로 불리고 있으며 1906년 울릉군 군수 심흥택(沈興澤)의 보고서에서 최초로 문헌에 나타난다.

1849년 프랑스 포경선(捕鯨船) 리앙쿠르호(Liancourt號)에 의하여 독도의 존재가 유럽인들에게 알려졌다. 프랑스인들은 독도를 처음 발견한 배의 이름을 본 따 리앙쿠르암초(Liancourt Rocks)라고 불렀다. 그후 1854년 러시아 군함이 독도를 발견하고 독도의 서도를 올리부차(Olivoutza), 동도를 메넬라이(Menelai)라고 불렀으며 1855년에는 영국 군함 호네스트호(Hornest號)에 의하여 측량되어 영국의 해도(海圖)에 호네스트암초로 기재되었다.

일본의 독도 강탈 과정

한편, 일본은 1905년 러일전쟁을 통하여 독도의 가치를 다시 인식하고 같은해 2월 22일 시마네현[島根縣] 고시(告示) 40호를 통해 독도를 다케시마[竹島]로 개칭하고 일방적으로 시마네현[島根縣]에 편입시켰다. 이후 계속해서 일본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해왔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1954년 8월에 등대를 건설하고, 1982년에 독도 주변을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하고, 1997년 11월에는 주부두와 간이부두, 진입로를 갖춘 독도 접안시설을 갖추는 등 실효적인 지배장치를 강화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본 시마네현 의회는 2005년 3월 16일 해마다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竹島の日)'로 정하는 조례를 가결하였다. 이로 인하여 한·일 간의 영토문제가 또다시 대두되어 시민들이 일본대사관 앞에서 촛불시위를 하는 등 큰 사회적 파장을 낳았으며, 조례안 가결에 대응해 한국 정부는 일반인의 독도방문을 전면 허용하고 대일(對日) 신 독트린을 발표하였다.

독도의 연혁 본문 이미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