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조선창화시권

봉사조선창화시권

[ Bongsa Joseon changhwa sigwon (Poems Shared by Envoys in Joseon) , 奉使朝鮮倡和詩卷 ]

요약 조선시대인 1450년(세종 32)에 명(明)나라의 사신으로 온 예겸(倪謙)이 집현전 학사 성삼문(成三問), 신숙주(申叔舟), 정인지(鄭麟趾)와 주고받은 시문 37편을 엮은 문집. 2004년 5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봉사조선창화시권

봉사조선창화시권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2004년 5월 7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간류 / 시고류 / 시고
크기 가로 16m, 세로 33.2cm

2004년 5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창화시(倡和詩)란 한 사람이 읊은 뒤 다른 사람이 그 시를 받아 노래하는 화답시를 말한다. 이 시권은 조선을 방문한 예겸이 당시 원접사(遠接使)였던 집현전 학사들과 주고받은 시문을 명나라로 가져가 두루마리로 엮은 것으로, 표지는 뒤에 바꾸었다. 이 두루마리는 예겸의 후손들에게 전해져 오다가 1958년 이전 무렵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다.

명나라 한림원시강(翰林院侍講) 예겸은 경제(景帝:1449∼1457 재위)의 등극을 알리는 조서(詔書)를 가지고 사신으로 왔다. 그는 조선에 머물렀던 약 1개월 동안 집현전 학사들과 많은 시문을 주고받았는데, 이 시권에서는 그중 37편만 실려 있다. 창화시 35편과 청나라 당한제(唐翰題)·나진옥(羅振玉)이 쓴 발문이 2편이 그것으로, 모두 지은이가 자필로 쓰고 도장을 찍었다. 표지의 제목인  봉사조선창화시책(奉使朝鮮倡和詩冊)이라는 글자는 왕숙안(王叔安)이 전서(篆書)로 썼다.

이 시권에는 지은이와 소장자의 도장이 수십 개 찍혀 있다. 지은이의 도장 중에는 예겸(倪謙)·정존(靜存)·예겸지인(倪謙之印)·한림시강사인(翰林侍講私印)·사원재필(詞垣載筆)·동각사관(東閣史官)·예씨자자손손기영보지(倪氏子子孫孫其永保之) 등의 글자가 새겨진 예겸의 것이 가장 많다. 반면 정인지는 인지(麟趾)·하동정씨(河東鄭氏), 신숙주는 숙주(叔舟)와 범옹(泛翁), 성삼문은 근보(謹甫)를 사용하는 등 1∼2개의 도장을 사용하였다.

이 외에 이 책을 감정하고 수장한 사람이 사용한 도장으로 진기종(陳驥鍾)의 진기덕소보명적(陳驥德所寶名跡), 당한제의 당한제심정(唐翰題審正), 나진옥(뤄전위)의 송옹감장(松翁鑒藏) 등이 있어서 이 책이 예겸의 자손에게 전해오다가 진기종과 당한제를 거쳐 다시 나진옥에게로 넘어갔음을 알 수 있다.

이 두루마리와 별도로 1958년에 동빈 김상기(金庠基), 두계 이병도(李丙燾), 일산 김두종(金斗鍾), 동주 이용희(李用熙), 간송 전형필(全鎣弼), 동창 원충희(元忠喜) 등 6명의 감정기(鑑定記)가 있다. 그 뒤 최근까지 청명 임창순(任昌淳)이 관리하고 있다가 다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

당시 조선과 명나라 외교의 실상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선 초기의 서예사 연구에도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크기는 가로1,600㎝, 세로 33.2㎝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