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Poems by Du Fu, Korean Translation, Volume 21 , 分類杜工部詩(諺解) 卷二十一 ]

요약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를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한 조선시대의 활자본. 2004년 5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2004년 5월 7일
소장 청주시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천동,청주고인쇄박물관)
시대 조선 성종 12년(1481)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크기 가로 19.0cm, 세로 28.5cm

2004년 5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성종 때 홍문관 전한(典翰) 유윤겸(柳允謙) 등이 왕명을 받들어 두시를 풀이하고 정리하여 한글로 편집한 것이다. 원나라 때 편찬된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를 원본으로 두보의 시 1,647편과, 그 외 다른 사람의 시 16편을 한글로 풀이하고 주석(註釋)을 단 책으로, 흔히 '두시언해(杜詩諺解)'로 불린다. 제목의 '두공부시'는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郞)의 벼슬을 지낸 두보의 시라는 뜻이다.

초간본은 1481년(성종 12)에 을해자(乙亥字) 및 을해자 병용(倂用) 한글자(字)로 간행되었다. 책의 제일 앞머리에 '분류두공부시권지이십일(分類杜工部詩卷之二十一)'라는 제목이 씌어 있고 지은이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인판(印版)의 틀을 이루는 4개의 변은 1개의 선으로 된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1면(面)은 8행 17자가 기본이다. 판심부(板心部)에는 '두시(杜詩)'의 판심제(板心題)와 인판 번호가 새겨져 있다. 풀이한 한글에 방점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이전의 국어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글풀이가 유창하고 어휘가 풍부하여 국문학 분야의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며, 국한문을 함께 쓴 활자본이어서 당시의 인쇄 수준과 한글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모두 45장(張)으로 되어 있으며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크기는 가로 19.0㎝, 세로 28.5㎝이며, 청주시가 소유하고 청주고인쇄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